최근 수정 시각 : 2025-08-24 02:42:57

멀티 플랫폼 WWF 시리즈

1. 개요2. 상세3. 시리즈 일람
3.1. WWF 슈퍼 레슬매니아
3.1.1. 등장 선수
3.2. WWF 로얄럼블
3.2.1. 등장 선수
3.3. WWF 로우
3.3.1. 등장 선수
3.4. WWF 케이지 인 더 링
3.4.1. 등장 선수

1. 개요

1992~1994년까지 스크랩투레드 소프트웨어에서 제작하고 어클레임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WWF 프로레슬링을 소재로 한 게임.

슈퍼 패미콤/메가 드라이브 3연작으로 불리우며 각 기종별로 등장 선수가 다르다는 것이 특징이다.

2. 상세

패미콤으로 나온 WWF 게임 시리즈 2연작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전체적인 바탕을 두었으며 플랫폼을 옮기면서 시스템과 그래픽을 강화시킨 작품으로써 슈퍼 패미콤과 메가 드라이브의 양대 기종으로 발매한 게임이기도 하다. 그 2연작이라는 것은 1989년에 레어 사에서 개발하고 어클레임 사에서 발매한 WWF 레슬매니아, 1990년에 레어 사에서 개발하고 LJN에서 발매한 WWF 레슬매니아 챌린지의 두 작품을 말한다.

3. 시리즈 일람

3.1. WWF 슈퍼 레슬매니아


슈퍼 패미콤 판



메가 드라이브 판


슈퍼 패미콤/메가 드라이브의 양대 기종으로 발매한 첫 작품. 1992년 3월 13일에 메가 드라이브, 1992년 11월 22일에 슈퍼 패미콤으로 발매하였다.[1] 플레이어는 컴퓨터와 겨루어서 프로레슬링 동작을 실행하여 소위 "줄다리기" 스타일의 시스템인 그래플링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상대방과 붙잡기를 시도하게 되면은 선수들 위에 그래플링 게이지가 뜨는데 이때 펀치와 킥 버튼을 연타하여 게이지를 자신의 쪽에 오게 하면은 기술을 시전한다.

모든 선수는 스쿱 슬램, 수플렉스, 드롭킥, 로프 반동, 힙 토스, 엘보우 드롭과 같은 동일한 표준 프로레슬링 동작을 공유하며 제네시스 버전에는 경기 중에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는 각 레슬링 선수의 시그니처 동작도 포함되었다. 게임 플레이 모드는 1대1, 태그 팀, 4대4 서바이버 시리즈, 엘리미네이션 매치로 구성되며 제네시스 버전에는 플레이어가 한 명의 선수를 선택하고 일련의 일대일 경기에서 나머지를 물리쳐서 WWF 챔피언이 되는 WWF 챔피언십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게임 비평가들에 의해서 높은 점수를 받아서 미국의 게임 잡지인 닌텐도 매거진은 이 게임에 100점 만점에 82점을 주기도 하였다.

3.1.1. 등장 선수

  • 전 기종 공통
    • 헐크 호건
    • 마초맨 랜디 새비지
    • 밀리언 달러맨 테드 디바이시
  • 메가 드라이브
    • 얼티밋 워리어
    • 파파 샹고
    • 어윈 R. 쉬스터 (IRS)
    • 브리티쉬 불독
    • 숀 마이클
  • 슈퍼 패미콤
    • 제이크 더 스네이크 로버츠
    • 더 언더테이커
    • 시드 저스티스
    • 호크 (리전 오브 둠)
    • 에니멀 (리전 오브 둠)
    • 타이푼 (더 네추럴 디재스터스)

3.2. WWF 로얄럼블


슈퍼 패미콤 판



메가 드라이브 판


위의 후속작으로 역시 슈퍼 패미콤/메가 드라이브로 발매. 전작과는 달리 슈퍼 패미콤 판이 1993년 6월 9일에 먼저 발매했으며 뒤를 이어서 메가 드라이브는 1993년 9월 15일에 발매하였다. 게임에 등장하는 선수들은 당시 WWF의 최고 스타였던 레슬링 선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임의 각 버전에는 5명의 독점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가 따로 등장한다.

전작의 시스템인 그래플링 미터 시스템을 유지하고 무기로 사용할수 있는 철제 의자를 포함한 몇 가지 새로운 공격이 추가되었다. 특히 이 게임의 메인 모드인 로얄 럼블가 추가되어 6명의 캐릭터가 동시에 싸우는 대난전이 추가되었으며[2] 통상의 프로레슬링 기술과 각 레슬링 선수의 시그니처 마무리 동작을 포함하여 새로운 동작이 다양하게 추가되기도 하였다.[3]

콘솔 게임을 주로 다루는 영국의 월간 게임 잡지인 MEGA에서는 역대 최고의 메가 드라이브 게임에서 베스트 100에서 40위에 올리기도 하였고 참고로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도 WWF의 인기행진으로 인해서 소규모 게임가게 위주를 통해서 들여오기도 하였다.

3.2.1. 등장 선수

  • 전 기종 공통
    • 크래쉬
    • 브랫 하트
    • 숀 마이클스
    • 레이저 라몬
    • 더 언더테이커
    • 마초맨 랜디 새비지
    • 더 나르시스트 렉스 루거
  • 메가 드라이브
    • 어윈 R. 쉬스터 (IRS)
    • 헥소우 짐 더간
    • 헐크 호건
    • 파파 샹고
    • 모델 릭 마텔
  • 슈퍼 패미콤
    • 릭 플레어
    • 미스터 퍼펙트
    • 밀리언 달러맨 테드 디바이시
    • 요코즈나
    • 타탄카

3.3. WWF 로우


슈퍼 패미콤 판



메가 드라이브 판



세가 32X 판


게임 보이 판



게임 기어 판


시리즈의 제 3작. 슈퍼 패미콤은 1994년 11월 12일, 메가 드라이브는 1994년 11월 28일, 게임 보이와 게임 기어는 1994년 11월 30일, 세가 32X는 1995년 3월 8일에 발매하였다. 전작까지만 해도 메가 드라이브와 슈퍼 패미콤으로만 발매한것에 비해서 이 작품만큼은 게임 보이, 게임 기어, 세가 32X로도 발매되었다.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볼수있으며 플레이어는 일대일, 태그 팀, 배들램, 서바이버 시리즈, 로얄 럼블, 서바이버 시리즈와 배들램이 혼합된 신 경기인 Raw 엔듀런스 매치를 플레이할 수 있다. 전편처럼 선수들이 고유한 시그니처 동작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히 다른 동작인 메가 무브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각 캐릭터 들간의 차이점이 도입되었다. 그리고 전작들에서는 볼수없었던 DDT, 폴어웨이 슬램, 다양한 유형의 수플렉스 등 추가되었고 각 선수들은 속도, 힘, 체력 및 체중의 속성이 다르다.

게임 자체는 전작들의 부분을 계승하여 아케이드와 유사한 쪽으로 만들었으며 선수들이 붙잡기 난전을 벌일때 그 위에 그래플링 미터가 나타나고 플레이어는 버튼을 반복해서 눌러 에너지를 상대 쪽에서 자신의 쪽으로 끌어당겨야 하는 줄다리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면 더 큰 임팩트 있는 동작을 시전할수 있으며 상대의 에너지가 충분히 낮아지면 플레이어는 레슬링 선수의 독특한 시그니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작에서 도입된 신 시스템인 메가 무브는 실제 선수들의 마무리 동작을 기반으로 고유한 동작으로 상대의 체력이 부족할 때 특정 위치에서 커맨드를 조작하는 것으로 발동한다. (정확히 동일한 버튼 조합을 사용.) 상대의 체력을 절반 이상으로 깎아버리는 기술들써 상대방의 체력을 완전히 고갈시키면 승리할수가 있다.

3.3.1. 등장 선수

전작에 두 기종에 비해서 이번 작에서는 무려 5개나 되는 기종으로 발매되었기 때문에 전 기종 공통으로 등장하는 선수들과 독점 기종으로만 등장하는 선수들의 두 가지 부류로 나뉘어진다.

  • 전 기종 공통
    • 디젤
    • 요코즈나
    • 브렛 하트
    • 렉스 루거
    • 레이저 라몬
    • 숀 마이클스
    • 언더테이커

  • 타 기종 등장
    • 1-2-3 키드 (MD, SFC, 32X)
    • 뱀뱀 비글로우 (MD, SFC, 32X, GG)
    • 도잉크 더 크라운 (MD, SFC, 32X, GB)
    • 루나 바숑 (MD, SFC, 32X)
    • 오웬 하트 (MD, SFC, 32X)
    • 콴 (32X)[4]
    • 크래쉬 (GG)
    • 마초맨 랜디 새비지 (GG)

3.4. WWF 케이지 인 더 링



3부작의 외전이자 실질적인 최종작으로 1993년 11월 22일에 메가 CD로만 발매되었다. 1994년 1월 4일에는 일본에서도 세가 CD로 발매되기도 하였다.

시리즈 최초로 선수들의 실제음성이 들어가있는 작품으로써 게임 오프닝은 실사 영상에서 볼수 있는 FMV 클립 형태의 실제 비디오 영상과 레슬러 선택 화면에서 볼수 있는 레슬링 선수의 시그니처 동작 클립, 토너먼트 모드 완료 시 축하하는 플레이어의 레슬링 선수 클립을 재생하는 시스템이 들어가있으며 특히 이 게임에는 WWF의 선수 소개 콜로 유명한 링 아나운서인 하워드 핀켈 (Howard Finkel) 선생의 실제 육성을 사용한 소개와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각 프로레슬링 선수들 간의 자기 소개 및 호언장담 (상대방을 향한 비하멘트나 도발적인 멘트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게임 음악의 경우 CD형식이 해당 시대의 16비트 게임에서 사용하는 합성 음악과 유사하기 때문에 CD 형식을 활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게임은 핀폴로 승리하는 표준 시합인 One Fall 경기, 심판도 없고 카운트 아웃도 없으며 반칙이 가능한 난투 모드, 철창에서 경기가 벌어지는 케이지 매치의 3종류가 들어가있으며 태그 팀이 무려 3팀이 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태그 팀 매치가 없는 작품이기도 하다. One Fall 경기에서는 5명의 도전자들을 물리쳐서 WWF 챔피언이 되어야 하는 1인용 토너먼트 모드로 엔딩에서는 해당 선수가 승리를 축하하는 FMV 클립이 재생된다. 또한 본 작에서는 무려 20명의 선수가 등장하는데, 이는 지금까지 만들어졌던 3부작 WWF 게임에서는 볼수없었던 가장 많은 수이기도 하다.

3.4.1. 등장 선수

  • 타탄카
  • 카말라
  • 크래쉬
  • 요코즈나
  • 빅 보스 맨
  • 렉스 루거
  • 브렛 하트
  • 언더테이커
  • 랜디 새비지
  • 모델 릭 마텔
  • 레이저 라몬
  • 숀 마이클스
  • 뱀뱀 비글로우
  • 미스터 퍼펙트
  • 머니 주식회사 (IRS, 테드 디비아스)
  • 더 헤드 쉬링커스 (사무, 파투)
  • 네스티 보이즈 (제리 삭스, 브라이언 놉스)



[1] 발매원의 경우 슈퍼 패미콤 판은 LJN, 메가 드라이브 판은 플라잉 엣지 라는 회사가 담당하였다. 이것은 다음 작품인 로얄 럼블까지 이어진다.[2] 특히나 링 밖에 보이는 강철 의자로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것과 심판을 때려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게하기, 할퀴어서 눈을 긁는 등 불법적인 전술이 추가되었다.[3] 전작에서도 없었던 동작인 바디 스플래시, 니드 드롭, 백브레이커 및 아토믹 드롭이 신규로 포함되어 있다.[4] 1964년 8월 10일생. Kwang 이라는 이름으로 활약한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본명은 사비오 베가. Lucha Libre AAA Worldwide와 프로듀서로 계약하였고 그는 세계 레슬링 연맹, 세계 레슬링 위원회 및 국제 레슬링 협회에서 활동한 것으로 유명하다. 게임상에서는 치트코드로 해금하여 등장하며 자신의 동작이 없는 대신 디젤의 피니시 기술과 뱀뱀 비글로우의 피니시, 도잉크 더 크라운의 메가 무브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