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 (2014) 魔弾の王と戦姫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 판타지, 하렘 | |
원작 | 카와구치 츠카사(川口 士) | ||
캐릭터 원안 | 요시☆오(よし☆ヲ) 야나이 노부히코(柳井伸彦) 카타기리 히나타(片桐雛太) | ||
감독 | 사토 타츠오 | ||
시리즈 구성 | |||
캐릭터 디자인 | 카바시마 요스케 | ||
총 작화감독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이토 마리코(いとうまりこ) | ||
프롭 디자인 | 오오하시 사치코(大橋幸子) 아키시노 Denforword 히요리(秋篠 Denforword 日和) | ||
디자인 웍스 | 타이가 히로유키 이시카와 히로미츠(石川寛貢) | ||
이펙트 작화감독 | 사카이 사토시 | ||
마술(馬術) 액션 | 아카호리 시게오(赤堀重雄) | ||
미술 감독 | 카이 마사토시(甲斐政俊) | ||
미술 설정 | 빈센트 응이엠(Vincent Nghiem/ニエム・ヴィンセント) | ||
색채 설계 | 시노하라 아이코(篠原愛子) | ||
촬영 감독 | 이와사키 아츠시(岩崎 敦) | ||
CG 프로듀서 | 하시모토 토미사부로(橋本トミサブロウ) | ||
CG 디렉터 | 하타야마 유타(畑山勇太) | ||
편집 | 사다마츠 고(定松 剛) | ||
음향 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음악 | 요코야마 마사루 노부사와 노부아키(信澤宣明) | ||
음악 제작 | KADOKAWA (미디어 팩토리) | ||
프로듀서 | 타나카 쇼(田中 翔) 나카미치 케이고(中道圭吾) 오오누키 카즈오(大貫一雄) 우에마 야스히로(上間康弘) 시미즈 미카(清水美佳) 우에키 타츠야(植木達也)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카네코 후미오 | ||
애니메이션 제작 | SATELIGHT | ||
제작 |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4. 10. 04. ~ 2014. 12. 27. | ||
방송국 | AT-X / (토) 20:00 애니플러스 / (화) 23:30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3화 | ||
시청 등급 | 19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사토 타츠오,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은 카바시마 요스케. 방영 시기는 2014년 10월.2. 공개 정보
2013년 7월 28일, MF문고J 블로그와 트위터에서 애니화하는 5작품 중 하나로 발표되었다. 한국판만 보던 분들에게는 어느 공녀의 존재가 그대로 네타되는 상황2014년 7월 20일에 개최된 MF문고J 여름의 학원제 2014에 따르면, 방영 시기는 2014년 10월 4일 AT-X를 통해 방영되며, 제작 회사는 사테라이트. 원작 일러스트가 그다지라는 평가가 많아서 애니판 작화가 많이 개선되었다며 호감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2.1. PV
PV |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설정
자세한 내용은 마탄의 왕과 바나디스/설정 문서 참고하십시오.5. 주제가
5.1. OP
OP 銀閃の風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스즈키 코노미 | ||
작사 | 사카이 류지(坂井竜二) | ||
작곡 | 스즈키 야스요시(鈴木ヤスヨシ)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사토 타츠오 | |
연출 | 이시카와 슌스케(石川俊介) | ||
작화감독 | 카바시마 요스케 | ||
원화 | 나가사카 칸지(長坂寛治), 이마니시 토오루, 시미즈 타카코, 사카이 사토시, 카미타니 토모히로, 후지모토 사토루, 쿠마가이 카츠히로, 스기에 토시하루, 니시자와 스스무 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2. ED
ED Schwarzer Bogen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하라다 히토미 | ||
작사 | LINDEN | ||
작곡 | 카타야마 슈지(片山修志)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이나이 진(稲井 仁)[2] | |
연출 | |||
작화감독 | 카바시마 요스케 | ||
원화 | 스기에 토시하루, 이마니시 토오루 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3. 10화 ED
10화 ED 竜星鎮魂歌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스즈키 코노미 | |
작사 | 사카이 류지(坂井竜二) | |
작곡 | 야마자키 야스유키(山崎泰之)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3]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戦場の風姫 전장의 풍희 | 사토 타츠오 | 콘도 카즈히데 (近藤一英) | 카바시마 요스케 오오하시 사치코[F] (大橋幸子) | 日: 2014.10.04. 韓: 2014.10.07. |
제2화 | 帰還 귀환 | 이나이 진 (稲井 仁) | 이시카와 슌스케 (石川俊介) | 이토 마리코 (いとうまりこ) | 日: 2014.10.11. 韓: 2014.10.14. |
제3화 | 甦る魔弾 되살아난 마탄 | 사토 타츠오 | 와타나베 타카시 | 후쿠요 타카아키 (福世孝明) | 日: 2014.10.18. 韓: 2014.10.21. |
제4화 | 凍漣の[ruby(雪姫, ruby=ミーチェリア)] 동련의 설희, 미체리아 | 니시모토 유키오 | 아사노 카츠야 | 나가타 요시히로 (長田好弘) 오오쿠보 요시유키 (大久保義之) | 日: 2014.10.25. 韓: 2014.10.28. |
제5화 | タトラ山攻略戦 타트라 산 공략전 | 와타나베 타카시 | 니시오 키미타케 (西尾公伯) 이와오카 유코 (岩岡優子) 오오하시 사치코[F] | 日: 2014.11.01. 韓: 2014.11.04. | |
제6화 | 黒騎士 흑기사 | 니시자와 스스무 | 콘도 카즈히데 | 타나카 토모에 (田中知江) 사카모토 슌타 (坂本俊太) 나가사키 칸지 (長坂寛治) | 日: 2014.11.08. 韓: 2014.11.11. |
제7화 | 守るために 지키기 위해 | 야스다 켄지 | 후쿠요 타카아키 | 日: 2014.11.15. 韓: 2014.11.18. | |
제8화 | 二千対二万 2천 대 2만 | 이시카와 슌스케 | 나가타 요시히로 시미즈 유스케 이토 마리코 | 日: 2014.11.22. 韓: 2014.11.25. | |
제9화 | 雷渦と煌炎 뇌와와 황염 | 와타나베 타카시 | 하바라 쿠미코 (羽原久美子) | 황성원 카바시마 요스케 사카이 사토시[E] | 日: 2014.11.29. 韓: 2014.12.01. |
제10화 | オルメア会戦 오르메아 회전 | 이나이 진 | 콘도 카즈히데 | 나가사키 칸지 사카모토 슌타 타나카 토모에 | 日: 2014.12.05. 韓: 2014.12.08. |
제11화 | 戦姫二人 두 전희 | 이토 타츠후미 | 이토 마리코 | 日: 2014.12.12. 韓: 2014.12.15. | |
제12화 | [ruby(聖窟宮, ruby=サングロエル)] 지하 성전 상그로엘 | 와타나베 타카시 토미나가 츠네오 | 와타나베 타카시 | 후쿠요 타카아키 이와오카 유코 오오하시 사치코[F] | 日: 2014.12.19. 韓: 2014.12.22. |
제13화 | 広がる世界 넓어지는 세계 | 사토 타츠오 | 아사노 카츠야 | 카바시마 요스케 나가타 요시히로 나가사키 칸지 사카모토 슌타 시미즈 유스케 타나카 토모에 오오하시 사치코 | 日: 2014.12.26. 韓: 2014.12.29. |
7. 평가
1화만 방영되었을때는 전개가 상당히 빠르다고 생각되었다. 티글이 포로가 된 부분이나 실력을 시험받는 부분만 나오고 원작의 2/3정도 되는 라이트메리츠에서의 에피소드를 대거 생략했다. 때문에 불만을 가진 원작 팬들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하지만 의외로 1권의 마지막 부분인 자이앙 테나르디에 군과의 전투를 2~3화 동안 천천히 진행했다.[8]그런 점을 볼 때 제작진이 본 작의 중점요소를 전쟁판타지 정도로 잡고 러브코메디 요소를 최대한 줄인 것으로 보인다. 원작의 경우 갈수록 러브코메디 요소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을 볼 때 납득이 안 가는 선택은 아니다.[9] 하지만 원작 전반부에서 티글이 에렌을 포함한 공궁 사람들과 가까워진 덕분에 베르트랑과 티글이 만날수 있었고 티글이 에렌에게 병사를 빌릴 수 있었다. 그런 점을 생각하면 원작 팬들의 입장에서는 개연성이 부족해 보이는 것도 어쩔 수는 없을 것이다.
일단 지나친 스킵 문제는 1권에 3화를 배정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걱정을 덜었다.[10] 그리고 1부라고 할 수 있는 5권까지의 내용을 총 13화로 완결지었다.
전체적인 내용으로 보면 전쟁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1권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1부 브륀내전의 큰 전투들만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때문에 인물들간의 갈등, 특히 에렌이나 류드밀라를 제외한 조연들에 관계된 내용이 상당히 줄어든 경향이 있으며 심리묘사 같은 부분도 줄어든 경향이있다. 그리고 큰 전투에 집중하기 위해서 티들이 부하 몇명을 이끌고 나선 작은 전투나 보급을 위해 교섭을 나가던지 했던 세세한 부분도 대부분 묘사되지 않았다. 게다가 원작에서는 가장 큰 떡밥이라고 할 수 있는 마물이나 용구, 검은활에 대한 내용이 대거 잘려나갔다. 특히 보댜노이와의 전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전투인데도 한컷도 등장하지 않았다.
거기에 대규모 전투를 묘사하기 위해서 3D를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나 전술설명에 치중하는 경향이 크고[11] 세부적인 전투장면은 제대로 묘사되지 않았다. 특히 무오지넬과의 전투에서 무오지넬군이 티글일행을 둘러싸고 칼만 움직이며 허우적대는 부분은 실소를 금할 수 없을 정도.[12] 게다가 원작이랑 코믹스에는 없는 마갑을 입힌 중기병을 브륀과 지스터트에 등장시키는 설정파괴를 하고 말아 팬들을 어이없게 만들었다.
결국 1부 내용만 가지고 끝을 냈기 때문에 오프닝에 나오는 어느 공녀나 배에 탄 사샤의 모습 같은 것은 7인의 전희들을 전부 보여주기 위한 서비스 장면 정도로 넘어갔다. 그래서 애니는 소설과 코믹스에 비해 좋은 평을 받지 못했다.
8. 기타
- 특별 기획으로 티글 군과 바나디츄라는 제목의 SD 코믹 애니메이션도 나오고 있는데 애니 본편에서 생략된 소설 에피소드 일부를 어느 정도 묘사한다. 위에 언급한 러브코메디 내용과 소소한 일상 및 개그컷이 전부 몰려있어서 애니만 본 사람들은 이걸 봐야 원작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하다. 미디어팩토리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볼 수 있다.
중간중간 깨알 일러스트들은 덤일본어라서 못 알아듣는건 덤
[1] http://blog.mediafactory.co.jp/mfbunkoj/?p=16647[2] 오하라 마사카즈의 필명.[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F] 식사[F] [E] 이펙트[F] [8] 2화에서는 전투가 일어나게된 전후사정과 출진 그리고 티타 구출로 마무리 하고, 3화에서는 양 군이 본격적으로 공방을 펼치는 모습을 자세히 묘사했다. 이 내용들이 원작에서는 마지막 1/3정도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였으니 상당히 많은 분량을 할애한 셈이다.[9] 8권에서는 아예 주인공을 기억상실로 퇴장시켜 버리기까지 한다.[10] 물론 사람에 따라서 분량 배분에 대해 이견은 있을 것이다.[11] 원작에서는 등장인물의 대사나 행동을 통해 묘사된 부분도 직접 나레이션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많았다. 분량을 조절하기 위해서이기는 하지만 나레이션 후 몇 컷 싸우는 장면이 나온 다음 전투가 끝나는 것을 보면....[12] 이게 왜 그렇냐면 무오지넬군은 원작에서는 기병과 보병이 막강한 군대인데 그것을 표현하지 않고 그저 보병만 등장시키니 원작 설정을 심하게 파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