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7:18:12

마린(젤다의 전설 시리즈)/젤다무쌍 하이랄의 전설들

<colcolor=#000>
파일:zdmshw.jpg
젤다무쌍 하이랄의 전설들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be2b4><colcolor=#000> 일반 파일:151px-HWDE_Link_Portrait.png 파일:151px-HWDE_Imp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Lan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Zeld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Ganondorf_Portrait.png 파일:151px-HWDE_Linkle_Portrait.png
링크 임파 라나 젤다 가논돌프 링클
흑마녀군 파일:151px-HWDE_Ci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Volg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Wizzro_Portrait.png
시아 발가 위즈로
시간의 오카리나 출신 파일:151px-HWDE_Sheik_Portrait.png 파일:151px-HWDE_Daruni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Ruto_Portrait.png
시크 다르니아 루토
황혼의 공주 출신 파일:151px-HWDE_Agith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Midn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Zant_Portrait.png 파일:151px-HWDE_Twili_Midna_Portrait.png
호나 미드나 젠트 진정한 미드나
스카이워드 소드 출신 파일:151px-HWDE_Fi_Portrait.png 파일:151px-HWDE_Ghirahim_Portrait.png
파이 기라힘
무쥬라의 가면 출신 파일:151px-HWDE_Young_Link_Portrait.png 파일:151px-HWDE_Tingle_Portrait.png 파일:151px-HWDE_Skull_Kid_Portrait.png
링크 팅글 스탈키드
바람의 지휘봉 출신 파일:151px-HWDE_Toon_Link_Portrait.png 파일:151px-HWDE_Tetr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King_Daphnes_Portrait.png 파일:151px-HWDE_Medli_Portrait.png
링크 테트라 붉은 사자 왕 메들리
기타 출신 파일:151px-HWDE_Marin_Portrait.png 파일:151px-HWDE_Toon_Zelda_Portrait.png 파일:151px-HWDE_Ravio_Portrait.png 파일:151px-HWDE_Yuga_Portrait.png
마린 젤다 라비오 유가
*☆는 Wii U에서만 유료 DLC, ★는 Wii U, 3DS에서 유료 DLC }}}}}}}}}

파일:external/www.gamecity.ne.jp/marin01.jpg
  • 꿈꾸는 소녀 마린
1. 개요2. 상세3. 적 상대로서4. 의상5. 사용 무기
5.1. 벨 (물 속성)
6. 하트
6.1. 생명의 그릇 위치6.2. 하트조각의 위치

[clearfix]

1. 개요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외전 젤다무쌍 하이랄의 전설들마린에 관한 문서.

2. 상세

2016년 3월 27일, 젤다무쌍 하이랄의 전설들 하이랄의 전설들 DLC 캐릭터로 추가된다는 소식이 닌텐도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혀졌다. 컨셉 아트. 무기는 바다나리의 벨[1](3ds는 바다술의 벨). 배포일은 6월 30일로 결정.

성우는 아오키 루리코. 꿈꾸는 섬이 93년도 작품이니 자그마치 20년을 뛰어넘은 등장. 청순해 보이는 복장과 외모와는 달리 목소리는 어린 느낌이 강하며 행동도 약간 어눌한 등 얼굴값을 못하는 편이다. 여담으로 승리 대사 중에 '승리하다니 마치 꿈 같아...' 라는 대사가 있는데 마린의 정체를 생각하면 약간 숙연해진다.

시작 레벨은 15이며, 기본으로 제공되는 하트는 13개다. 4n레벨마다 하트가 1개씩 늘어나며, n 범위는 1에서 16이다.

3. 적 상대로서

"꿈꾸는 소녀" 마린
파일:151px-HWDE_Marin_Portrait.png
드랍되는 소재[2] 젤다의 머리장식(은), 젤다의 왕관(금)
드랍되는 재료 고기(은, 금)
약점 속성 번개
약점 무기 스킬 VS 전설

사실상 그녀와 적으로 만나는 일은 적은 편으로, 사실상 그녀로 나오는 만연! 스프레드 배틀은 없으므로, 소재를 모으기 위해선 진짜 젤다를 쓰러뜨려야만 한다.

4. 의상

이 캐릭터는 3DS 이후부터 새로 추가된 캐릭터이며, 의상이 따로 주어지진 않는다.

5. 사용 무기

5.1. 벨 (물 속성)

잠을 깨워 주는 신비로운 악기. 벨을 흔들면 마법의 구슬이 울리며 공격한다. 특수 공격은 게이지를 모두 소비해서 게이지 양에 따른 강력한 공격을 펼친다.
벨의 종류
랭크 Lv 1(데미지 80~120) Lv2(데미지 150~225) Lv3(데미지 280~420) Lv4(데미지 500~750) Lv4+(데미지 500~750)
이름 바다술의 벨 잔물결의 벨 자각의 벨 자각의 벨+
빛 자각의 벨
획득 위치(Wii U) 기본 무기 랜덤으로 획득 랜덤으로 획득 - -
획득 위치(3DS) 기본 무기 코호린트 맵: 3행 4열 코호린트 맵: 3행 10열 코호린트 맵: 2행 12열 -
획득 위치(SWITCW)[3] 기본 무기 코호린트 맵: 4행 5열 코호린트 맵: 4행 11열 코호린트 맵: 3행 13열 코호린트 맵: 2행 11열
커맨드
약공격 YYYYY1Y3
강공격 X(특수공격)/YX(강2)/YYX(강3)/YYYX(강4)/YYYX(강5)2/YYYYYX(강6)4
1:코키리의 검 1 제작 후에 가능.
2:코키리의 검 2 제작 후에 가능.
3:코키리의 검 3 제작 후에 가능.
4:코키리의 검 4 제작 후에 가능.

물 속성으로 원작의 3번째 던전 클리어 보상인 바다나리의 벨이다. 양손으로 공격하는 무거워 보이는 모습과는 다르게 공격속도는 의외로 빠른 편. 몬스터를 쓰러뜨릴 때마다 특수공격 게이지가 차오르며 모두 차면 물방울 다섯개를 던져 공격해 강한 데미지를 준다. 다만 특수공격 게이지가 쉽게 차는 편은 아니여서 주력기는 아니고 보조딜링기 정도. 강공격들도 공격속도는 빠르지만 데미지가 어중간해 쓸만하다 수준을 넘기질 못해 중캐와 강캐 사이를 웃도는 무기. 적으로 나올 때는 골 때리는 적장이다. 기본 공격이 넓게 뻗는데다가 공격 속도도 높기 때문에 걸핏하면 극딜이 된다.

6. 하트

  • 기본 체력
    기본 체력은 13칸이다.
  • 레벨 업에 따른 상승(Wii U)
    레벨이 4부터 148까지는 6의 배수 마다 하트가 올라가며, 이후 155부턴 10레벨마다 하트가 올라간다.
  • 레벨 업에 따른 상승(3DS, 스위치)
    레벨이 4부터 64까지는 4의 배수 마다 하트가 올라가며, 이후 64레벨 부터 99까지 5의 배수 마다 하트가 올가가게 되고 이후 12레벨 올릴 때마다 또는 200 달성 시 하트가 늘어난다.

6.1. 생명의 그릇 위치

  • 어드벤처 모드에서의 위치
    • 모험 맵:
    • 망망대해 맵:
    • 마스터 모드 모험 맵:
    • 황혼 맵:
    • 테르미나 맵:
    • 마스터 모드 망망대해 맵:
    • 코호린트 맵:
    • 대모험 맵:
    • 로우랄 맵:

    이상 총 개

합쳐서 총 개가 존재한다.

6.2. 하트조각의 위치

  • 어드벤처 모드에서의 위치
    • 모험 맵:
    • 망망대해 맵:
    • 마스터 모드 모험 맵:
    • 황혼 맵:
    • 테르미나 맵:
    • 마스터 모드 망망대해 맵:
    • 코호린트 맵:
    • 대모험 맵:
    • 로우랄 맵:

    이상 총 개

합쳐서 총 개가 존재한다.


[1] 원작 3번째 던전 클리어 보상이다.[2] 고유의 소재는 존재하지 않고, 젤다의 소재를 떨어뜨린다. 젤다와 외모가 비슷한 것을 고려한 모양.[3] 망망대해맵, 마스터모드 망망대해맵, 코호린트맵에 경우는 3DS와는 달리 공백칸도 포함되니 좌표가 위아래 하나씩 늘어나므로 참고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