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4:35:00

르노 B1/파생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르노 B1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르노 B1|
파일:B1(3D,백).svg
파일:B1(3D,흑).svg
]]
Char B1관련 문서
}}}
파생형 미디어

1. 프랑스 제3 공화국
1.1. 포탑 교체 파생형
1.1.1. B1 bis №234 “Marseille"
1.2. 기술 기반 개량형
1.2.1. B21.2.2. B31.2.3. BB
1.3. 자주포 개수형
2. 나치 독일
2.1. 자주포 개수형
2.1.1. le.FH 18 auf Pz.Kpfw. B2 740(f)
2.2. 화염방사기 장착형
2.2.1. Flammwagen auf Pz.Kpfw. B2 740(f)
2.3. 비무장 개조 파생형
2.3.1. Fahrschulpanzer B2 740(f)
3. 이탈리아 왕국
3.1. 자주포 개수형
3.1.1. Semovente B1 bis
4.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4.1. 비무장 개조 파생형
4.1.1. Char Demineur B1 bis

1. 프랑스 제3 공화국

1.1. 포탑 교체 파생형

1.1.1. B1 bis №234 “Marseille"

파일:B1 bis №234 “Marseille".png
B1 bis №234 “Marseille"

1.2. 기술 기반 개량형

1.2.1. B2

1.2.2. B3

1.2.3. BB

파일:Char_BB(Model).jpg파일:Char_BB(Blueprint).png
Char BB
프랑스에서 '탱크의 아버지'로 불리는 장 에스티엔 장군이 제안한 전차이다. 2문의 75mm mle.97 야포[1][2]와 2정의 7.5mm mle.29 기관총을 장착하였고, 전면 60mm, 이외 50mm의 장갑으로 꽤나 잘 보호되었다. 하지만 군부는 경량 전차를 더 선호했고, BB 전차 설계안은 모형만 제작된 채 폐기된다.

1.3. 자주포 개수형

1.3.1. ARL V39

파일:ARL V39.webp
ARL V3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L V3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나치 독일

2.1. 자주포 개수형

2.1.1. le.FH 18 auf Pz.Kpfw. B2 740(f)

파일:B1bis_105mmSPG.jpg
le.FH 18 auf Pz.Kpfw. B2 740(f)

le.FH 18 auf Pz.Kpfw. B2 740(f)는 독일 국방군 측에서 B1의 기존 무장을 전부 탈거 후 10,5cm leFH 18를 장착한 자주곡사포다.

1941년 3월 아돌프 히틀러가 화염방사전차로 개조한 플라멘판저(Flammpanzer) B2를 다시 개조해서 자주곡사포로 개조할 것을 명령했다. 개조수량은 총 16대다. 1941년 6월에 라인메탈-보르지히에서 시제 차량이 제작되었다. 1942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16대가 생산되어 제26기갑사단(26th Panzer Division)으로 납품되었고 포병연대에 배속되었다. 배치된 수량 중에서 14대가 살아남았으나 베스페(Wespe) 자주포로 교체되었고, 사르데냐 섬에 배치된 제90기갑척탄사단(90th Panzergranadier Division)으로 이송되었다. 교체 사유는 속도가 느리고 기동성능도 좋지 못했기 때문에 섬을 방어하는 부대의 포병 용도로 전환한 것이다.

2.2. 화염방사기 장착형

2.2.1. Flammwagen auf Pz.Kpfw. B2 740(f)

파일:Flammpanzer_B2.jpg
Flammwagen auf Pz.kpfw. B2 740(f)
독일 국방군에서 75mm 포를 탈거하고, 그자리에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화염방사 전차다.

2.3. 비무장 개조 파생형

2.3.1. Fahrschulpanzer B2 740(f)

파일:Fahrschulpanzerb2.jpg
Fahrschulpanzer B2 740(f)

3. 이탈리아 왕국

3.1. 자주포 개수형

3.1.1. Semovente B1 bis

파일:semnovente_B1.jpg
Semovente B1 bis
최소 2대가 포탑이 없는 채로 테스트를 받았다. 확인된 2대의 차량은 1941년 4월 30일에 등록 번호 RE 508과 RE 750을 부여받았다.

4.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4.1. 비무장 개조 파생형

4.1.1. Char Demineur B1 bis

파일:B1 지뢰제거.jpg
Char Demineur B1 bis
프랑스 전역에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기 위해 AMX에 의해 1945년 4월 개발이 시작되어 1945년 9월에 완성되었다. 3대가 제작되었고 현재 1대가 소뮈르 전차 박물관에 보존중이다.[3]

[1] 하나를 47mm 대전차포로 교체 가능[2] 좌우 포각은 500~1,000이었다.[3] 말이 보존이지, 사실상 야외 전시에다가 방치 수준으로 놓여져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