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의 등장 메카}}}에 대한 내용은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의 등장 메카: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공마룡(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1. 개요
대공마룡 가이킹에 등장하는 거대 공룡전함.2. 상세
다이몬지 박사가 암흑 호러군단의 침략에 맞서 초능력을 가진 소년소녀들을 모아 구성한 '대공마룡 부대'가 사용하는 전함으로 적에게 공포감을 심어주기 위해 흉악한 모습이 되었다는 설정이 있다. 그 때문에 신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이성인 적의 메카로[1],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에서는 공룡 제국의 모함으로 오인당하는 이벤트도 있었다.(…)
일본 로봇 애니메이션 사상 최초로 주인공 일행이 가진 모함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함수 부분엔 용의 두개골을 연상케 하는 황금색 해골 머리가 있는데, 가이킹이 출격하면 이 해골 머리는 분리되어 가이킹의 몸통이 된다. 대공마룡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여러 가지 무장이 사용가능하며 분리되었을 때 대공마룡은 '볼류션 프로텍트'라는 꼬리와 해골머리가 분리된 부분을 이어 함체를 원형으로 만드는 방어체제로 돌입하게 된다. 작중 가이킹이 발진하면 무장 상당수를 못쓰게 되는 문제 때문에 발진 후에 머리부분에 장착하는 신장비를 개발한다.
내부에는 가이킹 외에 지상전용인 검룡 바조라, 공중전용인 익룡 스카이라, 수중전용인 어룡 넷서라는 3기의 서포트 공룡형 전투메카가 수납되어 있어서 전투를 돕는다. 특히 스카이라 같은 경우 원작에서는 가이킹보다도 더 대단한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초반에는 등의 지느러미가 없었고 가이킹이 출격하게 되면 일부 무장을 못 쓰게 되어 무장도 빈약했으나 후에 신무장 보그아이의 추가, 스카이라는 개량해서 가이킹 출격시 빠진 황금해골 자리를 대체하여 두부 파츠로 합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등에 지느러미도 장비하고 기체를 돌리는 대화차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가이킹이 분리하면 목만 남는데 이를 팬들은 장난삼아 딜도라고 하기도 한다.
2.1. 대공마룡의 무장
기관포꼬리부분에 달려있다. 후방 공격이 가능하지만 별 위력은 없다.
속사 미사일
등의 칼날 부분에서 미사일을 날린다. 역시 별 위력은 없다.
레이저포
대공마룡 전면부에서 사격하는 레이저.
대공마룡 미사일
대공마룡 전면부에서 사격하는 미사일.
드래곤 커터
대공마룡의 날개부분에서 발사하는 칼날.
킬러 바이트
대공마룡의 턱으로 물어뜯는 기술. 가이킹이 출격 안했을 때만 쓸 수 있는 쪼잔한 무장이다.
자울 가이저
가이킹이 출격하지 않은 경우 대공마룡도 자울 가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 블레이저
가이킹이 출격하지 않은 경우 대공마룡도 하이드로 블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위력은 가이킹 버전이 더 강한 거 같다.
볼루션 프로텍트
가이킹이 출격한 후 함체를 둥글게 말아서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어형태. 대공마룡의 전투력은 상당히 높지만 볼루션 프로텍트로 변형시 대부분의 무장을 사용 못하게 된다.
미라클 드릴
대공마룡의 다리부분에 장비된 거대 드릴. 원작 14화에서 세뇌된 사콘이 세뇌 부작용으로 IQ가 300이 되면서 산시로에게 맞고 세뇌가 풀렸지만 계속 세뇌된 것처럼 연기하며 대공마룡을 개조하면서 추가되었다. 분리하면 가이킹도 사용할 수 있다.
자이언트 커터
대공마룡의 복부에서 튀어나오는 거대 칼날. 본편 19화에서 대공마룡의 장갑인 졸마니움을 연구한 키지마 박사에 의해서 개발된 추가무장. 참고로 원작 41화에서 가이킹이 자이언트 커터를 꺼낸 대공마룡을 집어들어서 뒤집은 채로 적에게 돌진하는 기술을 쓰기도 했는데 이 역시 일본 로봇애니메이션 사상 가장 흉악한 기술 베스트3에 들 수준이다.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자이언트 커터 역베기라는 이름으로 재현해주었다.
빅 혼
대공마룡의 전부에서 거대한 한 쌍의 뿔을 전개하여 상대를 찝어버리는 추가무장. 첫 등장은 제 21화.
제우스 미사일
대공마룡의 전부에서 초대형의 미사일을 발사하는 추가무장.
보그 아이
최종화 바로 직전에 등장한 파츠. 가이킹 출격후의 빈자리를 메꾸기 위한 것으로 보그아이 파츠를 머리에 합체시켜서 무장으로 쓰게 된다. 보그아이로 사용할 수 있는 무장은 스크류 레이저, 썬더 아이, 대형미사일.
화차 커터
대공마룡과 가이킹이 함께 쓰는 필살기. 볼류션 모드로 함체를 둥글게 만 대공마룡에 가이킹이 달라붙어 페이스 오픈을 한다. 그상태로 데스 파이어를 뿜으면서 대공마룡이 초고속 회전하여 불덩이가 된 채로 적을 들이받아서 박살내는 일본 로봇 애니메이션에서도 그 전례를 찾기 힘든 흉악하기 짝이 없는 기술이다. 이게 나온 에피소드를 그린 사람이 카나다 요시노리이므로 한 번 볼 가치가 있다.
3. 기타
풀 메탈 패닉! 세계관에는 대공마룡킹 조개라는게 있다고 한다. 산지는 쿠마모토 현 대공섬. 하지만 아마 관계 없을... 것이다. 아마.[2]동방프로젝트 동방 빙의화 에서 대공마룡 도레미 로 페러디되었다.
록맨 9의 와일리 머신은 배색이나 디자인 까지 녀석의 패러디다.
동방 프로젝트의 도레미 스위트의 스펠카드 중 하나가 대공마룡 패러디이다.
[1] 당시 고우 켄이치는 적에 의해 어머니를 잃고 분노한 상태였기 때문에 아군 증원으로 나타난 대공마룡을 적의 메카로 오해하고 하마터면 공격할 뻔했다.[2] 사실 풀 메탈 패닉 세계에서도 대공마룡킹 조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냥 진다이 고교에 근무한 적이 있던 교사 한 명이 고령으로 노망이 들어서 평범한 조개를 대공마룡킹 조개라는 이름을 붙여서 진다이 고교에 배달한 것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