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일본 센고쿠 시대 때 교토 상경으로 조정과 막부를 장악한 오다 노부나가에 대항하기 위해 미요시, 아자이, 아사쿠라, 다케다, 우에스기, 모리, 혼간지 등의 세력이 연합을 맺고 노부나가와 그의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대립했는데, 이때 노부나가, 이에야스의 영토가 이 연합의 사이에 위치해서 이를 노부나가 포위망이라고 불렀다. 오다 노부나가의 생애에 대해 얘기할 때 절대로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사건이다.2. 전개
노부나가 포위망은 크게 다케다 신겐을 필두로 미요시 산닌슈,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자이 나가마사 연합의 1차 포위망과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겐신, 혼간지 켄뇨 연합 세력의 2차 포위망으로 구분된다.[1] 물론 이 두 차례의 포위망을 주도한 것은 무로마치 막부의 마지막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이다. 1차 포위망 때는 말 그대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있어서 사면초가의 시기였는데 다케다 신겐이 급사하지 않았으면 노부나가와 이에야스의 세력이 붕괴될 위기를 맞이한 적도 있었다.[2]이 1차 포위망은 신겐의 죽음과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교토에서 추방되는 시기에 붕괴된다. 이후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의탁한 모리 가문이 우에스기 가문과 혼간지 세력과 연합하면서 2차 노부나가 포위망이 결성된다. 2차 포위망은 오다 노부나가가 이미 세력을 안정시킨 상태라 1차 포위망만큼 위협적이진 않았다.[3] 그리고 가장 위협적인 적이던 우에스기 겐신도 급사하고 우에스기가 후계 분쟁을 겪으며 2차 포위망도 흔들리게 되었다.
3. 결과
노부나가는 두 차례의 포위망을 붕괴시켜 유력한 적들을 모두 없애면서 일본 통일을 눈앞에 두게 되고 사실상 천하인이 되었다. 말년의 노부나가는 압도적인 세력을 구축하고는 동서남북 전방위적인 공세를 가하며 영토를 더욱 넓혀갔다. 혼노지의 변만 없었다면, 몇년 안에 일본을 완전히 통일하는 것은 확정이었을 정도.[4]4. 최근의 연구 경향
위에 서술된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노부나가 포위망의 중핵이자 흑막으로 본 견해는 옛날 견해이고, 최근에는 요시아키와 노부나가의 관계가 생각만큼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1570년의 5개조 조서 이후 요시아키와 노부나가의 관계가 어느정도 틀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1572년까지도 요시아키는 교토에 노부나가가 살 저택을 건설하라고 명령한다거나, 노부나가가 요시아키의 명령을 받고 막부군을 이끌고 미요시군을 공격한다거나 하는 등 협력관계에 가까운 모습이 더 많이 관찰된 것이다.[5]아시카가 대신 최근 노부나가 포위망의 새로운 흑막으로 주목받는 것은 바로 노부나가는 일평생 가장 크게 괴롭힌 혼간지 켄뇨이다. 당대의 사료에 따르면 당시 혼간지는 1570년 이래 노부나가와 대체로 적대 관계에 있었으며, 정토진종의 세력을 이용해 후일 노부나가 포위망에 가담하게 될 기나이의 제세력이나 아사쿠라 가문, 아자이 가문과 밀접하게 교류하며 정치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또, 노부나가 포위망의 또 하나의 핵심 세력인 다케다와도, 켄뇨의 부인과 다케다 신겐의 부인이 자매관계인 등 인척관계가 있기에, 노부나가 포위망을 조직하고 뒤에서 조종할 인물은 혼간지 켄뇨 이외에는 없다는 것이 최근의 통설이다.
출처: 谷口克広,『織田信長の外交』, 祥伝社, 2015年, pp.333~335
[1] 다만 1차 포위망을 다케다 신겐 참전 전후로 구분하여 포위망이 총 3번 있었다 보기도 한다.[2] 특히 1차 포위망에서는 아사쿠라를 치러 갔던 오다 노부나가가 처남인 아자이 나가마사에게 배신당해 뒤통수를 맞았고 포위망에서 벗어나느라 죽을 고생을 했다. 거기다 다케다 신겐은 오다의 동맹인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공격했는데 오다는 본인부터 포위망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동맹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도 없었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쿠가와 가문의 힘만으로 당대 최강이라 불리던 강군인 다케다군과 맞서야 했으며 결국 대패하여 전황은 크게 불리했다. 정말로 신겐이 급사하지 않았다면 위험했을 정도.[3] 역시나 다케다 신겐이 죽은 게 컸다. 다만 카가국까지 진격한 겐신에게 테도리가와 전투에서 어마어마한 병력 손실을 입으며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서쪽의 모리 가문 역시 전력이 분산된 오다 가문보다 더 많은 병력을 전선에 투입해 밀어붙였다.[4] 실제로 노부나가 사후 정권을 차지한 히데요시는 미노 이동은 이에야스와 후호조씨가, 이세와 오와리는 오다 노부카츠가 가져간 상황에서도 나머지 영토만으로 압도적 최강의 세력이었다. 때문에 오랜 전쟁으로 힘이 빠진 타 다이묘들은 이에야스가 계획한 히데요시 포위망에 쉬이 참가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히데요시와 타협을 선택하여서 히데요시는 노부카츠와 이에야스를 굴복시키고 후호조씨를 멸망시키며 일본을 통일할 수 있었다.[5] 물론 그렇다고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오다 노부나가가 쫒아냈다는 사실이 변하지 않는 이상 요시아키는 적어도 양다리를 걸쳤을 가능성이 높았다. 어차피 힘도 없는 쇼군 입잗에서는 어느 쪽이든 두려운 상대이기 때문. 그리고 사실 자신을 대신할 가능성이 있는 오다 노부나가보다는 종교 권력이라 쇼군이 될 가능성은 적은 혼간지를 더 응원했다고 해도 이상하지는 않다. 또한 어쨌거나 요시아키는 노부나가 손아귀에 있었던 것은 사실인지라 비위를 맞추기는 해야 했을 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