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카드명에 "No."가 들어간 카드군}}}에 대한 내용은 [[No.]]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카드명에 "No."가 들어간 카드군: }}}[[No.]]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넘버즈''' | |||||
| <colbgcolor=#111> 한국어판 명칭 | <colbgcolor=#fff> 넘버즈 | ||||
| 일본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 | ||||
| 영어판 명칭 | Number |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 - | - | 마법 / 함정 | |||
1. 개요
카드명에 "넘버즈"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군."No."와 관련된 효과를 지닌 카드들이다.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로 서치 가능한 카드군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로 "넘버즈" 마법 / 함정 카드는 정식 카드군이지만, "No." 몬스터를 비롯한 "넘버즈" 몬스터 카드를 카드군으로서 지정하는 카드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
2. 마법 카드
2.1. 글로리어스 넘버즈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글로리어스 넘버즈,
일어판 명칭=グローリアス・ナンバーズ,
영어판 명칭=Glorious Number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 묘지의 "No."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No."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패 1장을 그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 [ 원작 효과 ]
- ||<tablewidth=100%><width=20%> 한글판 명칭 ||글로리어스 넘버즈||
일어판 명칭 グローリアス・ナンバーズ 영어판 명칭 Glorious Numbers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유희왕 ZEXAL 97화에서 벡터가 츠쿠모 유마와의 2차 듀얼 중 사용, 묘지의 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샤이닝을 부활시켰다.
꽤나 시간이 흐른 후에야 OCG화되면서 턴제약이 붙은 대신 ②의 효과가 추가됐다.
①의 효과는 원작 효과 그대로다.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어야 하니 조건이 쉽진 않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패 1장을 No.의 엑시즈 소재 1개로 조달하는 효과. 마법 / 함정 카드도 소재로 쓸 수 있고, ①의 효과를 쓴 뒤 바로 연계할 수도 있다.
일러스트는 원작처럼 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샤이닝이 부활하는 모습.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 2018 | CP18-KR03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COLLECTORS PACK 2018 | CP18-JP03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 BLRR-EN035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2.2. 넘버즈 에버이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넘버즈 에버이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넘버즈 에버이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라스트호프 넘버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스트호프 넘버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스트호프 넘버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함정 카드
3.1. 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넘버즈 오버레이 부스트,
일어판 명칭=ナンバーズ・オーバーレイ・ブースト,
영어판 명칭=Numbers Overlay Boost,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없는 "No."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패의 몬스터 2장을\, 그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오버레이란 이름이 붙은 다른 카드와 같은 엑시즈 소재 보충 카드. 패의 몬스터면 뭐든 상관 없이 2장이나 엑시즈 소재로 만들어 준다.
원작에선 고슈와 파트너를 맺은 아리트가 츠쿠모 유마 & 드로와와의 태그 듀얼에서 쓴 카드. 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의 엑시즈 소재가 없어졌을 때 발동해, BK 카운터블로와 카운터 함정인 카운터즈 하이를 라이언하트의 엑시즈 소재로 만들었다. 원작에선 필드의 넘버즈의 엑시즈 소재가 없어졌을 때에만 발동할 수 있는 대신, 몬스터 이외의 패의 카드도 엑시즈 소재도 할 수 있는 효과였다.
일러스트에 나온 몬스터는 No.105 BK 유성의 세스터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섀도우 스펙터즈 | SHSP-KR07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SHADOW SPECTERS | SHSP-JP07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Return of the Duelist | SHSP-EN07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3.2. 넘버즈 월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넘버즈 월,
일어판 명칭=ナンバーズ・ウォール,
영어판 명칭=Number Wall,
효과외1=자신 필드에 "No."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의 필드의 "No."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고\, "No." 몬스터 이외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자신 필드의 "No."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 [ 원작 효과 ]
- ||<tablewidth=100%>자신 필드 위의 "No."라는 이름 붙은 몬스터는, 카드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TCG의 넘버 헌터즈 팩에서 선행 발표된, OCG 사상 최초의 No. 서포트 카드.
원작에서는 넘버즈의 효과 파괴만을 막아주는 카드였으나, OCG화되면서 충격적이게도 원작 넘버즈 특유의 전투 내성이 포함된 채 넘어왔다!! 대신 넘버즈가 파괴되었을 때 같이 파괴되는 페널티를 받았다. 하지만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면 넘버즈는 넘버즈끼리의 전투가 아니고선 파괴 자체가 불가능해지므로 넘버즈 덱을 상대하는 게 아니면 저 페널티는 없다고 봐도 된다.
궁정의 관습,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 등의 이 카드를 보호하는 카드, 또는 파괴 효과를 무효화할 수 있는 카드들로 이 카드를 지키면서 강력하지만 보호가 힘든 넘버즈들을 쉽게 지킬 수 있다. 특히 No.22 프랑켄 은 이 카드의 보호를 받으면서 동시에 이 카드를 보호해줄수 있으니 궁합이 좋다. 또한 No.49 비조 포츈츈이나 CNo.88 기믹 퍼핏-디재스터 레오처럼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녀석이 이 카드의 지원까지 받으면 굉장히 골치 아파진다.
No.39 유토피아는 특유의 디메리트를 지워버릴 수 있어 원작과 거의 유사한 효과로 운용이 가능하다.
원작사용자는 III. III&IV VS 텐조 카이토&츠쿠모 유마전에서 사용. No.15 기믹 퍼핏-자이언트 킬러와 No.40 기믹 퍼핏-헤븐즈 스트링스의 효과 발동시에 발동하여 자신의 No.33 오파츠 마추 마크를 지킨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이와 똑같은 이름과 비슷한 효과로 '넘버즈 월'이라는 스킬이 존재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컬렉터즈 팩 제알 편 | CPZ1-KR04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컬렉터즈 팩 ZEXAL편 | CPZ1-JP048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Number Hunters | NUMH-EN058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수록 |
3.3. 넘버즈 프로텍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넘버즈 프로텍트,
일어판 명칭=ナンバーズ・プロテクト,
영어판 명칭=Numbers Protec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No."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No."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넘버즈 전용 카운터 함정.
일반적인 카드군 서포트 카운터 함정처럼, 마법/함정 카드의 효과 발동을 제외한 모든 효과 발동을 무효화하고 파괴한다. 즉, 지속물의 기동/유발 효과가 발동할 때나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할 경우에는 막을 수 없다.
②의 효과는 "No." 엑시즈 몬스터가 파괴될 경우에 묘지에서 다시 세트할 수 있는 효과. 당연히 샐러맨그레이트 로어처럼 이 효과로 세트한 후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된다. 마찬가지로 카운터 효과인 ①번과 같은 턴에 못 사용하니 주의.
성능은 그럭저럭 좋은 편.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라는 서치 수단도 있으므로 잘 쓰면 좋다. SNo.0 호프 제알이 금지된 이후에 나온 것이 천만다행인게, 만약 호프 제알이 현역이던 시절 나왔으면 파훼는 더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이후 엑시즈 언브레이커블 배리어가 출시되어 활용도가 다소 떨어졌다. 이 카드는 자원소모 없이 무효만이 아니라 파괴까지 행하고 자체 재활용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엑시즈 언브레이커블 배리어쪽이 서치가 더 용이하고 모든 엑시즈를 대상으로 해서 편의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 수록 시리즈 |
2021-09-27 | SD42-KR037 | 스트럭처 덱 오버레이 유니버스 |
2024-03-26 | QCCU-KR076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
4. 지정 범위 외의 "넘버즈" 카드
5. OCG화되지 않은 카드
5.1. 마법 카드
5.1.1. 넘버즈 임팩트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임팩트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インパクト |
| 영어판 명칭 | Numbers Impact(비공식 번역명) |
| 속공 마법 | |
|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자신 필드의 "No."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이 그 몬스터보다 1000 이상 높을 경우,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 |
5.1.2. 넘버즈 이보케이션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이보케이션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イヴォケーション |
| 영어판 명칭 | Numbers Evocation(비공식 번역명) |
| 일반 마법 | |
| 자신 필드 위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자신 묘지에서 "No."라는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한다. | |
5.1.3. 넘버즈 카르마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카르마(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カルマ |
| 영어판 명칭 | Number Karma(비공식 번역명) |
| 지속 마법 | |
| 양쪽 플레이어는 엔드 페이즈시 각자 자신 필드 위에 "No."라는 이름 붙은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500 포인트 데미지를 받는다. | |
5.2. 함정 카드
5.2.1. 넘버즈 리턴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리턴(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リターン |
| 영어판 명칭 | Number Return(비공식 번역명) |
| 일반 함정 | |
|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서 "No."라 이름 붙은 엑시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또한, 그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에 필요한 소재의 수만큼 자신의 묘지의 "No."라 이름붙은 몬스터를 선택한다. 그 후, 선택한 몬스터를 이 카드의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 "No."라 이름 붙은 엑시즈 몬스터의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 |
아스트랄이 111화에서 블랙 미스트와의 듀얼 도중 사용한 카드.
5.2.2. 넘버즈 리프트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리프트(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リフト |
| 영어판 명칭 | Number Lift(비공식 번역명) |
| 일반 함정 | |
| 자신의 묘지에서 "No."라 이름 붙은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 |
5.2.3. 넘버즈 매직 마스터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매직 마스터(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マジック・マスター |
| 영어판 명칭 | Number Magic Master(비공식 번역명) |
| 일반 함정 | |
| 자신 필드 위의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릴리스 하고, 덱에서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발동할 수 있다. | |
5.2.4. 넘버즈 데스 록
| 한글판 명칭 | 넘버즈 데스 록(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ナンバーズ・デス・ロック |
| 영어판 명칭 | Number Des Lock(비공식 번역명) |
| 지속 함정 | |
| "No."라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엔드 페이즈시에, 선택한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 공격력 만큼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o., version=1757, uuid=cf507c24-a424-4a0e-977d-76ca6fa6dcab,
title2=글로리어스 넘버즈, version2=14, uuid2=e46cda14-c108-42ee-8ed0-39b373433aa4,
title3=오버레이, version3=25, uuid3=08345304-3005-418f-84bf-33980ef8c85a,
title4=넘버즈 프로텍트, version4=25, uuid4=06878747-468b-40d1-9141-5dd1be98862e,
title5=넘버즈 월, version5=34, uuid5=e3e814d9-c605-44c5-9c2c-dcc1ca93cd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