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4:34:48

내러티브 건담/모형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내러티브 건담
1. 개요2. 건프라
2.1. HG
2.1.1. 내러티브 건담 A 장비
2.1.1.1. 내러티브 건담 A 장비 한정판
2.1.2. 내러티브 건담 B 장비2.1.3. 내러티브 건담 C 장비
2.1.3.1. 내러티브 건담 C 장비 한정판
2.2. MG
3. 완성품
3.1. 식완

1. 개요

내러티브 건담의 모형화를 망라한 문서.

한 작품의 주역 건담인 만큼 모형화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영화 개봉당시 발매한 HG는 A장비를 필두로 모든 추가장비와 사양이 발매되었다. 23년 9월 말 MG C장비가 공개되었으며 그 외 피규어나 식완도 컨버지, G프레임 등으로 전개되었다.

2. 건프라

2.1. HG

영화에 등장했던 A 장비, C 장비는 일반제품으로 발매. B장비는 장비세트가 프리미엄 반다이로 수주받았으며 후일 건담베이스 한정으로 합본 단품이 발매되었다.

공통적인 특징으로 전체적인 키트의 품질감이 깔끔하며, 부드러운 kps소재를 각 요소에 채용해 조립감과 가동감이 뛰어나다. 외장이 동일한 A, B장비(합본)은 a1런너 17번 부품이 공통적으로 정크파츠 처리되는데, 이는 C장비에 가서도 사용되지않는 의미불명(?)의 부품이 되었다.

전체적으로 품질은 뛰어나지만 관절강도 조율에 문제가 있었던건지 가슴(명치와 복부를 이어주는 조인트)와 고관절, 팔꿈치가 굉장히 쉽게 헐거워진다. 또한 각 부위별 구조를 떼어놓고보면 상당히 퀄리티가 좋지만 최종적으로 조립을 완료하면 뭔가 전체적으로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든다.[1] 한마디로 퀄리티가 높긴하지만 설계 마감과 관절 유지력이 아쉬운 킷.

여담으로 블레이드 안테나의 플래그[2]가 제거하기 까다로운 모양새[3]라 조심해서 작업할 것 이 권장된다.

2.1.1. 내러티브 건담 A 장비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A장비_박스아트.png
<colbgcolor=#f1f0f0><colcolor=#3a4971>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8년 11월 30일
가격 5,5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f1f0f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3 #4

내러티브 극장 개봉과 함께 발매되었다. A장비의 큰 볼륨 덕에 가격은 다소 높은 편이다. 최신 키트답게 품질은 우수하고 극중 모습을 재현할 수 있는 기믹들도 여럿 탑재되었다. 사이코 캡쳐 전개기믹이 스무스하게 작동되지만, 앞부분에 잡아 주는곳이 없어 빠질 수 있고 다리관절이 부스터의 무게를 잘 못버티는 부분 정도가 아쉬운 점.[4] 사이코캡쳐 손가락부 검은색도 씰로 처리되었지만 붙이기도 쉽고 이질감도 없어서 큰 단점은 아니다. 특이하게도 내러티브 건담 소체의 무기는 빔사벨 2정이 전부이지만 라이플을 쥐는 손 파츠도 포함되어있다.이 손은 C장비가 나오고서야 용도가 확인되었다. 최신 HG계열 답게 앞스커트 분할기능도 지원한다.[5]
2.1.1.1. 내러티브 건담 A 장비 한정판

  • 이벤트 한정
    클리어 컬러
    • 일본 건담베이스 및 각종 행사(팝업스토어 등) 이벤트 한정판. 2023년 7월 29일 발매, 가격 5,500엔.
    • 리뷰:
      해외
      #1

    하얀 외장은 밀키 클리어, 연회색 외장은 스모크 클리어, 프레임부는 메탈릭 실버, 스탠드는 펄입자가 들어간 클리어 블랙, 적&청&황&네이비 색상은 각자 대응하는 클리어 컬러로 사출되었다. 호불호 갈리는 밀키 클리어 킷 치고는 꽤나 화사해서 평이 괜찮다. 거기에 HG치고 나름 내부가 꽉 찬 내러티브 건담의 내부 기믹을 구경하는 맛이 있어 호평받는다.

2.1.2. 내러티브 건담 B 장비

<colbgcolor=#f1f0f0><colcolor=#3a4971> 박스아트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용-B장비확장세트_박스아트.png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B장비_박스아트.png
상품구분

내러티브 건담용 B 장비 확장 세트
(단품)
내러티브 건담 B 장비
(합본)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9년 4월 2019년 12월 20일
가격 1,300엔 3,000엔
링크 단품/제품 페이지 합본/제품 페이지

<colbgcolor=#f1f0f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B 장비는 기존 HGUC 내러티브 건담 A 장비에 포함된 소체용 적용 가능한 확장 세트(단품)와 소체와 B 장비가 모두 포함된 합본 제품이 각각 발매되었다.

확장 세트의 경우, 사실상 무려 5,500엔의 HGUC 내러티브 건담 A 장비를 하나 더 구매해야 해서 팬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심지어 B 장비로 재현하면 A 장비는 사실상 정크 파츠에 가깝기 때문에 활용도도 떨어졌기 때문이다. 구성은 대형 백팩, 인컴 유닛x2, 리드선x2, 빔사벨 홀더[6], 빔 사벨x2, 특제 실드x2, 인컴 전시용 지지대[7]가 있다. 인컴은 리드선을 끼우고도 수납이 가능하며 전개는 부품 교체방식이다. 실드는 건프라 오리지널 기믹으로 2개를 합칠 수 있다.

위 확장 세트의 불만을 수용했는지 건담베이스 한정으로 소체를 포함한 합본 제품이 발매되었다. 기존 B 장비를 재현하기 위해 A 장비를 하나 더 구매한 사람들에겐 뒤통수를 때린 것이고, B 장비를 구입하지 않았던 사람에게는 저렴한 금액으로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소체만 추가된 것이기 때문에 구성에 차이는 없고 특징도 동일하다. 후술할 C 장비까지 포함하면 각 장비별 키트들의 가격으로 보아, 소체는 1,700엔, A 장비 파츠는 3,800엔, C 장비 파츠는 약 600엔으로 추정된다.

인컴장비를 등에 장착할 시 안그래도 건들거리는 내러티브 건담의 흉부관절이 점점 약해져 결국 뒤로 고꾸라지기 일수다. 관절 보강작업을 하거나 자체적으로 스토퍼를 만들어 받쳐놓는것이 권장된다.

2.1.3. 내러티브 건담 C 장비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C장비_박스아트.png
<colbgcolor=#f1f0f0><colcolor=#3a4971>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19년 3월 9일
가격 2,3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f1f0f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3

품질이 좋고 핑크 클리어 파츠 덕분에 화려한 느낌이 있다. 하지만 일부 파츠의 고정성이 나쁘고[8] 쉴드의 디테일 표현이 아쉬운 편[9] 이다. 백팩의 빔사벨 고정부가 부러지기 쉬운 구조에다, 내러티브 건담 소체의 공통적 문제점인 관절강도가 타이트하지 않아 건들거린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준 액션 처럼 쉴드를 등에 비스듬히 거치할 수 없고 왼손에 빔라이플+쉴드, 오른손에 빔사벨을 들고 네오지옹에게 돌진하는 모습도 재현할 수 없으며, 페넥스와 맞잡을 손 부품도 따로 제공되지 않는 것[10]이 아쉬운 부분으로 꼽힌다. 그래도 외형&설정에서 오는 호불호만 제외하면 무난하게 추천할 만한 제품이다.

일부 외장 파츠가 없어 기본형을 온전히 재현할 수가 없다. 이 외에 A장비는 다리의 사이코 프레임 추가로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A장비와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다.

여담으로 으레 건프라 키트에 넣어주는 SB런너, 즉 빔 사벨 칼날 런너가 들어있지않고, 내러티브 건담 C장비의 런너에 사출시켜 버렸다. 덕분에 천편일륜적인 연질의 클리어 핑크가 아닌, 단단한 재질의 클리어 레드 빔 사벨 칼날을 볼 수 있다. 다만 경질소재로 사출 된 만큼 파츠내부에 기포가 올라온다거나, 휘어짐&구부러짐에 내성이 없어 파손되기가 쉽다.
2.1.3.1. 내러티브 건담 C 장비 한정판

  • 이벤트 한정
    클리어 컬러
    파일:HGUC 내러티브 건담 C 장비 클리어 컬러 패키지.jpg

  • 유색 클리어 사출의 한정판으로, 원래 회색 파츠였던 얼굴의 뺨, 프론트 스커트, 종아리 양쪽, 앵클 가드 등은 옅은 블루 계열로 변경되었다. 프레임 부분은 메탈릭 컬러로 사출되었다. 일반판에 비해 화사해진 색감으로 내러티브 건담 제품 중에선 인기가 많은 편.

  • 티타늄 피니시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C장비-티타늄피니시_박스아트.jpg
    • 2019년 11월 발매, 가격 5,600엔.
    • 리뷰:
      해외
      #1

    흰색 파츠는 티타늄 피니시, 사이코 프레임 파츠는 반광 코팅이 적용되었으며 그 외 파츠는 메탈릭 컬러로 사출되었다.

  • 이벤트 한정
    각성 이미지 컬러
    파일:HGUC_내러티브건담-C장비-각성이미지컬러_박스아트.jpg
    • 일본 건담베이스 및 각종 행사(팝업스토어 등) 이벤트 한정판. 2023년 8월 5일 발매, 가격 2,300엔.
    • 리뷰:
      해외
      #1

    영화 후반 사이코 프레임이 파란색으로 변경됐을 때의 모습을 재현한 한정판. 소체 및 실드 등의 사이코 프레임은 라메(빛나는 금속 입자)가 들어간 클리어 블루로 사출되었으며[11], 소체의 화이트 컬러가 사이코 프레임의 반사를 이미지한 색[12]으로 변경되었다.

2.2. MG

파일:MG 내러티브 건담 C장비 Ver.Ka 패키지.jpg
<colbgcolor=#f1f0f0><colcolor=#3a4971> 브랜드 Master Grade Ver.Ka
스케일 1/100
발매 2024년 4월 27일
가격 7,0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 특설 페이지(한국어)

<colbgcolor=#f1f0f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일본|]][[틀:국기|]][[틀:국기|]]
#1 #2 #3
내러티브 건담은 「기동전사 건담 UC」 외전의 주역기 이므로, 사이코 프레임 탑재형으로서 계획되었습니다. 하지만 내러티브는 세계관적 배경으로 뉴 건담, 유니콘 건담보다도 나중입니다. 그런 위치이기에 캐릭터를 돋보이고자 고려한 디자인이 「사이코 프레임은 유니콘에서의 유용」이라는 점 (설정과 프라모델 양쪽의 입지를 고려하여) 과 「코어 블록 시스템 탑재형 건담 (해당 시간대에서의 코어 파이터를 보고 싶고, 그려보고 싶었습니다!)」 라고 하는 두 가지의 컨셉으로 구상하였습니다. 모형의 기믹으로도 이번 Ver.Ka의 특징은 이 2점이겠죠, 어느 쪽이든 최고, 최신의 건프라 기술이 들어간 느낌입니다.
카토키 하지메 #공식 번역문, #원문
제61회 전일본 모형 하비쇼에서 공개되었다.# 해당 전시회에서 전시된 샘플을 보면, C형 장비으로 재현되었으며 사이코 프레임은 해체해 기본형으로 만들수 있다. # 또한, 코어 파이터가 분리·변형되는 사양으로 들어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 뒷면의 백팩에 뉴 건담의 핀 판넬 조인트와 유사한 부품이 추가된 것이 확인되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동년 12월에 공개 예정.

GUNDAM NEXT FUTURE 2023 행사 3일차에 진행된 건프라 SP 스테이지 Vol.2에서 해당 키트의 주목 포인트로 보는 각도에 따라 반짝반짝 빛나며 색이 변화하는 듯한 사이코 프레임이라고 언급하였다.#[13]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내러티브 건담이니 만큼, 자신이 원하는 MS는 MG화 되지않았는데 왜 이게 나오냐는 의견을 가진 팬들도 있고, 신제품 MG는 나와주는게 그냥 고마운거라며 달관한 팬층도 존재하는 등 상당히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14]

2023년 12월 20일에 공개된 추가 정보에 의하면, 사용하는 사이코 프레임 파츠가 기존의 MG 유니콘 건담과 완전 호환된다. 발광하지 않는 상태의 회색 사이코 프레임 파츠가 들어가는데, 이 부품이 MG 유니콘 건담 Ver.Ka의 사이코 프레임의 금형을 그대로 사용했다고 한다.# 클리어 핑크의 사이코 프레임은 디테일 추가 등이 이루어진 신규 파츠지만, 설계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MG 유니콘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MG 유니콘 건담 Ver.Ka에 이 회색 사이코 프레임을 적용하여 극중 발광현상을 진정시킨 디스트로이 모드를 재현할 수 있다고 한다. 반대로, 금형이 동일하여 유니콘 건담의 사이코 프레임뿐만 아니라, 2호기 밴시, 3호기 페넥스의 사이코 프레임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래서 페넥스를 사용하면 NT 작중에 등장했던 푸른색으로 발광하는 사이코 프레임의 내러티브 건담도 재현이 가능하다.# 다만, 2종의 사이코 프레임 때문인지 별다른 무장이나 특별한 기믹이 없음에도 가격이 7,000엔으로 높게 책정되었다.

출시 후 리뷰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MG 뉴 건담 Ver.Ka의 핀 판넬을 장비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발매 후 극강의 조립감과 만드는 재미를 추구한, 간만에 나온 속이 꽉찬 MG라는 호평이 자자하다. 디자인적인 컨셉에서 오는 호불호는 차치하고라도 고퀄리티 키트에 목말랐던 건프라 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다.

아쉬운 점으로는 코어 파이터의 다소 복잡한 변신 구조 때문에 파손 가능성이 높다는 점, 사이코 프레임의 탈착이 영 귀찮다는 점, 내부 기믹이 촘촘해서 조립 시 실수가 발생할 일이 크다는 점 등이다. 관절 가동 기믹도 뛰어나지만 힘을 받는 작용점이 불안하게 설계된 부분이 있어 사후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완성품

3.1. 식완


[1] 가동률이나 어깨 인출기믹, 프레임파츠의 재질감 모두 상당히 고급지긴 한데...다 조립해놓고 보면 뭔가 따로논다는 느낌이 크게 든다.[2] 날카로운 블레이드 안테나의 조형에 덧붙이는, 찔림방지용 가이드. HG등급에서 흔히 사용된다.[3] 블레이드 안테나가 굉장히 얇은데, 그 아래 대놓고 뭉툭한 플래그가 붙어있어 심히 보기좋지않다. 제거작업시 안테나가 파손되기 쉬운것도 문제.[4] 한쪽 다리 부스터의 무게가 소형HG급이라 고관절에 많은 무리가 간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 한 부분[5] 하이메가입자포 파츠가 스커트 외장을 떼어낸 후 조인트에 결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 과 달리 앞 스커트를 분할하더라도 탈착에 큰 문제는 없다. 손가락을 스커트 뒷편에 집어넣어 조인트 결합유무를 확인하며 조작하면 장착하기도 쉬운 편. 건프라 조작에 어느정도 조예가 있다면 큰 어려움 없이 장착할 수 있다.[6] HGUC A 장비, C 장비에도 정크로 들어있던 부품이다.[7] 투명 막대인데, 정작 지지대가 없고 뿌리 부분에 3mm 조인트 숫핀이 있어서 액션베이스를 팔기 위한 반다이의 상술로 비판 받았다.[8] 특히 어깨 위의 클리어 파츠가 잘 빠지는 편[9] 쉴드 뒷면의 미사일 4개중 두개에 골다공증이 있다.[10] 내러티브 건담은 손파츠의 디테일이 좋은 편인데, 문제는 양쪽의 주먹손과 라이플용 오른손 뿐이라는 것이다. 커스텀 파츠들과도 상이한 독자적인 디테일 때문에 빌드를 하기도 영 석연치 않다는 평.[11] 대신 사이코 프레임 런너에 빔 사벨 날 부분도 포함된지라 사벨 날이 청색이 되버렸다.[12] 아주 미약하게 푸른끼가 도는 흰색. 통상판 내러티브 건담과 비교하면 한눈에 보이지만 단독으로는 그렇게 티나지 않는다.[13] MGSD에서 도입한 리플렉션 컷과 비슷한 원리지만, 반복 패턴인 리플렉션 컷과는 다르게 카토키 하지메가 단면 하나하나의 각도를 일일히 디자인하였다.[14] 후자는 신규 MG가 나오는 텀이 매우 길어진 지금, 나오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는 의견이 대표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