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무협소설 한백무림서의 등장인물. 별호는 검성이다. 육대세가 중 남궁세가의 태상봉공이며, 세가에서 배분도 가장 높다. 허공진인과 비슷한 연배이며 천하오대고수를 꼽을 때 단골로 등장하는 인물이다. 조카는 남궁가주 검왕 남궁력. 종손자는 남궁비. 천하오대고수의 반열에 들면 자연스럽게 속세의 일에는 거리를 두는 다른 이들과 다르게 세가의 일이나 전투에 자주 모습을 드러낸다. 아무래도 도교에 기반을 둔 허공진인이나 매화검신과 달리 세가 출신인 것이 원인인듯.2. 상세
독문무공 '창궁무애검법'을 사용한다. 강맹한 검기(劍技)와 상단전의 염력이 조화된 검법으로, 염력을 초식 수준으로 녹여내어 검뿐만 아니라 요혈을 노리는 염력까지 신경써야 상대할 수 있다. 명경은 남궁연신과의 대결을 통해 이 검법을 겪고 십단금의 완성에 더 나아가게 된다.무당마검에서는 명경을 밀어부쳤다. 당시 명경은 당천표, 팽일강과 싸운 여파가 남아있는데다 며칠동안 계속되는 추격전으로 인해 몸상태가 온전치 않았다.[1] 핸디빨이 있긴 했지만 낭인왕 사중비에게도 판정승. 남궁세가가 쓸 수 있는 최강의 카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력에 비해선 상황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물에 빠지는 굴욕까지 겪었다.
청운곡에서는 금마륜 승뢰에게 모용청과 함께 덤볐지만 밀렸고 승뢰의 필살기에 검이 가루가 된다. 물론 이때의 승뢰가 자신이 품고 있던 종산자고의 마기를 정화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뿜어내던 시점이기 때문에 이후 제천회로 전향한 승뢰보다 오히려 강했을 것은 감안해야하지만, 이런저런 활약상 때문에 독자들 사이에서는 같은 천하오대고수라도 허공노사와는 확실한 실력의 차이가 있다고 본다. 또한 십익이 완성되기 전에는 남궁연신에게 밀리지만 확고하게 자신의 무공을 완성한 뒤로는 남궁연신을 이길 수 있다라는 식의 초절정고수 수준에서의 전투력 측정 대상으로 여겨진다.
천잠비룡포에서 염라마신에게 가주인 남궁력을 잃었다. 이후 신마맹과의 싸움에 참가했고, 소연신의 장례식에 남궁가 대표로 와 명경과 합석해 식사를 한다. 말은 거의 없었지만 호의적인 분위기 였다고.
[1] 물론 명경은 귀도와 싸웠을 때처럼 싸움에 핑계는 없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