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비교언어학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EB887,#261f16><colcolor=#fff> 음운 변화 | 그림의 법칙 · 베르너의 법칙 · 제2차 자음 추이 · 모음 변화(대모음 추이) |
분류 | 어족(언어) · 어파 · 어군 · 미분류 언어 · 고립어 | |
제어 | 우랄 알타이 제어 · 알타이 제어 · 코이산 제어 · 대만 제어 · 고시베리아 제어 · 고유럽 제어 · 인도유럽 이전 언어 ·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 · 유대 제어 | |
기층 언어 | 게르만어파 기층설 · 바스크어 기층설 · 고히스파니아 제어 · 게일어 기층설 · 그리스어 기층설 · 반도 일본어설 · 핀우그르어파 기층설 | |
개념 | 언어의 역사성 · 조어 · 기층이론 · 동원어 · 가짜동족어 | }}}}}}}}} |
[clearfix]
1. 개요
基層言語 / substratum기층이론은 역사비교언어학에서 특정 언어의 변화가 어떠한 기층언어로부터 유래하였을 때 이것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층
언어학에서 층언어(stratum)이란 언어접촉을 통해 영향을 받거나 준 언어를 말한다. 언어접촉이 이뤄지는 사회에서 사용되는 두 언어는 대개 한쪽이 더 높은 위신이나 강한 힘을 가지고 다른 한쪽은 그렇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때 더 높은 위신을 갖는 언어를 상층언어(superstratum), 그렇지 않은 언어를 기층언어(substratum)이라 부른다. 이러한 언어접촉의 사회에서 기층어는 상층어에게 밀려 결국 사멸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렇게 소멸된 언어를 상층어에 대한 기층이라 한다. 이러한 기층에 의한 언어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기층이론이다.3. 특징
상층어와 기층어가 존재하는 사회에서 상층어과 기층어는 서로 지대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이러한 간섭과 교류는 기층어가 소멸해가는 과정에서도 이루어지고 결국 기층어가 소멸한 이후에도 그 기층어가 상층어에 준 영향과 흔적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상층어와 기층어가 혼합되어 새로운 언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대부분 기층언어는 원주민의 언어, 그 지역 사회에서의 본래 언어, 하층민의 주류 언어이며, 상층언어는 외부인으로부터 유입된 언어, 귀족과 같은 상위계층의 언어인 경우가 많다.예시로, 갈리아어를 기층으로 하여 속라틴어로부터 형성된 갈로-로망스어, 게일어를 기층으로 하여 근대영어로부터 형성된 스코틀랜드 영어, 고대 영어를 기층, 고대 프랑스어를 상층으로 하여 형성된 중세 영어 등이 존재한다.
4. 기층 가설
특정 언어의 기층어는 그 기층어 및 후계언어가 일부나마 전해지거나, 그 기층어에 대한 문헌 기록이 존재하거나, 기층 언어 자체는 전해지지 않으나 기층 언어의 친족 언어가 존재하여 비교할 수 있는 경우에 그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위 세 가지에 속하지 않는 경우, 곧 기층 언어가 사멸하였고 그 후계언어와 친족언어 모두 사멸하였으며 기록에도 남아있지 않는 경우는 어떤 언어가 기층으로 가지고 있었는지, 그 기층이 어떤 언어인지 알기 어렵다. 어떤 언어가 기층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대개 원인불명의 언어변화나 기원불명의 대량의 차용어나 차용어로 의심되는 어휘들은 충분한 간접적인 증거가 존재한다면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기층어로 설명할 수 있다. 목록을 아래에 제시한다.- 선인도유럽제어(Pre-Indo-European languages)
- 게르만어족 기층설(Germanic substrate hypothesis)
- 러시아어-핀우그리아어족 간의 기층
- 바스콘어 기층설(Vasconic substrate hypothesis)
- 반도일본어
- 고유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