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02:21:04

금위대(만주국)


<colbgcolor=#FFC200><colcolor=#000> 금위대
禁衛隊
<nopad> 파일:금위대(만주국).jpg
창설일 1933년 2월
해체일 1945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만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만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만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만주국 국방부
규모 415명(1934년)
총사령 강덕제
참전 중일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역사

1. 개요

만주국 금위대(滿洲國 禁衛隊, 영어: Manchukuo Imperial Guards) 또는 줄여서 금위대(禁衛隊)는 1933년 창설된 만주군 소속 친위대이다.

황궁근위(호군)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둘은 별개이다. # 황궁근위는 호군(護軍)의 후신으로 일본제국 황궁경찰과 동일하게 궁내부(宮內部) 소속으로 황제의 신변 보호와 황궁 내부를 담당했고, 금위군은 익위군(翊衞軍)의 후신으로 근위사단(일본)을 본따 만든 만주군 소속의 정규군으로서 황궁 외부 경비를 담당했다.

2. 역사

1932년 만주국 건국 직후, 집정 푸이는 자신의 개인 호위대인 호군(護軍, 이후 황궁근위)과 별도로 만주군에서 병사를 파견받아 익위군(翊衛軍)이라고 명명하고 호위하게 하였다.

1934년 3월 1일 제정 시행으로 푸이가 강덕제로 즉위하면서 기존의 만주국 육군 익위군은 대만주제국 육군 금위보병단으로 개편되었다. 금위보병단의 인원은 415명이었다. 1936년(강덕 3년) 기병과 예포 포병이 더해져 금위대가 되었다. 1941년(강덕 8년) 사령부가 설치되었다. 푸이의 남동생인 푸제는 금위대 보병 제3연연장(連連長, 연대장)이었다.

근위사단(일본)과 마찬가지로, 지방의 반란 진입 또는 비적 토비에 파견되어 참여했다.

종전 이후 소멸하여 전범수용소로 보내지거나, 각자 장제스 세력이나 마오쩌둥 세력에 흡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