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6 23:17:33

그린 수소

그린수소에서 넘어옴
1. 개요
1.1. 유관 개념
2. 현황3. 해결 과제4. 관련 문서

1. 개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 분해하여 얻어지는 수소.

또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만든 수소 일체를 일컫는다.

1.1. 유관 개념

수소 문서에 정리되어 있듯, 생산 방식 및 탄소 배출 여부에 따라 수소에 색을 호칭하여 붙인다.
  • 그레이 수소 (회색, Gray) - 탄소를 배출하며 만든 수소.[1]
    • 화이트 수소 (백색, White) - 정유, 화학 공정의 부생 수소. 직접 수소를 채굴한 경우도 에너지가 들어서 여기 해당.
    • 브라운 수소 (갈색, Brown) - 석탄(갈탄)을 이용해 만든 수소.
  • 블루 수소 (청색, Blue) - 탄소 포집을 하며 만든 수소.[2]
    • 터퀴즈 수소 (청록, Turquoise) - 탄소 포집으로 유용한 고체 탄소(C)나 메탄올 등을 만들며 만든 수소.
    • 아쿠아 수소 (물빛, Aqua) - 오일샌드에 수압파쇄법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는 지하에 둔 채 수소만 지상 추출한 것.
  • 그린 수소 (녹색, Green) -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만든 수소. 또는 재생에너지 전기로 만든 수소.
    • 옐로 수소 (황색, Yellow) - 상용 전력으로 전기분해로 만든 수소.
    • 핑크 수소 (분홍, Pink) - 원자력 전기분해로 만든 수소.
    • 퍼플 수소 (자색, Purple) - 원자력 고온+전기로 만든 수소.
    • 레드 수소 (홍색, Red) - 원자력 고온분해로 만든 수소.
    • 오렌지 수소 (주황색, Orange) - 수소전(지하 수소 매장지)에 이산화탄소를 밀어넣어, 탄소도 매장하고 수소도 생산하는 것.[3]

2. 현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소경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소경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소경제#|]][[수소경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국 현황은 해당 문서 참고.

3. 해결 과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기 분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기 분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기 분해#|]][[전기 분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전해('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조') 기술은 해당 문서 참고.

4. 관련 문서



[1] 2021년 시점까지도 수소 생산의 99%가 이래서 문제가 제기되었다.[2] 공정 전체가 탄소를 배출하느냐 여부가 논쟁적이다. 긍정 측에서는 그린 수소와 같이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부정 측에서는 2021년 블루 수소의 탄소 배출량도 그레이 수소의 88~91%에 달한다는 연구를 발표하기도 했다. #[3] 따라서 이 방법은 그린수소(탄소배출 0)도 넘어서, 탄소배출이 마이너스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