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1:47:37

구닝터우 전투


1. 개요2. 상세3. 전투 승리 뒤에 감춰진 어두운 면4. 여담5. 출저

1. 개요

古寧頭 戰鬪.

(1949.10.25 ~ 1949.10.27)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이 구닝터우 해변에서 벌인 전투.[1]

1949년 국공내전 말기에 중국 인민해방군 측에서 진먼쪽으로 상륙대를 밀어넣은 것을 계기로 전투가 벌어졌다. 이에 중화민국 국군은 구닝터우 해변에서 인민해방군을 격퇴하고, 대륙으로 몰아내는데 성공한다.

2. 상세

당시 진먼에 정박 중이던 전차상륙함 중룽(中榮)함이 대만에서 운반한 설탕을 진먼의 땅콩기름과 교환하는 밀수를 하려고(...) 기상악화를 핑계로 출항을 미루고 정박했다가 우연히 진먼에 상륙하려던 인민해방군 상륙대를 발견하고 공격해 격퇴했다.

3. 전투 승리 뒤에 감춰진 어두운 면

고령두전투의 승리로 중화민국 측의 지배가 확고해졌지만, 이 과정에서 원래 진먼현 관할 지역 중 다덩 향(大嶝鄕)에 속하던, 다덩다오(大嶝島; 대등도), 샤오덩다오(小嶝島; 소등도), 자오위(角嶼; 각서), 3개 섬과 그 주변 암초들로 이루어진 다덩(大嶝; 대등) 군도를 인민해방군에게 빼앗기고 만다.[2][3]

4. 여담

  • 한 때, 구낭터우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인 진먼은 1949년 국공내전 막바지 당시 밀리고 밀리던 중국국민당 측의 최후의 방어선이 된다. 그래서 세계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5. 출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어로는 "고령두 전투" 라고 쓴다.[2] 현재 이 지역은 샤먼시 샹안구가 관할하는 다덩가도(大嶝街道)다.[3] 때문에 1970년까지 중국 대륙에도 진먼현이 존재했다. 1955년에 다덩 군도를 관할하기 위해 이곳에 진먼현 인민정부를 설치했으나, 이곳만으로 진먼현을 유지하는 것은 여러모로 어려움이 많았기 때문에 1970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은 진먼현 인민정부를 폐지하고 그 관할 지역을 퉁안현에 병합해 진먼현을 폐지하였다. 국공내전 막바지부터 1955년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무렵까지는 여전히 중화민국이 통제하고 있던 연안 도서지역 거점들을 차지하기 위한 인민해방군의 상륙작전과 공세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이대로라면 진먼현도 조만간 온전히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비하기 위해 향후 진먼현 전체를 관할하기 위한 인민정부까지 설치하면서 진먼현을 유지하였지만, 진먼 포격전에서 진먼현을 차지하는 데 실패한 이후 가까운 미래에 진먼현을 손에 넣을 가능성이 갈수록 낮아지자 다덩 군도만으로 진먼현을 유지하는 것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