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08:17:57

빛 구

광자구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 블랙홀
Black Hol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rowcolor=#000,#fff> 구조사건의 지평선 | 빛 구 | 제트 | 중력 특이점
용어 호킹 복사 | 에르고 영역 | 밀집성 | 티플러 원통 | 에딩턴 광도 | 블랙홀 정보 역설
기타 웜홀 | 화이트홀 | 마이크로 블랙홀
인물 스티븐 호킹 | 킵 손 | 로저 펜로즈
문서가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 | 포웨히 | 백조자리 X-1 | S5 0014+81 | XTE J1650-500 | Tonantzintla 618 | 봉황자리 A | }}}}}}}}}
파일:SSI_20141024110406_V.jpg
파일:external/rantonels.github.io/bhscattersmall.png
위 이미지에서 강착 원반과 사건의 지평선 사이에, 두꺼운 바깥의
빛 안 마치 금환 일식 모양의 앏은 빛이 보이는 지역이 빛 구(Photon Sphere)이다
위 이미지에서 주황색 선은 빛의 진행 방향(우->좌),
녹색 원이 빛 구이며, 검은색 원이 사건의 지평선이다
1. 개요2. 설명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Photon Sphere

블랙홀 주변에 존재하는 두께 0인 지역. 광자구, 빛의 껍질이라고도 불린다.

2. 설명

블랙홀 주위를 지날 때 직진하지 않고 휘어지게 된다. 블랙홀에 더 가까워지면 빛은 몇 바퀴 돌고 빠져나오고, 더 근접하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블랙홀 쪽으로 들어가는 빛과 블랙홀 밖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가르는 두께가 0인 경계를 바로 빛 구라고 한다. 이 공간에서의 빛은 아직 탈출할 가능성이 있지만 아주아주 약간만 더 가면 빛이 빨려 들어가지도 않고, 완전히 빠져나오지도 않는다. 이 경계를 타게 된 빛은 원 궤도를 그리며 블랙홀 주위를 돌게 된다. 마치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처럼.

이론적으로, 빛 구는 한 개의 빛줄기 기준으로 안정적인 궤도가 아니다. 빛은 안정적인 원 궤도를 유지할 수가 없다. 뾰족한 산꼭대기에 놓인 바위와 같다. 회전하면서 조금이라도 반지름이 바뀌면 빛은 빛 구에서 벗어나게 된다. 다만 워낙 많은 빛들이 블랙홀 주변을 지나므로 이들이 이루게 되는 빛 구의 형태 자체는 유지될 것이다.

빛 구의 반지름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을 기준으로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사건의 지평선의 반지름)의 3/2 배이다.

[math(\displaystyle r_{\text{photonsphere}} = \frac{3}{2}r_s = \frac{3GM}{c^2})]


따라서, 빛 구의 크기는 블랙홀의 질량에 비례한다. 물론 블랙홀의 질량은 호킹 복사와 물질/에너지 흡수로 인해 매 순간 변하며, 빛 구가 유지되는 궤도도 변한다. 다만 블랙홀의 총 질량에 비하면 이러한 변화는 매우 느리며 우리가 보았을 때는 충분한 시간동안 빛 구가 가만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빛으로 이루어진 구지만, 외부에서는 진입 각도가 크거나 블랙홀의 질량 변화로 궤도가 틀어져 밖으로 빠져나오는 광자만을 관측할 수 있을 뿐 빛 구 자체를 관측할 수는 없다. 또한 광자 자체는 영원히 빛 구에 잡혀있더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적색 편이가 발생하므로 관측자가 빛 구에 진입하더라도 실제로 느끼는 광량(가시광선)은 적을 것이다.

3. 여담

강착 원반, 제트와 함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블랙홀의 구성 요소 중 가장 구형에 가깝기 때문에 관련 지식이 없다면 빛 구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빛 구는 블랙홀의 질량과 반지름에 따라 궤도 유지 속도가 광속이 되는 지점에 형성되므로 천체 탈출 속도가 광속이 되는 지점과는 엄연히 다르다.

4.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