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한민국에서 사용한 가솔린 동차를 정리한 문서.2. 협궤
한때 협궤 수인선 등 구간에서 활용되었으며3등 가솔린 동차라고 칭했었다. 경동철도에서 도입했지만 성능 저하와 노후화로 1966년도에 퇴역했다. 경성공장에서 조립된 전전(戰前) 일본식 3등 객차의 디자인을 취한 차량이다. 일본 국철 키하 07형 기동차(国鉄キハ07形気動車), 국철 키하 04형 기동차(国鉄キハ04形気動車)와 거의 동일한 모델이다. [1]
2.1. 경다1 (Kyungda 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다1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da 1 class gasoline car | }}} | |
| | |||
| 남인천역에서 촬영한 사진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 도입량 | 2량 | ||
형식도
| |||
2.2. 경다2 (Kyungda 2)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다2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da 2 class gasoline car | }}} | |
| | |||
| 형식도 [X]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 도입량 | 4량 | ||
2.3. 경다3 (Kyungda 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다3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da 3 class gasoline car | }}} | |
| | |||
| 형식도 [X]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 도입량 | 3량 | ||
2.4. 경다4 (Kyungda 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다4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da 4 class gasoline car | }}} | |
| | |||
| 형식도 [X]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 도입량 | 3량 | ||
2.5. 경다5 (Kyungda 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다5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ji 3 class gasoline car | }}} | |
| | |||
| 차량 정보 | |||
| 궤간 | 1435 ㎜ | ||
| 도입량 | 8량 | ||
형식도
| |||
2.6. 경지1 (Kyungji 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지1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ji 1 class gasoline car | }}} | |
| | |||
| 형식도 [X]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 도입량 | 1량 | ||
2.7. 경지3 (Kyungji 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대한민국 철도청 경지3형 가솔린 동차 Korean National Railroad Kyungji 3 class gasoline car | }}} | |
| | |||
| 차량 정보 | |||
| 궤간 | 762 ㎜ | ||
3. 중다형과 상세 제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하형 - 중다형 가솔린동차#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하형 - 중다형 가솔린동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미디어에서
8.15 광복 이후 조선총독부 철도국 직원들이 일본 본토로 철수 후 한국에 남겨진 철도자산 중 3등 객차 류의 열차들이 있었다.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이 자산들이 주로 비둘기호 등급으로 활용되었는데. 초창기에는 그냥 완행열차라고도 불렸다. 3등은 이 자산들을 의미한다. 3등 가솔린 동차, 디젤 동차 이외에도 일반 무동력 여객열차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