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강원대학교/학부|강원대학교/학부]]
{{{#!wiki style="margin-bottom:-5px; margin-left:-11px; margin-right:-11px; margin-top: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margin-top:-5px;" | 캠퍼스 | ||
춘천캠퍼스 | 삼척캠퍼스 | 도계캠퍼스 | |
대학 정보 | |||
역사 | 학부 | 대학원 | |
학사 제도 | 동아리 | 학내 언론 | |
커뮤니티 | 사건 및 사고 | 출신 인물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75cab>
}}}}}}}}} ||부속 시설
||동물병원 | 동해수련원 | ||
중앙박물관 | 도서관 | 학생생활관 |
| |||
춘천캠퍼스 | |||
간호대학 | 경영대학 |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과학대학 |
문화예술·공과대학 | 사범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산림환경과학대학 |
수의과대학 | 약학대학 | 의과대학 | 의생명과학대학 |
인문대학 | 자연과학대학 | IT대학 | 자유전공학부 |
삼척·도계캠퍼스 | |||
공학대학 | 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 | 보건과학대학 | 자유전공학부 |
1. 개요
강원대학교의 농과대학2. 전공
2.1. 스마트팜농산업학과
스마트팜농산업학과 Department of Smart Farm and Agricultural Industry | ||
[[http://cll.kangwon.ac.kr/ | ||
모집인원 | ||
22명[1]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자연과학대학 5호관 | ||
연혁 | ||
2016 | 강원대학교 평생학습중심학부 농생명산업학전공, 시설농업학전공 | |
201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미래농업융합학부 농생명산업학전공 | |
2023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농산업학과 |
2.2. 생물자원과학부
2.2.1.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 ||
[[http://appliedplant.kangwon.ac.kr/ | ||
모집인원 | ||
52명[2]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47 | 춘천농업대학 농학과 | |
1951 | 춘천농과대학 농학과 | |
1970 | 강원대학 농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물생산유전공학전공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량자원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식물자원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식물자원응용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2014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 |
1947년 농학과의 전통을 이어받은 전통있는 식물 전문 학과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은 강원대학교 설립과 동시에 처음 생긴 학과로,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생산과 농업적인 이용, 유전육종을 통해 질 높은 자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식물자원응용과학전공은 강원대학교 설립과 동시에 처음 생긴 학과로,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생산과 농업적인 이용, 유전육종을 통해 질 높은 자원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2.2.2. 식물의학전공
식물의학전공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 ||
[[https://plantmedicine.kangwon.ac.kr/applybio/index.do | ||
모집인원 | ||
52명[3]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79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병리곤충학과 | |
1983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식물보호학과 | |
1989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응용생물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공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
2014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
2023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자원과학부 식물의학전공 |
식물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과
본래 응용생물학과였던 식물의학전공은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곤충, 바이러스 등의 진단, 예방을 연구하면서, 곤충 생리학, 분류학 등 곤충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본래 응용생물학과였던 식물의학전공은 식물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곤충, 바이러스 등의 진단, 예방을 연구하면서, 곤충 생리학, 분류학 등 곤충 분야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3.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 ||
[[http://bse.kangwon.ac.kr/ | ||
모집인원 | ||
22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1호관 | ||
연혁 | ||
1992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기계공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농업기계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생물산업공학전공 | |
200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생물산업공학부 생물산업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시스템공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 |
201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 | |
202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자동화된 첨단 농업을 지향하는 학과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은 농업과 생물산업에 필요한 기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과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열역학, 공업수학, 유체역학 등의 공학개념과 농기계 및 생물산업기계의 작동원리와 기능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2025학년도부터 첨단학과로 지정되어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독립하여 새 이름으로 출범한다.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전공은 농업과 생물산업에 필요한 기계에 대해 연구하는 학과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열역학, 공업수학, 유체역학 등의 공학개념과 농기계 및 생물산업기계의 작동원리와 기능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2025학년도부터 첨단학과로 지정되어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독립하여 새 이름으로 출범한다.
2.4.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
[[http://foodtech.kangwon.ac.kr/ | ||
모집인원 | ||
31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 | ||
연혁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식품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06 |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07 |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 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1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산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 |
202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농산물을 우리의 식탁으로 인도하는 학과
식품생명공학전공은 농산식품의 가공, 발효 등의 과정과 첨가물, 기능성 평가 등 수확된 농산물이 식품으로 가공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농산물 및 식품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공방법을 중심으로 현대 식품산업에 대한 강의도 진행중에 있다. 2025학년도부터 "식품생명공학과"로 독립했다.
식품생명공학전공은 농산식품의 가공, 발효 등의 과정과 첨가물, 기능성 평가 등 수확된 농산물이 식품으로 가공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농산물 및 식품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공방법을 중심으로 현대 식품산업에 대한 강의도 진행중에 있다. 2025학년도부터 "식품생명공학과"로 독립했다.
2.5.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2.5.1.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농업자원경제학전공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 ||
[[http://agecon.kangwon.ac.kr/ | ||
모집인원 | ||
66명[4]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영상바이오관 | ||
연혁 | ||
1986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축산경영학과 | |
1988 | 강원대학교 축산대학 축산경영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축산대학 농업자원경제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동물영양자원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2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사료생산공학·축산가공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3 |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사료생산공학·축산식품과학·농업자원경제학과군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자원경제학과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 |
202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 |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경제 연구를 하는 학과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은 경제라는 넓은 범위 안에서 농식품산업의 시장분석, 경제학을 연구한다. 다른 산업군과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농식품분야의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부터 농산업 시장 현황에 대한 분야까지 강의 및 연구하고 있다. 2026학년도부터 학부제를 폐지하고 "식품자원경제학과"라는 이름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된다.
농업자원경제학전공은 경제라는 넓은 범위 안에서 농식품산업의 시장분석, 경제학을 연구한다. 다른 산업군과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농식품분야의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부터 농산업 시장 현황에 대한 분야까지 강의 및 연구하고 있다. 2026학년도부터 학부제를 폐지하고 "식품자원경제학과"라는 이름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된다.
2.5.2. 원예과학전공
원예과학전공 Department of Horticulture | ||
[[http://horti.kangwon.ac.kr/ | ||
모집인원 | ||
66명[5]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74 | 강원대학 원예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
199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원예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원예과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자원생물환경학과군 원예학과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원예·시스템공학부 원예과학전공 | |
201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농업자원경제학부 원예과학전공 | |
202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2.6. 지역건설공학과
지역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 ||
[[http://aed.kangwon.ac.kr/ | ||
모집인원 | ||
30명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1호관 | ||
연혁 | ||
1954 | 춘천농과대학 농업공학과 | |
1957 | (폐과) | |
፧ | ፧ | |
1968 | 춘천농과대학 농공학과 (재인가) | |
1970 | 강원대학 농공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농업토목공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지역기반공학전공 | |
2008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생물산업공학부 지역건설공학전공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첨단 기술로 탈바꿈하는 바꾸는 농촌 인프라
지역건설공학과는 토목공학에 기반한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기반시설의 설계와 시공에 대하여 연구한다. 일반적인 토목공학과 차별화되어 농산업에 이용되는 구조물이나 건축/시설물에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최적화된 기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건설공학과는 토목공학에 기반한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기반시설의 설계와 시공에 대하여 연구한다. 일반적인 토목공학과 차별화되어 농산업에 이용되는 구조물이나 건축/시설물에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최적화된 기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2.7. 환경융합학부
2.7.1.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Department of Biological Environment | ||
[[http://dbe.kangwon.ac.kr/ | ||
모집인원 | ||
64명[6] | ||
사용건물 | ||
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 | ||
연혁 | ||
1954 | 춘천농과대학 농예화학과 | |
1961 | 춘천농과대학 농화학과 | |
1970 | 강원대학 농화학과 | |
1978 |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1999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2002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생물환경화학전공 | |
2005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자원생물환경학과군 자원생물환경학과 | |
2010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 | |
202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환경융합학부 바이오환경화학전공 |
자원 생산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이루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과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환경과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고 있다. 토양환경학 및 식물영양학 분야, 생물자원 전반에 관련된 환경을 연구하는 환경화학 분야, 환경친화적 유해생물제어 및 농식품 안전성 관리를 위한 생물제어화학 분야, 환경생화학 및 토양미생물분야, 고부가가치 활성물질을 탐색 및 개발하는 천연물소재 분야, 바이오에너지 생산 연구 분야, 환경정화 및 기후변화 분야에 대하여 중점적인 교육을 하고 있다. 2026학년도부터 학과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바이오자원환경학전공은 환경과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고 있다. 토양환경학 및 식물영양학 분야, 생물자원 전반에 관련된 환경을 연구하는 환경화학 분야, 환경친화적 유해생물제어 및 농식품 안전성 관리를 위한 생물제어화학 분야, 환경생화학 및 토양미생물분야, 고부가가치 활성물질을 탐색 및 개발하는 천연물소재 분야, 바이오에너지 생산 연구 분야, 환경정화 및 기후변화 분야에 대하여 중점적인 교육을 하고 있다. 2026학년도부터 학과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2.7.2. 에코환경과학전공
에코환경과학전공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
홈페이지 | |
모집인원 | |
64명[7] | |
사용건물 | |
자연과학대학 2호관 | |
연혁 | |
1980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1999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전자계산·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3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4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군 환경과학과 |
2005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과학과 |
2013 |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201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 에코환경과학전공 |
2026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명·환경융합학부 환경과학전공 |
건강하고 깨끗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학과
에코환경과학전공은 대기, 물, 토양, 생물, 인간 등을 대상으로 현 환경 문제의 원인, 현황과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전공이다. 생태계 전 분야에 걸친 환경문제에 대해 다루며,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환경 전문 학과이다. 2026년학도부터 학과명이 변경될 예정이다.
에코환경과학전공은 대기, 물, 토양, 생물, 인간 등을 대상으로 현 환경 문제의 원인, 현황과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전공이다. 생태계 전 분야에 걸친 환경문제에 대해 다루며,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환경 전문 학과이다. 2026년학도부터 학과명이 변경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