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감스트/마병대/마병대 시즌 2
1. 개요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 마병대 시즌 2의 진행 과정을 정리한 문서.===# 입소 전 #===
- 베타 테스트 겸 마인크래프트 배틀그라운드 훈련 진행
- 1조 - 미오메 · 설레랑 · 치유 · 한비
- 2조 - 쥐돌이 · 니니 · 힙비 · 츄즈
- 3조(우승) - 조디악 · 유연서 · 홍타쿠 · 기찬하
- 4조 - 오아 · 짬타수아 · 유설아 · 박재박
- 5조 - 진호 · 모나양 · 맛지 · 류채아
- 6조 - 울산큰고래 · 마왕루야 · 빡소 · 댐보이
- 7조 - 키이세 · 하밍 · 니니밍 · 슈힌
- 8조 - 박삐삐 · 쿠아 · 멜로딩딩 · 왜냐니
- 9조 - 주드 · 아눙 · 초귀요미 · 매지
- 10조 - 이메이 · 또오냥 · 빵땅콩 · 달묘
- 11조 - 조경훈 · 서라0 · 리카 · 시몽
- 12조 - 라무 · 주예나 · 두부랑 · 백시호
- 13조 - 마늘빵 · 돗비 · 아마이유키 · 말론
- 14조 - 화양 · 유시에 · 도르핀 · 손냐미
- 15조 - 띠꾸 · 김병살 · 구월이 · 백단아
- 16조 - 길매기 · 죠아써 · 숙봉이 · 노미래
1.1. 입소 후
- 1일차
- 입소식 진행 (입소식 대표: 짬타수아 훈련병)[1]
- 첫 저녁 점호 및 위병소 근무
- 2일차
- 첫 아침 점호
- 군가 제창 교육
- 총기 지급 및 분해 교육
입소식 재진행- 총기 분해 및 조립 능력 평가
- 소대 1위 - 2소대 (17인 총 820.5초 소요)
- 개인 1위 - 헤다 (본부소대 · 29초)
- 저녁 점호 및 위병소 근무
- 3일차
- 아침 점호
- 생활관 체스터 불시 검사
- 개인 화기 실사격 및 수류탄 투척 훈련
- 바밍 위문 공연
- 훈련병 장기자랑 경연 대회
- 1위 - 특별소대 (192.5점 · MVP 헤스)
- 1차 조기 퇴소자 발표
- 야간 순검 및 위병소 근무 (DI: 울산큰고래 하사)
- 4일차
- 아침 점호
- 지옥 24시간 무수면 시작[2]
- 입소식 재진행 (입소식 대표: 구본좌 훈련병)
- 개인 화기 실사격 능력 평가
- 수류탄 투척 능력 평가
- 투척 1위 - 본부소대[5]
- 야간 순검 및 본격 무수면 지옥 훈련 돌입 (DI: 지피티 중사)
- 5일차
- 탄피 회수 미션
- 회수자 - 달묘 (본부소대)[6]
- 정신력 함양 교육[7]
- 군박사님의 정훈교육
- 지옥 24시간 무수면 훈련 중단[8]
- 2차 조기 퇴소자 발표
- 훈련병 위병소 근무
- 전투 체육: 축구[9]
- 1위 - 특별소대(
광견체스터 시티) - 대회 MVP - 아눙 (특별소대)[1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강 1경기[11] - 3소대(맨체스터 오나이티드) 0:2 특별소대(견체스터 시티)
- 5강 2경기[12] - 1소대(지창 만두리드) 0:1 본부소대(박사날)
- 결승진출전[13] - 2소대(조루셀로나) 0:1 특별소대(견체스터 시티)
- 결승전 - 본부소대(박사날) 0:2 특별소대(견체스터 시티)
- IBS 훈련[1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위 - 달묘 · 민성은 · 박재박 · 주드 (본부소대, 150초 소요)
- 2위 - 목츄리 · 물초코 · 설레랑 · 싱유 (2소대, 160.2초 소요)
- 3위 - 김병살 · 돗비 · 치유 · 하밍 (1소대, 169.5초 소요)
- 4위 - 구본좌 · 아눙 · 짬타수아 · 헤스 (특별소대, 172.7초 소요)
- 5위 - 기찬하 · 숙봉이 · 왜냐니 · 한비 (3소대, 269.2초 소요)
}}}
- 3차 조기 퇴소자 발표
- 야간 홍검 및 위병소 근무 (DI: 홍타쿠 중위)
- 6일차
- 아침 점호
- 생존 수영 훈련 및 평가
- 1조 1위 - 목츄리 (2소대)
- 2조 1위 - 라무 (2소대)
- 3조 1위 - 아마이유키 (2소대)
- 4조 1위 - 시몽 (3소대)
- 5조 1위 - 물초코 (2소대)
- 6조 1위 - 주드 (본부소대)
- 7조 1위 - 민성은 (본부소대)
- 재시험조 성공자[15] - 김병살(1소대) · 치유(1소대) · 한비(3소대) · 해리(본부소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마틀그라운드 시가지 실제 전투 및 전술 운영 훈련 및 평가
- 참호격투[2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경기 - 마늘빵(2소대) 2:0 박삐삐(본부소대)
- 2경기 - 짬타수아(특별소대) 0:2 박재박(본부소대)
- 3경기 - 시몽(3소대) 1:2 달묘(본부소대)
- 4경기 - 해리(본부소대) 1:2 구본좌(특별소대)
- 5경기 - 백단아(1소대) 2:0 또오냥(3소대)
- 6경기 - 모나양(특별소대) 1:2 시몽(3소대)
- 7경기 - 숙봉이(3소대) 2:0 박재박(본부소대)
- 8경기 - 죠아써(1소대) 0:2 목츄리(2소대)
- 9경기 - 백시호(2소대) 0:2 또오냥(3소대)
- 10경기 - 민성은(본부소대) 0:2 마늘빵(2소대)
- 간부진 1경기 - 가습기(군박사) 0:2 견자희(욕박사)
- 간부진 2경기 - 울산큰고래(울산워터파크) 1:2 단츄(단울보)
- 간부진 3경기 - 감스트(감창) 2:0 홍타쿠(홍창)
- 4차 조기 퇴소자 발표
- 저녁 점호 및 위병소 근무
- 7일차
- 마지막 아침 점호
- 장애물 극복 훈련 및 능력 평가[22]
- 1위 - 구본좌 · 민성은 · 숙봉이 · 파깡 · 한비 (3조, 1306초 소요)
- 2위 - 돗비 · 마늘빵 · 시몽 · 유연서 · 짬타수아 (2조, 1379초 소요)
- 소대 1위 - 3소대 (오아 · 울산큰고래 · 숙봉이 · 시몽 · 한비, 629초 소요)
- 각개전투 훈련 및 능력 평가[23]
- 1위 - 김병살 · 단츄 · 돗비 · 해리 (6조, 249초 소요)
- 최하위 - 두부랑 · 시몽 · 파깡 · 한비 (2조, 수류탄 투척 후 부상으로 중단)
- 최우수 수류탄 투척자[24] - 구월이 · 김병살
- 헬기 레펠 강하 훈련 및 능력 평가[25]
[1] 1기에 이어 이번에도 입소식이 다음 날로 연기되었다. 이번의 경우, 대표자는 문제 없이 잘 이행하였으나 입소자들 일부가 실수를 지속하는 바람에 연기되고 말았다.[2] 27일 18시 30분께 시작[3] 총 340발 명중, 평균 22.6발[4] 총 30발 중 28발 명중, 특등사수 칭호 획득[5] 평균 합계 3점 중 1.26점[6] 조기 퇴소자를 복귀시킬 수 있는 탈락자 부활권 획득[7] 1.28 중대장실 갈비만두 절도사건 여파로 인한 고강도 무수면 정신 교육[8] 28일 09시 50분께 종료, 훈련병들의 건강 문제 대두 원인[9] a.k.a. 군대스리가[10] 3경기 4득점[11] 승리팀은 결승진출전 진출[12] 승리팀은 결승전 직행[13] 2소대팀 5강 부전승으로 결승진출전 직행[14] 1위 소대 전원 상점 3점, 2위 2점, 3위 1점, 5위 -1점 부여[15] API 재시험권 사용자조, 성공시 상점 1점 부여[16] 각 소대 2개조 4인 스쿼드[17] 개인전[18] 각 소대 2개조 4인 스쿼드[19] 간부 개인전, 1위 간부는 상점 1점 부여권 획득[20] 2라운드 병 개인전 최다 킬 달성자[21] 중대장 권한으로 사다리 타기에서 당첨된 지목자(좌측 대진)는 격투 대결 상대를 지목하여 피지목자(우측 대진)와 대결하는 시스템, 패배자는 상벌점 -2점 부여[22] 1위 조 병 전원 상점 2점, 2위 조 병 전원 1점 부여.[23] 1위 조 병 전원 상점 2점, 최하위 조는 -1점 부여[24] 상점 1점 부여[25] 성공한 훈련병은 상점 1점, 실패한 훈련병은 -1점 부여[26] 최초 시도 실패로 -1점 감점되어 종합 1위 경쟁자 해리와 13:10으로 열세였으나 단츄 부소대장의 API 재시험권 대상자가 되어 재도전 성공으로 -1점 번복 및 2점 획득하여 13:13 동점 기록[27] 중대장 권한 상점 1점 부여[28] 1위 소대 전원 상점 1점, 최하뤼 소대는 -1점 부여[29] 해리 12:12 달묘[30] 마병대 역대 최초 1트 마무리. 실제 전역을 앞둔 군인을 방불케하는 완벽한 수료식을 거행하였다.[31] 시즌 2 최종 우승자, 우승 상금 300만원 지급 및 시즌 3 프리패스권 획득[32] 상벌점 총 12점, 간부 투표 5표 획득[33] 시즌 2 최종 준우승자, 시즌 3 프리패스권 획득[34] 상벌점 총 12점, 간부 투표 4표 획득[35] 시즌 2 최종 3위, 시즌 3 2차 면접권 및 가산점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