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 |||
<한국간호학회 하위 회원학회의 세부전공> | |||
성인간호학 | 모성간호학 | 아동간호학 | 정신간호학 |
간호관리학 | 지역사회간호학 | 기본간호학 | 기초간호학 |
<전문간호사 자격분야 전공> | |||
중환자간호학 | 응급간호학 | 마취간호학 | 가정간호학 |
노인정보학 | 감염관리간호학 | 산업간호학 | 노인간호학 |
호스피스간호학 | 종양간호학 | ||
<그외의 주요 세부전공> | |||
재활간호학 | 간호정보학 | 간호윤리학 | 보건간호학 |
간호윤리학 | 법의간호학 |
1. 정의
과거의 간호관리학의 정의는 주로 병원간호단위의 목표달성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학문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은 의료기관(특히 대형병원 중심)의 간호조직을 연구하는 간호경영학(nursing management)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현대의 간호관리학은 간호의 영역 및 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라, 공적 영역에서의 보건행정뿐만 아니라 공공정책의 입장에서 간호문제를 바라보는 간호정책학(nursing policy), 공공부문의 간호관리를 다루는 간호행정학(public nursing administration)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현대의 간호관리학의 정의는 간호경영학, 간호정책학, 간호행정학 등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시스템적으로 간호의 목표달성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1]
1.1. 국시원 구분에 의한 세부 영역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2]의 공지에 따른 간호관리학의 영역 구분은 다음과 같다.1. 간호전문직의 이해 : 간호역사 / 간호전문직관 / 간호윤리 / 간호사의 법적 의무와 책임
2. 기획 : 관리의 이해 / 기획과 의사결정 / 예산과 의료비지불제도 / 간호서비스마케팅
3. 조직 : 조직화와 조직구조 / 직무관리 / 간호전달체계 / 조직문화와 변화
4. 인적자원관리 : 확보관리 / 개발관리 / 보상관리 / 유지관리
5. 지휘 : 리더십과 동기부여 / 의사소통과 주장행동 / 조정과 협력 / 갈등과 직무스트레스관리
6. 통제 : 간호의 질관리 / 환자안전
7. 간호단위관리 : 간호단위 환자관리 / 환경과 감염관리 / 물품과 약품관리 / 간호정보와 기록관리
※ 후술에 나오듯, 상기 구분은 '간호단위관리에 국한'된 분야가 주를 차지하여 대체로 좁은 의미의 간호관리[3]이다. 이는 (종합)병원 임상 현장 중심에서 일선관리자(수간호사급) 이상의 간호관리자 양성에 가까운 내용이 많은지라, 수간호사급 근처도 못가고 퇴사하는 간호사가 부지기수인 현 상황2. 기획 : 관리의 이해 / 기획과 의사결정 / 예산과 의료비지불제도 / 간호서비스마케팅
3. 조직 : 조직화와 조직구조 / 직무관리 / 간호전달체계 / 조직문화와 변화
4. 인적자원관리 : 확보관리 / 개발관리 / 보상관리 / 유지관리
5. 지휘 : 리더십과 동기부여 / 의사소통과 주장행동 / 조정과 협력 / 갈등과 직무스트레스관리
6. 통제 : 간호의 질관리 / 환자안전
7. 간호단위관리 : 간호단위 환자관리 / 환경과 감염관리 / 물품과 약품관리 / 간호정보와 기록관리
많은 간호학생들의 혐오 과목 중 하나로, 성인간호학에서 심부전 폐렴같은 거 배우다가 말 한마디 한마디가 난해하기 짝이 없는 사회이론투성이 과목을 보면서 괴리감을 느끼게 된다. 그나마 낙상관리나 물품관리가 있는 병동관리 쪽이 친숙한 편이지만 이쪽도 각종 규정이랑 말장난 때문에 머리 아프긴 마찬가지.
※ 참고로 간호사 국가시험[4]에 해당하는 과목은 아래와 같다.
1교시 | 성인간호학 | 모성간호학 | |
2교시 | 아동간호학 | 정신간호학 | 지역사회간호학 |
3교시 | 간호관리학 | 기본간호학 | 보건의약관계법규 |
1.2. 인접 학문의 유사 교과목
국내 의과대학이나 한의과대학에서는 의료관리학, 예방의학[5], 예방한의학 등의 교과목 명칭으로 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보건의료체계, 보건의료자원, 보건의료이용, 건강보장, 보건의료경제, 병의원 경영관리, 의료의 질 관리, 국제보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관리학이 간호단위관리에 교과 내용이 대부분 집중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간호관리학의 시야를 넓힐 필요가 있다. [6]2. 연구 분야
간호관리학 | ||
간호경영학 | 간호정책학 | 간호행정학 |
2.1. '간호경영학'의 연구분야
병원경영에 대한 관심을 비롯하여 간호행정의 조직, 인사관리, 지휘, 통제, 간호예산, 입퇴원관리, 진료비청구, 간호원가분석을 비롯하여 물류관리, 구매관리, 간호정보, 홍보와 마케팅 등의 원무관리가 포함된다.[7]2.2. '간호정책학'의 연구분야
주로 국가보건의료체계 내에서 간호분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책으로써 간호인력수급, 간호수가와 지불제도, 간호교육제도, 공공보건조직과 간호인력, 전문간호사제도,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간호서비스의 경제성 평가 등[8]2.3. '간호행정학'의 연구분야
간호행정[9]의 역사, 간호행정의 조직, 인사관리, 예산편성, 간호생산성, 공공간호서비스, 지역사회간호, 국제간호 등 [10]3. 교육 기관(대학원)
국내의 경우, 대부분 특정 전공 없이 간호학과(학부)를 졸업하여 간호사 면허를 취득하게 된다. 대부분 일정 수준의 임상경험을 가지고[11] 대학원(석사, 박사, 석박통합)에 입학하게 된다.석사과정의 경우,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으로 나뉘는데 둘 다 있는 학교[12]와 그렇지 않은 학교[13]가 있다. 두 경우 모두 전문간호사 과정을 운영할 수 있지만, 특수대학원을 가진 학교의 경우 전문간호사 과정은 특수대학원에서 운영하는 편이다. 일부 학교의 경우 특수대학원에서 간호관리 전공의 과정을 운영하기도 한다[14]. 대표적으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간호관리와 교육 전공'과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간호행정학과' 등이 있다. 학위명은 MSN 문서 참고.
박사과정은 미국에는 DNP(Doctor of Nursing Practice) 과정[15]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운영하는 학교가 없으며, Ph.D in Nursing으로 간호학박사 학위를 받는다. 입학 당시에 간호관리학 세부전공으로 입학하는 경우[16]도 있고, 지도교수[17]가 간호관리학 교수라서 간호관리학을 세부전공으로 하는 셈 치는 경우[18]도 있다.
3.1. 외국 주요 대학의 간호관리학 전공과목
- 간호정책 분야 : 보건경제학, 경제분석, 연구방법론 및 연구설계, 역학원론, 보건의료체계론, 비교보건체계론, 보건정책, 간호정책, 정책이론, 공공정책리더십, 사회정책론
- 간호경영 분야 : 경제학 및 회계학의 기초, 간호조직론, 인사관리, 노사관리, 간호윤리, 재무관리, 회계학, 간호예산, 간호관리상담, 간호관리실습, 간호성과측정, 응용통계학, 관리과학, 간호정보학, E-Health, 보건의료마케팅, 간호사업론, 리더십개발, 의약품 및 의료기술관리
4. 관련 학회
4.1. 한국간호행정학회
주로 간호관리학 교수 중심(+임상가, +전공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한국간호과학회의 하위 회원학회.1971년 창립하였으며, '간호행정학회지'를 발간하는 기관이다. 홈페이지
※ 한국간호과학회의 하위 회원학회 {{{#!folding [펼치기/접기]
한국간호과학회[20] | |||
한국기본간호학회 | 한국기초간호학회 | 한국성인간호학회 | 한국아동간호학회 |
[1]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5p[2] 홈페이지[3] 더구나 간호'경영'이 아니라 간호'관리'라는 말 자체가 짜치며 작은 규모에 국한되며, 비용 및 위험 절감에 초점을 준다는 뉘앙스가 강하다(간호는 비용부서라는 프레임은 지긋지긋하다). 어원을 '의료관리학'에서 따왔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경영학과(department of manamgement)를 관리학과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비교해서 변화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4] 국가고시는 정식 명칭이 아니다[5] 사회의학이라고 일컫기도 함[6]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9p[7]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7p[8]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7p[9] 공익목적을 위한 간호서비스의 생산 및 분배와 관련된 정부활동[10]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7-9p[11] 과거에는 임상경험이 전혀 없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꽤 많았으나, 요즘은 임상경험이 짧으면 무시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실용학문이다보니[12] 대표적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와 '간호대학원'으로 나뉘어 있다[13] 대표적으로 서울대학교[14] 전문간호사 자격이 나오지 않는다[15] 간호관리, 리더십 등의 세부 전공으로 모집하기도 함[16] 대표적으로 서울대학교[17] 어지간하면 입학지원서에 써놓은 전공의 교수로 배정해준다. 더더욱이 박사의 경우는[18] 이 경우에 경우 졸업장에는 세부전공이 안 써있을 수도 있음. 어차피 졸업논문이 병기되면 드러난다[19] 간호관리학-간호정책과 간호경영, 박성애 등, 2019, JMK출판사 9p[20]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