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22:12:19

Warframe/워프레임/로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포르투나의 NPC에 대한 내용은 로키(Warfram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arframe/워프레임
파일:워프레임_로고.png파일:워프레임 로고 화이트.png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ffffff {{{+1 장비}}}}}}
워프레임 무기 동반자 아크윙 착륙정
K-드라이브 레일잭 네크라메크
{{{#ffffff {{{+1 업그레이드}}}}}}
모드 리벤 모드 아케인 포커스 플렉서스
헬민스
{{{#ffffff {{{+1 기초 플레이 정보}}}}}}
조작 마스터리 랭크 오비터 피해 유형 자원
클랜 소모품 일일 접속 보상
{{{#ffffff {{{+1 미션 관련 정보}}}}}}
미션 퀘스트 보이드 균열 콘클레이브 신디케이트
이벤트 나이트웨이브 보존 낚시 채광
{{{#ffffff {{{+1 등장 적 정보}}}}}}
적 일람 보스 암살자 아이돌론 오브 마더
쿠바 리치 파보스의 자매들 집정관
{{{#ffffff {{{+1 지역}}}}}}
성계 지도 릴레이 아이돌론 평원 오브 협곡 캠비온 퇴적지
프록시마 두비리
{{{#ffffff {{{+1 세계관}}}}}}
등장인물 진영 조각들 언어 레퀴엠
{{{#ffffff {{{+1 기타}}}}}}
초보자 가이드 게임 용어 문제점 캡처라 미니게임
도전과제 워프레임 마켓 코믹스 사운드트랙 TennoCon
}}}}}}}}} ||

워프레임 목록
(가나다순 정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
[[Warframe/워프레임/가라|{{{#!wiki style="margin: -10px -0px; 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text-align: center; border: none; vertical-align: top; display: inline-block;"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gara.png
가라
}}}]][[Warframe/워프레임/가루다|
||<tablewidth=100%>
파일:가루루루다.png
||
가루다
]][[Warframe/워프레임/가우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Gauss.png
||
가우스
]][[Warframe/워프레임/그렌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Grendel.png
||
그렌델
]][[Warframe/워프레임/나이더스|
||<tablewidth=100%>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NidusNewLook.png
||
나이더스
]][[Warframe/워프레임/나타|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nezha.png
||
나타
]][[Warframe/워프레임/네크로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nekros.png
||
네크로스
]][[Warframe/워프레임/노바|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nova.png
||
노바
]][[Warframe/워프레임/닉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nyx.png
||
닉스
]][[Warframe/워프레임/다가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Dagath.png
||
다가스
]][[Warframe/워프레임/단테|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Dante.png
||
단테
]][[Warframe/워프레임/라보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Lavos.png
||
라보스
]][[Warframe/워프레임/라이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rhino.png
||
라이노
]][[Warframe/워프레임/레버넌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Revenant.png
||
레버넌트
]][[Warframe/워프레임/로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loki.png
||
로키
]][[Warframe/워프레임/림보|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limbo.png
||
림보
]][[Warframe/워프레임/매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mag.png
||
매그
]][[Warframe/워프레임/메사|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Mesa.png
||
메사
]][[Warframe/워프레임/미라지|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mirage.png
||
미라지
]][[Warframe/워프레임/바루크|
||<tablewidth=100%>
파일:바루크.png
||
바루크
]][[Warframe/워프레임/바우반|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vauban.png
||
바우반
]][[Warframe/워프레임/발키르|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valkyr.png
||
발키르
]][[Warframe/워프레임/밴쉬|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banshee.png
||
밴쉬
]][[Warframe/워프레임/보루나|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voruna.png
||
보루나
]][[Warframe/워프레임/볼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volt.png
||
볼트
]][[Warframe/워프레임/새린|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saryn.png
||
새린
]][[Warframe/워프레임/세바고스|
||<tablewidth=100%>
파일:sevagoth.png
||
세바고스
]][[Warframe/워프레임/스티아낙스|
||<tablewidth=100%>
파일:styanax.png
||
스티아낙스
]][[Warframe/워프레임/시트린|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citrine.png
||
시트린
]][[Warframe/워프레임/아틀라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atlas.png
||
아틀라스
]][[Warframe/워프레임/애쉬|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ash.png
||
애쉬
]][[Warframe/워프레임/야렐리|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yareli.png
||
야렐리
]][[Warframe/워프레임/엑스칼리버|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excalibur.png
||
엑스칼리버
]][[Warframe/워프레임/엠버|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Ember.png
||
엠버
]][[Warframe/워프레임/오공|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wukong.png
||
오공
]][[Warframe/워프레임/오베론|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oberon.png
||
오베론
]][[Warframe/워프레임/옥타비아|
||<tablewidth=100%>
파일:external/n8k6e2y6.ssl.hwcdn.net/27aa96c9d368f26f8a95c5562eddfa29.png
||
옥타비아
]][[Warframe/워프레임/위습|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Wisp.png
||
위습
]][[Warframe/워프레임/이나로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inaros.png
||
이나로스
]][[Warframe/워프레임/이바라|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ivara.png
||
이바라
]][[Warframe/워프레임/이쿼녹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equinox.png
||
이쿼녹스
]][[Warframe/워프레임/자이어|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Gyre.png
||
자이어
]][[Warframe/워프레임/자쿠|
||<tablewidth=100%>
파일:wf_xaku.png
||
자쿠
]][[Warframe/워프레임/제피르|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zephyr.png
||
제피르
]][[Warframe/워프레임/칼리반|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caliban.png
||
칼리반
]][[Warframe/워프레임/코라|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khora.png
||
코라
]][[Warframe/워프레임/코르벡스|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Qorvex.png
||
코르벡스
]][[Warframe/워프레임/쿨레르보|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ortrait_Kullervo.png
||
쿨레르보
]][[Warframe/워프레임/크로마|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chroma.png
||
크로마
]][[Warframe/워프레임/트리니티|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Trinity.png
||
트리니티
]][[Warframe/워프레임/티타니아|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titania.png
||
티타니아
]][[Warframe/워프레임/프로스트|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frost.png
||
프로스트
]][[Warframe/워프레임/프로티아|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Protea.png
||
프로티아
]][[Warframe/워프레임/하이드로이드|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hydroid.png
||
하이드로이드
]][[Warframe/워프레임/해로우|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harrow.png
||
해로우
]][[Warframe/워프레임/힐드린|
||<tablewidth=100%>
파일:힐드린.png
||
힐드린
]]
}}}||
총 56개 (프라임 41개) • 35.5 해방된 단테 기준
}}}}}}}}} ||

1. 개요2. 능력치3. 제작4. 어빌리티
4.1. 디코이4.2. 인비지빌리티4.3. 스위치 텔레포트4.4. 레이디얼 디스암
5. 스킨6. 로키 프라임7. 평가8. 모딩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사기꾼 신 로키. 원전에서 로키가 행해온 만행을 표현하듯이 컨셉 자체가 교란 및 속임수에 특화되어 있다.

2. 능력치

로키
Loki
파일:warframe_loki.png
스테이터스초기치30랭크
체력75225
실드75225
에너지150225
방어력100
질주 속도1.25
오라 극성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
극성파일:워프레임_바자린.png파일:워프레임_바자린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
로키는 고수들이 원해왔던 교란에 특화된 다양한 기술들을 제공합니다.
로키의 창의적인 능력은 플레이어들에게 전장의 흐름을 좌우하는 위치를 가지게 할 것입니다.

3. 제작

설계도
파일:warframe_neuroptics.png
1
파일:warframe_chassis.png
1
파일:warframe_systems.png
1
파일:warframe_orokin_cell.png
1
파일:warframe_credits_L.png
25,000
설계도 획득상점가격파일:Warframe_Credits.png 25,000
완제품 획득상점가격파일:Warframe_Platinum.png 175
파일:warframe_neuroptics.png 뉴로옵틱스
파일:warframe_alloy_plate.png
150
파일:warframe_neural_sensors.png
1
파일:warframe_polymer_bundle.png
150
파일:warframe_rubedo.png
50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하이에나 무리
파일:warframe_chassis.png 섀시
파일:warframe_morphics.png
1
파일:warframe_ferrite.png
1,000
파일:warframe_rubedo.png
30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하이에나 무리
파일:warframe_systems.png 시스템
파일:warframe_control_module.png
1
파일:warframe_morphics.png
1
파일:warframe_salvage.png
500
파일:warframe_plastids.png
22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하이에나 무리

해왕성보스 하이에나 무리가 부품 청사진을 드롭하며 175 플래티넘으로 즉시 구입할 수도 있다.

4. 어빌리티

※ 벽 잡기(Wall Grapple) : 로키는 월 래치 지속시간이 10배 더 깁니다.
월 래치란 벽에 붙어있는 상태를 뜻하며 공중에서 벽에 닿았을 때 우클릭으로 벽에 붙을 수 있다. 일반적인 워프레임들의 월 래치 지속시간은 6초 정도이다. 즉 로키는 1분 가까이 벽에 붙어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별 쓸모는 없다.

4.1. 디코이

파일:Decoy.png파일:Decoy_white.pngDecoy
로키가 자신의 홀로그램 분신을 설치하며, 근처 적들에게서 체력 및 실드를 일부 흡수합니다.

발동키: 1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25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랭크 0 1 2 3
지속시간 7초 15초 20초 25초
체력 흡수 15%
실드 흡수 15%
  • 로키가 조준점이 있는 위치에 홀로그램 분신을 만들어 냅니다.
  • 로키의 분신은 적들이 있는 곳을 향해 권총[1]을 사격하며 적들의 주의를 끕니다.
    • 분신이 목표할 대상이 없는 경우 정면을 향해 사격을 계속합니다.
    • 분신은 공격력을 가지지 않지만 매우 드물게 물리 상태이상을 발생 시킵니다.
      • 피해를 주는 파일:Warframe_Slash.png파일:Warframe_Slash_white.png베기 상태이상이 발생한 경우 6초간 1의 피해를 7번 입힙니다.
    • 분신은 다른 아군들보다 공격 우선 순위가 높습니다.
  • 홀로그램 분신은 1개만 유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분신을 생성할 경우 이전 분신은 사망합니다.
  • 홀로그램 분신은 쓰러짐, 비틀거림 및 각종 상태이상 효과를 받지 않습니다.
  • 조준점을 천장이나 하늘을 조준할 경우 조준점 바로 아래 지면에 생성됩니다.
  • 적들이 올라갈 수 없는 지점에 분신이 생성된 경우 인페스티드 팩션의 적들은 몇 초 후 다른 대상을 찾습니다. 그리니어, 코퍼스의 경우 계속해서 조준합니다.
  • 공중 및 파쿠르 중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어전에도 방어해야 할 목표물보다 어그로 수치가 더 높아 최대 25초동안 공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스킬 랭크가 오를수록 지속시간도 늘어나며 디코이에도 스위치 텔레포트를 사용할 수 있고 코퍼스 지역의 레이저 도어를 차단하는데 쓰는 등 여러가지 사용법이 있다. 특히 디코이→스위치 텔레포트는 로키의 입체적인 기동성을 담당하는 굉장히 우수한 이동 스킬. 제피르의 테일 윈드나 노바의 웜홀과 달리 자신이 이동하고 싶은 위치를 정교하게 핀포인트로 지정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의 실수가 미션 실패로 이어지는 첩보활동 등의 미션에서 더할 나위 없이 유용하다. 더불어 지속시간 역시 랭크업에 따라 5초씩이나 늘어나는지라 지속모딩을 하면 1분이 넘는 지속시간을 볼 수 있게 된다. 다만 체력은 상당히 낮은 편이고 모딩으로 늘릴 수도 없는지라 후반으로 가면 깔자마자 순삭당하는 상황을 자주 보게 된다. 또한 디코이는 바닥이 보이지 않으면 허공에 사용하지 못하고 벽에 이용해야만 한다.

디코이로 생성된 미끼는 라토, 로키 프라임의 경우 렉스 프라임을 발사해 소음을 내고 적들을 유인한다. 유사한 스킬인 새린의 몰트처럼 적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소음을 내기 때문에 적의 주의를 끄는 효과가 탁월하다. 이것도 무기랍시고 아주 드물게 가까이 있는 적에게 물리 상태이상을 걸기도 한다.
개조 세이비어 디코이(Savior Decoy) 로키가 사망에 이르는 피해를 받을 경우, 디코이가 해당 피해를 흡수하고 서로 위치를 바꿉니다. 또한 디코이 시전 속도가 50% 증가합니다. 아비터즈 오브 헥시스
레드 베일
영향을 주는 모드 없음

새로 추가된 개조모드인 세이비어 디코이로 인해서 로키의 생존력을 대폭 올려주는 어빌리티가 되었다. 죽음에 이르는 피해를 입게 되면 디코이와 자리를 바꾸는 것인데 디코이 자체의 에너지 소비도 크지 않고 로키의 에너지도 널널하기 때문에 생존, 방어, 섬멸 등의 미션에서 구석에 설치해놓고 죽으면 부활하기 때문에 세이브 로드 신공이 가능해진다. 단 쿨타임이 1분인게 문제.

4.2. 인비지빌리티

파일:Invisibility.png파일:Invisibility_white.pngInvisibility
자신을 위장시킴으로서, 적들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만듭니다.

발동키: 2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50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랭크 0 1 2 3
지속시간 5초 7초 9초 12초
  • 사용 중에는 화면의 색상이 붉게 보정되며 주변의 소음이 줄어듭니다.[2]
  • 사용 시 센티널도 은신 상태가 되며 은신 상태에서는 공격을 하지 않습니다.
  • 은신 상태의 로키는 적에게 근접 공격 시 800% 은신 근접 공격 배수를 가합니다.
  • 적들은 로키의 위치를 알 수 없지만 공격받을 경우 반격을 시도합니다.
  • 로키의 은신은 무기의 소음까지 막아주지 않으며 발사음을 들은 적들은 경계 상태에 들어갑니다.
  • 은신 상태의 로키는 적의 카메라에 발각되지 않습니다.
  • 인비지빌리티가 끝나기 전까지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공중 및 파쿠르 중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신과 아군들은 로키의 몸은 투명하게 보이지만 윤각선을 이루는 에너지 색상으로 된 안개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로키의 상징이나 다름 없는 기술로, 로키의 방어력과 쉴드, 체력이 모두 다 저열한 이유는 다 이 스킬 때문이다. 사용 시 약간의 딜레이 후 로키가 은신 상태가 되어, 적들에게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선 적들은 로키를 볼 수 없고, 소음을 내더라도 인식만 할 뿐 일부 소수의 적을 제외한 적들은 그냥 경계 상태로 대기만 한다.

스킬 랭크가 오를수록 지속시간이 늘어나고 투명화 상태에서 근접 공격의 첫타 피해량이 800% 증가한다. 다만 은신에 따른 판정이라 스킬 파워 효과와는 상관이 없다. 치명타도 이 효과를 받는다. 투척형 근접 무기의 투척 공격은 이 효과를 받지 않는다. 캡틴 보어의 지뢰나 코퍼스의 CCTV 또한 발견을 하지 못한다. 하지만 아크 트랩이나 첩보전의 감지 레이저같은 센서계에는 걸리니 이를 재빨리 파괴하거나 회피하는 습관을 기르는 게 중요하다. 은신을 시전하면 잠시동안 시전 위치에 안개가 남는데 적들은 그것을 로키로 인식하기 때문에 공격받던 도중에 은신을 사용했다면 재빨리 위치를 벗어나자.

은신 후 무소음 무기는 어그로를 받지 않지만 화기 무기나 소음을 일으키는 무기를 사용하면 은신하여도 적이 인식한다. 다만 연발이나 고정형 무기가 아니라면 다가오다가 멈추고 다가와도 공격만 안하면 그냥 멀뚱멀뚱 서있다. 상당히 다양한 활용도를 지닌 스킬로 안전하게 쓰러진 팀원을 일으켜세운다던지 고레벨 생존 맵에서 팀원들은 좋은 위치에 자리를 잡고 로키는 은신을 사용해가며 장치를 까고 다닌다던지 하는 식의 활용이 가능하다.

풀리기 전까지 재사용을 할 수 없으니 주의할 것. 들키지 않고 꾸준히 숨고 싶다면 지속 시간을 계속 확인하다가 다 끝나간다 싶으면 재빨리 엄폐물로 숨어야 한다.

핫픽스 19.6.3에서 은신 성능이 강화되었는데 은신 중 적을 공격해도 쉽게 들키지 않으며 적과 접촉만 하지 않으면 첫타 이후에도 스텔스 대미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은신 후 근접 공격 시 깡딜은 8배, 상태이상으로 인한 틱 데미지는 64배의 대미지 증폭 효과를 받기 때문에 은신 지속 시간이 긴 로키가 최대 수혜자가 되었다. 트윈 바솔크나 라세라, 리션과 같은 고 상태이상 무기[3]를 들면 적의 눈치를 살피면서 조심스럽게 움직여야 하는 은신캐에서 필드의 학살자로 변신한다.

개조 허쉬드 인비지빌리티(Hushed Invisibility) 인비지빌리티 상태에서 100%만큼 소음이 감소됩니다. 아비터즈 오브 헥시스
레드 베일
영향을 주는 모드 없음
인비지빌리티를 사용하고 총기 사용에 제약이 걸렸던것을 크게 보완해주는 모드다. 은신중엔 항시 총기소음이 발생 하지 않으므로 낮은 체력량과 방어력을 지닌 로키에게 총기를 이용한 자유로운 딜타임을 보장한다.

4.3. 스위치 텔레포트

파일:SwitchTeleport.png파일:SwitchTeleport_white.pngSwitch Teleport
순간적으로 대상과의 위치를 바꿔 적들에게 혼란을 야기합니다.

발동키: 3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25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거리(범위)
랭크 0 1 2 3
범위 25m 40m 60m 75m
  • 로키가 목표한 대상과 서로 위치를 바꿉니다(이 때 순간적으로 화면이 왜곡됩니다.). 대상이 적이였을 경우 적은 2초간 혼란상태에 빠집니다.
    • 아군 NPC, 로키의 디코이나 새린의 몰트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 NPC가 갈 수 없는 자리나 공중에서 사용할 경우 대상은 이동하지 않으며 로키는 대상의 위치로 텔레포트 합니다.
  • 공중 및 파쿠르 중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적이나 아군 또는 디코이로 생성된 분신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킬 랭크가 오를수록 거리도 늘어난다. 이 스킬과 디코이 덕분에 로키는 다른 워프레임들이 흉내낼 수 없는 정교하고 빠른 장애물 극복 능력을 보여준다. 스위치 텔레포트에 당한 상대는 잠시동안 어리둥절해하는 모션을 취하며 스턴 상태가 된다. 출혈 상태가 되어 쓰러진 아군 또한 스위치 텔레포트가 가능하다. 만약 파티원이 적들 한가운데서 쓰러졌고 새핑 오스프리 등의 위협적인 장판공격이 깔려있다면 은신한 채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스위치 텔레포트로 파티원을 빼낸 후 안전하게 살리는 방법이 있다.

생포미션에서 목표를 미행한 뒤 아군이 오는 걸 보고 도망가는 걸 끌어오는 식으로 공격적으로 쓸 수도 있고, 섬멸미션에선 앞서 달리면서 어그로를 끈 뒤 디코이→스위치 텔레포트로 빠져나가면 디코이에 몰린 적들을 광역 딜러들이 효율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앞에 있던 적들은 디코이에, 뒤에 있는 적들도 따라오다 디코이에 어그로가 쏠린다. 보스를 상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유로파 보스인 랩터 상대로는 사용할 수 없게 패치되었다.

자신의 디코이뿐만 아니라 새린의 몰트를 대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팀원들에게도 사용이 가능한데 좋게 사용하면 기동력이 모자란 파티원에게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다. 목표 지점(미션 끝내고 함선이 태우러 오는 곳, 엠뷰라스 보스전 시작점이나 틸 레거 보스전 시작점 등)에 있는 아군은 스위치가 먹히지 않는다. 스위치 텔레포트로 대기하고 있는 동료를 빼는 트롤러가 하도 많아서 DE가 막아버렸다.

일부 막힌 문 등에서 위치를 정교하게 잡은 디코이에 스위치를 쓸 경우 낑기는 판정을 이용하여 그대로 문/벽을 통과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패치되었다.

아이돌론 평원의 의뢰 혹은 플레이그 스타 이벤트에서 드론 호송 미션에 나오는 드론을 텔레포트시켜 미션을 빠르게 깨는데 도움을 주기에 스피드런 파티 플레이를 할 때 사람들이 많이 애용한다.

개조 세이프가드 스위치(Safeguard Switch) 적과 위치를 바꿀 경우 로키가 3초간 무적상태가 됩니다. 아군과 위치를 바꿀 경우 아군이 6초간 무적상태가 되며 로키와 아군의 상태이상을 제거합니다. 아비터즈 오브 헥시스
레드 베일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스위치 텔레포트 자체가 아군에게 사용할 경우 자칫 트롤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에게 사용하여 위치를 이동함과 동시에 잠깐동안 무적이 되는 용도로 사용한다.
무적시간이 짧아서 쓸모가 없어보이지만, 쉴드가 고갈되어 쉴드 게이팅이 발동된 순간 적과 위치를 바꾸면 쉴드가 재생될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에 로키의 생존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개조모드다.

4.4. 레이디얼 디스암

파일:RadialDisarm.png파일:RadialDisarm_white.pngRadial Disarm
에너지로 이루어진 충격파를 전방에 방출하여 범위 내의 모든 적들의 원거리 무기를 강제로 해제함으로서 오직 근접전만을 가능케 합니다.

발동키: 4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100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거리(범위)
어빌리티 위력(피해)
랭크 0 1 2 3
범위 10m 13m 17m 20m
피해(파일:Warframe_Impact.png파일:Warframe_Impact_white.png충격) 200 200 350 500
  • 로키가 한 바퀴를 돌며 한 손으로 충격파를 일으켜 주변 범위 내 적들에게 파일:Warframe_Impact.png파일:Warframe_Impact_white.png충격 피해를 주며 강제로 들고있던 무기를 빼았고 근접 무기를 들게하며 특수 능력을 제거합니다.
    • 영향받은 적들은 1초 동안 혼란스러워하며 감속 효과에 걸린 경우 감속 효과만큼 혼란 시간이 증가합니다.
  • 일부 오스프리 계열의 능력을 제거하지만 비행 능력은 뺏지 못합니다.
  • 실드 랜서의 방패를 빼앗고 그리니어 헤비 유닛이나 뮤탈리스트 MOA류, 쇼크웨이브 MOA의 사이즈믹 쇼크웨이브 공격도 봉인합니다.
  • 원거리 공격 수단이 없는 보행형 인페스티드 적에게는 파일:Warframe_Impact.png파일:Warframe_Impact_white.png충격 피해를 주고 다운시킵니다.
  • 보스의 경우 포리드, 서전트를 제외한 보스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 부처나 스콜피언 같은 근접 무기만 든 적에겐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합니다.
  • 슬라이딩 중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이 어빌리티의 영향을 받은 적들이 그냥 스턴 바톤으로 불리는 막대기를 들고 있었다. MOA의 경우는 조준장치가 떨어지고 그 자리에 스턴 바톤이 달리고 발차기를 날린다. 이 모습이 더듬이를 단 것 같이 꽤 귀엽다는 평도 있었다. 이후 코퍼스는 프로바, 그리니어는 쉬브를 드는 현재의 모습이 정립되었다. 이 시점에서 한때는 MOA도 머리에 프로바를 달았던 적이 있었지만, 이후로는 별도의 무장 교체 없이 발차기만 하게 되었다. 현재는 인페스티드에게 어떠한 시각효과도 발생시키지 않아 봉인되는 어빌리티였지만, 과거에는 인페스티드에게도 효과를 주게 바뀌면서 한동안은 리퍼나 크롤러 같은 보병 기반 몹의 팔을 떼어내는 충격적인 시각효과를 보여주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러한 시각효과를 볼 수 없게 되었다.

은신 컨셉과 완전히 따로 노는 어빌리티이고 효과가 좋지도 않아 헬민스로 교체한다.

개조 이레디에이팅 디스암(Irradiating Disarm) 영향을 받은 적들에게 9초간
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상태이상을 부여합니다.[방사능]
아비터즈 오브 헥시스
레드 베일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광역 방사능은 좋은 효과이나 일반적으로 4번을 아예 빼버리기에 쓸 일은 거의 없다. 4번으로 방사능 뿌릴 시간에 광역 폭발 무기로 방사능을 뿌리는 것이 훨씬 편한 것도 문제.

5. 스킨

  • 에센스 헬멧
파일:external/static2.wikia.nocookie.net/250px-LokiEssenceHelm.png
기존 로키 헬멧의 전체적인 외형은 유지하면서 이마 쪽이 매우 거대해진 헬멧으로 변경된다. 헬멧 중에선 유난히 못생겼다(...). 마치 물에 띄워 놓은 잠수함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별명이 핵잠수함 헬멧. 아케인 옵션이 있던 시절엔 아케인 에센스 헬멧을 주로 인비지빌리티나 디코이, 스위치 텔레포트를 자주 사용하는 유저가 썼다.
(아케인 옵션)
파워 소비 효율 +15%
방어력 -5%

  • 스윈들 헬멧
파일:external/static2.wikia.nocookie.net/250px-LokiSeries3Helmet.png
로키 헬멧의 전체적인 해머헤드 형태는 유지하면서 날렵하고 날카로워보이는 헬멧으로 변경한다. 각 끄트머리에 달린 고리는 물리 효과를 받아 로키가 움직일 때마다 격렬하게 파닥인다. 스윈들(swindle)은 사기라는 뜻(...). 아케인 옵션이 있던 시절엔 이걸 쓰면 디스암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텔레포트 거리도 늘려준다.
(아케인 옵션)
파워 범위 +15%
체력 최대치 -5%

  • 에니그마 헬멧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200px-LokiEnigmaHelmet.png

  • 로키 이모탈 스킨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WarframeAlternateSkinLoki.png

  • 로키 네이브 스킨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okiDeluxe.png


퀘스트 '백은의 숲' 에서 이 스킨을 낀 로키 스펙터와 싸운다.

6. 로키 프라임

로키 프라임
Loki Prime
파일:warframe_loki_prime.png
스테이터스초기치30랭크
체력75225
실드75225
에너지175262
방어력125
질주 속도1.25
마스터리 랭크0
오라 극성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
극성파일:워프레임_바자린.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바자린.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
로키 프라임을 통해 혼란, 기만 그리고 파괴를 퍼뜨리세요.
로키 프라임은 늘어난 극성과 슬롯을 통해 발전된 맞춤 개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13.7.0으로 추가된 신규 프라임 워프레임.

7. 평가

어그로 분산, 은신, 위치변경, 광역 무장해제 등 트릭키한 컨셉의 워프레임.

은신만큼은 그 어떤 워프레임보다 심플하면서도 강력하다. 그저 한번 누르기만 하면, 어떠한 제약도 발동 조건도 없이 지속시간동안 은신이 유지되기 때문. 그 외의 스킬셋들도 보면 교전 회피 등으로 미션 목표만을 보고 달려가서 미션을 완수한 뒤 바로 탈출하는 식으로 이용하는 것이 정석적이다.

그러나 업데이트가 계속 진행되며 더 좋은 은신을 가진 워프레임들이 많이 늘어나 로키의 입지가 많이 좁아졌다. 로키의 은신은 그리니어 자력 센서와 코퍼스 레이저 센서를 무시하지 못하나 오공, 개조 모드를 사용한 이바라는 이러한 센서들을 무시할 수 있으며 옥타비아는 아군 전체에게 광역으로 은신을 부여해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재 로키는 은신 이외엔 특출난 것이 없고 강력한 딜링 어빌리티가 있는 것도 아닌지라 자연스레 첩보활동 이외 컨텐츠에선 잘 쓰이지 않는 비주류 워프레임이 되었다. 4번 어빌리티가 은신 컨셉과 어울리지 않고 효과가 썩 좋지도 않다는 문제는 덤이다. 이는 헬민스 주입으로 교체할 수 있으나 헬민스가 해금되지 않은 초반 유저들은 다른 워프레임들의 필살기 격인 4번 어빌리티를 없는 어빌리티 취급하고 로키를 굴려야 한다.

그래도 은신 워프레임 중에서 가장 획득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5] 또한 써먹을 구석이 없는 것은 아니어서 아이돌론 평원 의뢰에서 텔레포트를 이용해 드론을 빠르게 배달한다거나 헬민스로 4번 어빌리티를 코라의 인스네어로 교체해 은신 + 기동 + 스텔스 버프를 이용한 스텔스 경험치 작에 주로 쓰인다.

8. 모딩

로키는 지속시간이 길고 행동 제약이 걸리지 않는 은신과 텔레포트를 가지고 있어 첩보활동에 주로 사용되며 이외 사용처는 스텔스킬 랭작이 있다. 4번 어빌리티 레이디얼 디스암은 은신이 메인인 로키와는 어울리지 않아 일반적으로 헬민스로 교체한다. 헬민스는 4번 어빌리티를 빼고 첩보활동 전용 퍼스피캐시티, 스텔스 랭작용 인스네어, 이외엔 무기 위력을 높이기 위한 로어 등의 피해량 증가 어빌리티를 주입한다.

모딩 방향성은 지속시간을 최우선으로 투자하며 이외엔 에너지량/효율을 주로 챙긴다. 은신 중엔 공격받을 일이 적기에 체력/방어력/실드는 투자하지 않으며 위력도 4번 어빌리티 외엔 영향이 없어 버려도 되고 거리도 스텔스 경험치작 용도가 아니라면 버려도 된다. 버려도 되는 것이 많아 모딩이 썩 어렵지 않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 모딩 예시
    • 오라 모드 : 자유.
    • 엑실러스 : 자유. 프리퍼레이션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사용을 추천한다.
    • 일반 모드 : 플로우 / 스트림라인 / 컨티뉴어티는 준 고정적으로 들어간다. 이외엔 자유다. 내로우 마인디드를 채용하면 은신 지속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으나 거리를 조져 스텔스 경험치 작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내츄럴 탈런트는 은신 직전 딜레이를 줄여주며 개조 모드인 허쉬드 인비저빌리티는 은신 중 모든 무기 소음을 없애 첩보활동에 도움을 준다. 체력/방어력/실드/위력은 채용하지 않는다.
    • 아케인 : 자유.
    • 헬민스 : 퍼스피캐시티 - 첩보 전용. 다음 해킹을 자동으로 성공시킨다. / 인스네어(코라) - 스텔스 경험치작 전용. / 이외 자유.

9. 기타

  • 최초로 외형이 좌우비대칭으로 디자인된 워프레임으로, 텍스처는 물론 3D 모델의 폴리곤 구조 자체도 좌우비대칭형이다. 이후에 추가되는, 겉보기에는 좌우비대칭 외형을 지닌 워프레임들도 자세히 보면 노바처럼 텍스처만 좌우비대칭형일뿐 3D 모델 자체는 좌우대칭형이거나 새린이나 이바라처럼 3D 모델 자체에 포함된 장식물을 빼면 몸체 자체는 사실 상 거의 다 좌우대칭이다.
  • 로키가 상대적으로 트롤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합성물을 비롯한 2차 창작에서는 대개 메인 빌런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잦다. 이처럼 플레이어의 애증을 받는 워프레임이다 보니 워프레임의 마스코트이자 멋진 연출을 주로 맡는 엑스칼리버와 함께 종종 개그 콤비나 도리어 피해자 역할로 쓰이고 있다. 아예 공식 콘텐츠에서도 후술할, 로키의 모가지를 헌납한 두 번째 꿈 퀘스트의 도입부가 그 사례이다.
  • 과거에는 엑스칼리버, 매그와 함께 스타팅 워프레임이었으나, 이후 패치를 통해 볼트가 스타팅 워프레임으로 바뀌었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2차 창작에서는 초대 워프레임 4인방으로 취급되곤 한다.
    이에 근거하여 나무위키의 워프레임 개별 문서의 둘러보기 문단 기재된 워프레임 출시 순서표에서 최초의 워프레임 8종 그룹은 해당 4인방을 우선 배치하였다.
  • 두번째 꿈 퀘스트의 도입부 시네마틱 연출 장면에서 스토커가 잘려진 로키의 머리를 헌하우에게 보여주고선 바닥에 내팽겨쳐버렸다. 하고 많은 워프레임 중에서 왜 하필 로키였는가에 대해서는 개발진 측의 공식적인 언급은 없지만 헬멧에 뿔이 달려 손잡이처럼 손아귀에 쥘 수 있는 유일하다시한 워프레임이었고 한편으로는 상술한 '트롤' 캐릭터성을 고려한 일종의 개그적인 연출로 볼 수 있다.
  • Warframe 개발자들이 트위치유튜브에서 진행하는 인터넷 생방송 중 개발 근황을 알리는 Devstream[6]의 167번째 방송인 Devstream 167에서 난데없이 새린[7]의 몸통에 로키 프라임의 헬멧을 합친, 이른바 '여체화 로키'(Female Loki)가 등장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는 광물 결정(crystal) 테마를 지닌, 52번째 워프레임으로 기획되어 당시 개발 중이던 시트린(Citrine)의 고유 애니메이션 중 노블 애니메이션을 시연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사용한 캐릭터 모델로, 여성 워프레임이라는 점과 시트린의 기본 헬멧에서 머리 양쪽에서 뻗어 아래로 향하는 장식을 두고 각각 비슷한 새린의 몸통과 로키 프라임의 헬멧을 차용한 것이다. 팬덤에서는 엑스칼리버닉스의 사례처럼 초창기 성별 반전 워프레임 콘셉트가 상기된다는 반응이 있으며[8], 아예 여체화 로키를 그린 팬아트, 심지어 MikuMikuDance로 제작한 3D 애니메이션이 나올 정도.[9] Warframe 공식 사이트의 해당 방송 내용 요약 게시물에서도 이를 의식하여 "여체화 로키에 신경쓰지 말고 애니메이션 자체에만 집중하세요."(Pay no attention to the female Loki -- focus only on the animations themselves.)라는 설명문이 따로 붙었다.
    한편, 해당 방송에서는 앞서 티저 이미지에서 등장한 장수풍뎅이 테마의 라이노 디럭스 스킨인 "데스워치"(Deathwatch) 스킨도 함께 소개되었으나 예의 여체화 로키에 살짝 묻혔다는 평이 있다.

10. 둘러보기

Warframe 최초의 워프레임 8종
최초의 워프레임
엑스칼리버, 매그, 볼트, 로키
애쉬, 라이노, 엠버, 트리니티
프로스트
닉스

[1] 일반형은 라토, 프라임은 렉스 프라임[2] 이것을 이용해 주변 잡소리를 줄여 파괴공작 미션의 숨겨진 저장고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다.[3] 실드 무시 대미지를 광역으로 뿌리는 가스 모딩이나 방어력 무시 대미지를 주는 베기 특화 모딩이 각광받고 있다.[방사능] 상태이상은 10초동안 적의 명중률을 감소시키며 또한 혼란을 불러일으켜 피아 식별을 불가능하게 합니다.[5] 오공은 클랜 가입 후 설계도를 복제해야 해서 솔플 유저라면 얻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바라는 첩보활동의 무작위 보상에서 낮은 확률로 부품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옥타비아는 전용 퀘스트를 수행 후 루아 퍼즐을 수행해야 한다.[6] 다른 Warframe 개발자 방송으로는 커뮤니티 매니저 직책 위주의 직원들로 진행하는 "Prime Time"이 있다. 이쪽은 이른바 '공방'으로 칭하는 무작위 분대에 종종 참여하여 일반 Warframe 플레이어들과 협동 플레이를 벌이기도 한다.[7] 정확히는 새린 특유의 목을 두르는 숄과 치마 장식이 없는 '맨몸' 상태이다.[8] 참고로 남성 워프레임인 애쉬도 초기 콘셉트 아트에서는 여성으로 기획되었다.[9] 한편, 팬아트에서 묘사되는 여체화 로키의 외형이 그리는 작가마다 크게 2종류로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예의 Devsteam 167에서 나온 외형 그대로 '새린의 몸통을 기반으로' 하는 형식과, 헬멧 형태에서 착안하여 단순히 '여성형 몸매를 지닌 로키 프라임' 형식도 있으며 이 경우는 로키 프라임 특유의 나풀거리는 넓적다리 장식을 볼 수 있다.(#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