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3:23:37

TV 중독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카우치 포테이토
,
,
,
,
,

1. 개요2. 설명

1. 개요

텔레비전에 푹 빠져서 하루종일 텔레비전만 줄창 보는 중독.

2. 설명

방송 동호인, 특히 휴일에 딱히 따로 할 일이 없는 직장인, 방학 때 딱히 할 일이 없는 학생, 종일 집에서 지내는 가정주부나 은퇴한 노인들에게 흔히 발견된다.

특히 예능 중독 때문에 사람들이 오락 매체와 농담에 과하게 몰두하느라 머리를 안 쓰고 시도때도 없이 웃으면서 대화를 하는 등 진지하지 못한 태도마저 보인다.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중독 증세는 비판 의식이 결여되거나 정치적 보수 성향이 커진다.

TV 중독에 빠지면 아무런 생산적인 활동을 잘 하지 않고 그저 멍하니 TV만 보면서 시간을 보내게 된다.[1]

몇몇 부모들은 자녀의 TV 중독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아예 집에 TV를 가져다놓지 않거나 버리는 경우도 있다.[2]

특히 오타쿠인 아이들의 경우 과장된 내용이나 빠른 전개 속도 때문에 학습 능력에 지장이 생긴다.

현대에는 컴퓨터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이나 유튜브로 TV 프로그램들을 실시간 혹은 다시보기로 맘껏 볼 수 있으므로 의미가 좀 퇴색했다.


[1] 특히 주변사람들 입장에서 제일로 화나는 경우는 다른 사람들은 식사 중이거나 열심히 공부하거나 땀흘려 일하는데 혼자만 아무것도 안 하고 TV 앞에 떡하니 죽치고 앉아서 딴 사람들한테 자리도 안 내 주고 먹지도 자지도 싸지도 움직이지도 않고 볼륨 크게 올려놓거나 이어폰 혹은 헤드셋 꽂고 TV나 실컷 시청하고 있는 경우. 이 경우는 민폐도 민폐지만 눈치없다고 지적당하기 딱 좋은 개념없는 행동이다. 또한 타인의 잔소리가 듣기 싫거나 이상한 거 보는 거 들통나지 않으려고 하거나 타인에게 방해를 끼치지 않겠답시고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꽂고 시청하는 경우도 좋지 않은 행동인데, 이런 것들을 자꾸 쓰다 보면 지금 옆에서 타인이 호출하는데도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꽂은 상태라서 뭐라고 했는지도 못 알아듣거나 혹은 지금 외부에서 무슨 상황이 터지는지도 알아채지 못하고, 또한 늙어서는 청력 문제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서 이런 것들 외에도 남들은 밤이 돼서 다 자는데 혼자만 안 자고 TV를 시청하는 경우도 진짜 개념 없는 행위이다.[2] 근데 기가 차는 건 되레 일부 부모 본인들이 집에 TV가 없는 걸 부끄러워하거나 이미 과하게 TV에 중독된 사람이어서 TV가 없어지면 삶에 낙이 없다고 한탄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