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7:34:56

Su-27/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u-27
1. 개요2. 국가별 도입 수량3. 유럽
3.1. 소련3.2. 러시아3.3. 우크라이나
4. 아시아
4.1. 중국4.2. 베트남4.3. 인도네시아4.4. 카자흐스탄4.5. 우즈베키스탄
5. 아프리카
5.1. 에티오피아5.2. 에리트레아5.3. 앙골라
6. 북아메리카
6.1. 미국

1. 개요

Su-27 계열 기종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이다.

2. 국가별 도입 수량

국가별 Su-27 도입 수량
국가 Su-27 Su-27UB Su-27SK Su-27UBK Su-27SM Su-27SM3 총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7 - - - - - 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33 26 - - 59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 - - - - 9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 - - - - 1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 5 - - - 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 - - - - 3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 - - - - 7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 - - - - 3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9 5 - - 1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 - - - 4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 - - - - - 28
수출 총계 - - - - - - 27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25 52 - - 74 4 355
총계 - - - - - - 625

3. 유럽

3.1. 소련

파일:Su-27_.jpg
Su-27
소련의 Su-27은 소련 공군소련 방공군 모두에 배치되었는데 소련 공군의 경우에는 적 전투기와 맞서 싸우는 공중우세기 용도로 쓰며, 소련 방공군은 장거리 요격기로 사용했다. 특히 장거리 비행능력 및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이용, 서방의 공중급유기공중조기경보통제기처럼 1대만 파괴시켜도 상대의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만한 적기가 방공군 소속 Su-27의 1차 목표였다.

3.2. 러시아

파일:Su-27_.jpg
러시아 항공우주군 소속 Su-27

3.3. 우크라이나

파일:ukrainian Su-27.jpg
우크라이나 공군 소속 Su-27
소련 해체 이후 다수를 소련군으로부터 넘겨받아 사용 중이다.

국제적으로는 키이우의 유령의 영향으로 MiG-29우크라이나 공군을 상징하는 전투기로 각인되어 있지만, 정작 당사자인 우크라이나 공군에서는 자신들을 상징하는 전투기로 수적인 면에서의 주력 기종인 MiG-29보다는 질적인 면에서의 주력 기종인 Su-27를 내세우는 경향이 강하다. 아무래도 로우급 전투기인 MiG-29보다는 하이급 전투기인 Su-27을 내세우는 쪽이 좀 더 국가적 위신이 살기에 그런 듯.[1]

4. 아시아

4.1. 중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J-1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기준 중국 인민해방군이 보유한 현재 Su-27 계열 파생기는 Su-27 32대, J-11A/B 225대를 운용하고 있다.

4.2. 베트남

Su-27SK 9대와 Su-27UBK 5대를 운용하고 있다.

4.3. 인도네시아

Su-27SKM 5기를 보유중이다.

4.4. 카자흐스탄

파일:Kazakh_Su-27.jpg
카자흐스탄 공군 및 방공군 소속 Su-27
30여 대의 Su-27 계열 기종을 도입했다.

4.5. 우즈베키스탄

파일:Uzbek_Su-27.jpg
우즈베키스탄 공군 및 방공군 소속 Su-27

총 25기(훈련용 5기)의 Su-27을 보유중이다.

5. 아프리카

5.1. 에티오피아

총 20기(훈련용 6기)의 Su-27을 보유중이다.

5.2. 에리트레아

총 2기(훈련용 1기)의 Su-27을 보유중이다.

5.3. 앙골라

파일:Angolan_Su-27.webp
앙골라 공군 소속 Su-30
총 13대의 Su-30을 보유중이다. 일부는 벨라루스로부터 중고로 도입했다.

6. 북아메리카

6.1. 미국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서 각각 2대씩 총 4대의 Su-27을 도입했고 내부 전자장비 제거등의 심한 다운그레이드를 받았고 그대신 콕핏은 미국식으로 즉 콕핏은 영어로 바꾼뒤에 미국으로 팔렸다.

[1] 이는 대한민국 공군KF-16이나 FA-50보다는 F-15KF-35를 자신들을 상징하는 전투기로 부각시키는 것과도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