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2:39:36

Six Karma/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ix Karma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Six Karma/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6528><tablebgcolor=#ff6528> 파일:LLA 심볼.svgLLA
참가팀
}}} ||
'''{{{#!wiki style="color: black;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Estral Esports 로고.svg 파일:Movistar R7 로고.svg 파일:Isurus Gaming.png
파일:멕시코 국기.svg Estral Esports 파일:멕시코 국기.svg Movistar R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Isurus
파일:Leviatán_2021.png 파일:sixKarma.png 파일:378px-Infinity_2021_lightmode.png파일:Infinity_2021_white.pn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Leviatán Esports 파일:멕시코 국기.svg Six Karma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INFINITY
Liga Naciona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sixKarma.png
<colbgcolor=#16171E><colcolor=#CCFD01> 식스 카르마
Six Karma
창단 2021년 5월 25일
소속 리그 LLA
게임단주 루이스 페르난도 마르티네즈
CEO
감독 로드리고 델카스티요
Yeti
코치 카를로스 칼데론
Fallen
약칭 6K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6171E><colcolor=#ccff00> 파일:TOP_icon_NIP.png
TOP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마테오 아로스테기
Buggax
파일:JGL_icon_NIP.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르|박미르
Mir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안 곤잘레스
Dimitry
파일:MID_icon_NIP.png
MID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드가 브라카몬테스|에드가 브라카몬테스
Seiya
]]
파일:BOT_icon_NIP.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현(프로게이머)|박정현
5kid
]]
파일:SPT_icon_NIP.png
SPT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니콜라스 빌루론
IgnaVilu1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역사 및 역대 시즌3. 멤버
3.1. Buggax(부각스, Mateo Aroztegui, 마테오 아로스테기)3.2. Seiya(세이야, Édgar Bracamontes, 에드가 브라카몬테스)
4. 전 멤버
4.1. Warangelus(와란젤루스, Fabián Llanos, 페비앙 야노스)

[clearfix]

1. 개요

Six Karma 소속 멕시코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6K.

XTEN Esports의 시드를 구입해 2023 시즌부터 LLA에 참여한다.

2.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Six_Karma_Old_Logo_2022.webp 파일:Six_Karma_logo_square.png
Six Karma Six Karma
식스 카르마 식스 카르마

3. 멤버

3.1. Buggax(부각스, Mateo Aroztegui, 마테오 아로스테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지역 리그
최다 우승자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메이저 리그
파일:LCK 로고.svg 파일:LCS_2024.webp 파일:LEC.png 파일:LPL_2020.png
Faker
이상혁
Doublelift
피터 펭
Caps
라스무스 뷘터
Clearlove
밍카이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마이너 리그
파일:CBLOL_2021.png 파일:LLA 2020.png 파일:PCS Square.png 파일:VCS_2023_icon.png
Robo
레오나르두 소우자
Buggax & Oddie
마테오 아로스테기
세바스티안 니뇨
Hanabi & Kaiwing & Unified & Azhi & Maple
쑤자샹 & 링카이윙 & 웡춘킷 & 황상즈 & 황이탕
Levi
도두이칸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합병된 지역 리그 편입된 지역 리그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LCO로고.png 파일:LJL_2020_logo.png 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Babip & Raes
레오 로머 & 퀸 코레브리츠
Yutapon
스기우라 유타
HolyPhoenix
아닐 이시크
}}}
}}}}}}}}} ||

파일:ISG_Buggax_2019_Split_2.png
우루과이 국적의 탑라이너. Hafnet의 탑솔러였고 잠깐 LLN의 Gaming Gaming에서 활동한 적이 있다. 남미 최고의 탑솔러였던 Nipphu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영입하였다.
LLN 오프닝 시즌에서의 행보를 보면 Regi와 함께 팀을 이끌어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암울했던 팀을 플레이오프 4강까지 끌어올린 원동력이 된 듯. 그리고 CLS에서도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프넷 시절 팀의 쌍두마차였던 Warangelus 그리고 본인을 LLN 시절 일방적으로 구타하던 오디와 세이야 미드정글이 한 팀에 합류했으니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도?
다만 본인이 파랑이나 렐릭, 액세 등을 상대로 폼이 별로 안좋다. 탱커나 조작이 덜 복잡한 챔프를 잡으면 1인분을 하지만, 힘대힘 싸움에서 밀리면서 ISG의 부진을 이끌었던 주범. 세이야의 라인전 파괴력이 전성기보다 내려간 부분과 마이너스 시너지가 났다. 하지만 헤카림으로 결승전 3,4세트에 좋은 모습을 보였으니 적어도 유럽 모 6위 팀의 10위권 탑솔러 월립보다는 써먹기 조금 나을듯.
그러나 MSI 첫날부터 자신의 상징(?)인 헤카림과 손가락보다는 챔프 이해도 즉 로지컬이 중요하다는 라이즈로 거하게 싸제끼면서뿌직스라 카더라 김동준에게 2019년에 찍힌 첫 번째 외국 선수가 되는 영예를 안았다. 그나마 피오라로 미믹 상대로 팀원들이 밀어줘서든 어째서든 분전했지만 이스루스가 스플릿을 이해하는 운영 머리가 있는 팀이 아니라서 대퍼로 패하였다.
그래도 그 다음 FB전에서 아칼리로 터체탑 루인을 솔킬 내는 등 좋은 플레이로 첫경기의 아쉬움을 떨쳐냈다. 바머스전에서 2승을 건지면서 뿌직스와 북악스카이웨이(...)를 오가는 롤러코스터를 보여줬다. 대체로 탑도 아쉽지만 운영이 더 아쉽다는 평이 많은 것을 보면 최악은 간신히 면한 것도 같다.
2019 롤드컵에서는 MSI보다 훨씬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여전히 기복이 보이지만 이제는 메카닉이 강한 변방 탑솔러라 불릴 수가 있을 정도로 체급이 올라갔다. 공격성은 있는데 경험 부족으로 그 공격성이 발휘가 안되던 전반기와는 폼이 상당히 차이가 크다. 자신과 대조적이었던 INF의 렐릭이 메타 변화와 노쇠화로 몰락하는 사이, 왜 이스루스가 부각스를 믿고 기다렸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각성했다.
2019년 12월 2일 Isurus Gaming을 떠났다. # 이후 12월 11일 BRCC 참가팀인 Falkol에 입단했다. #
BRCC 참가 이후, 한 시즌 만에 팀을 나왔고, 20 서머 시즌 기간에는 휴식을 취하다가 2021 시즌을 앞두고 Infinity에 입단하며 LLA 무대로 리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2. Seiya(세이야, Édgar Bracamontes, 에드가 브라카몬테스)

파일:ISG_Seiya_2022_Opening.png

4. 전 멤버

4.1. Warangelus(와란젤루스, Fabián Llanos, 페비앙 야노스)

파일:ISG_Warangelus_2019_Split_2.png

칠레 국적으로, 전임자인 Kindless를 능가하는 칠레 최고의 원딜러라 볼 수 있다. 15년도에 데뷔한 19년 기준 중견급 게이머이나 나이는 98년생으로 결코 많지 않다. CLS 중하위권 팀인 Hafnet eSports에서 데뷔하였는데, Zeicro와 Furious Gaming의 Prodigy가 모두 출전을 고사한 덕분에 팬 투표 3순위임에도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의 와일드카드 예선전인 IWCA 2016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1] 그리고 이 선수는 뜬금없이 팬과 관계자들에게 눈도장을 찍게 되는데... 당장 이벤트전이기는 하지만 베트남의 병장님으로 유명한 리바이의 국제무대 데뷔전에 참패를 안긴 장본인이 바로 이 선수이다. 라인전이 호구라 예능챔프 취급이던 베인으로 동남아 대표인 베트남팀을 양학한 것은 물론, Celebrity 지못미 온갖 이벤트전으로 롤스타전 진출 포인트를 누적하는 올스타전의 포맷에서 최약체 남미팀 중 혼자 사람구실을 하였다. 미드 출신 겸 리 신 장인이라는 경력에 걸맞게 암살자 모드에서 미드가 본업인 플루고가 빌빌대는 사이 혼자 분전하고 1vs1 미드빵에서도 연전연승하는 등 그야말로 남미 팀의 유일한 볼거리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렇게 멱살을 잡고 브라질과 CIS를 넘어 팀을 혼자 4강으로 이끌었으나 4강 상대는 온갖 이벤트 모드를 미리 연습해 칼을 갈아온 일본이었고, 5vs5에서 본인이 이즈리얼로 캐리하며 승리하는 듯했지만 암살자 모드에서 미드가 플루고라서 일본 특유의 졸렬한 텔운영(...)에 휘말려 참패하였고 미드빵에서 본인도 일본의 미드인 Ceros에게 아깝게 한끝 차이로 석패하며 결승 티켓을 일본에게 내주게 된다. 그리고 일본은 자기들끼리 동남아에서 올스타전을 해서 올라온 베트남의 병장님과 사령관에게 탈탈탈 털리게 된다

그리고 이 이벤트전의 활약이 워낙 인상이 깊었는지, LLN의 상위권 팀인 Havoks Gaming(당시 Just Toys Havoks)이 늘 우승하는 Lyon Gaming을 잡기 위해 슈퍼팀을 꾸리던 와중 와란젤루스를 영입하게 된다. 그리하여 남미 최고의 원딜러이자 Play-in 최고의 원딜러로 꼽히던 Whitelotus의 유일한 대항마로 활약하면서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나 결승전에서 Lyon과 팀의 백업을 받는 Whitelotus는 넘을 수 없는 벽이었다. 서머에 한 시즌만에 탈퇴하고 퓨리어스 게이밍 B팀에서 남미 2부리그를 뛰었는데, 그가 빠진 Havoks가 서머도 망하고 RR도 망하면서 얼마나 영향력이 큰 원딜러였는지를 실감할 수 있었다.

그래서 반년을 2부리그에서 놀다가 이번에는 CLS의 새 슈퍼팀인 Rebirth eSports에 입단하였다. 탑라이너인 브라질 용병 Fitz와 함께 쌍끌이, 아니 본인이 거의 다 해먹는 모습으로 팀을 뜬금없이 정규시즌 1위로 끌어올렸다. 디펜딩 챔피언 Kaos Latin Gamers와 자신의 라이벌인 Fix의 면전에서 펜타킬을 기록한 것은 덤이다. 하지만 중요한 무대였던 결승에서 2:1로 앞서던 1세트에 OP챔프인 카이사가 풀렸는데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모습으로 팀의 패배를 이끌었고, 팀은 5세트에 카이사와 양대 OP이던 스웨인을 아무리 국제대회 호구라지만 소프트웨어는 CLS 상위권인 플루고에게 던져주는 정신나간 밴픽과 함께 KLG에 그대로 우승을 헌납하였다. 1, 3세트에서 트리스타나와 자야로 상대 원딜인 Fix를 압도하며 캐리했기에 아쉬움이 클 수밖에 없는 결승전이었을듯.

클로징 시즌에도 스프링 결승의 한을 풀려는지 카이사로 여러 번 하드캐리한 것은 물론 미드 출신답게 비원딜 메타에서 야스오, 카시오페아, 블라디미르, 럼블 등 정신나간 챔프폭을 자랑하며 Fitz가 이탈한 리버스의 원맨 에이스로 활약였고 다시 팀을 정규시즌 2위로 끌어올렸다. 하지만 RR에서 보여준 팀의 처참한 경기력[2]만 봐도 팀의 내실은 오프닝 시즌보다 좋지 못했다. 결국 본인이 Kindless를 털어버리며 어찌어찌 결승까지는 갔지만, 브라질의 클템Leozuxo의 이탈 후 악화된 오더체계 그리고 Fitz와 달리 Nate를 탈탈탈 털지 못한 새 탑솔 LukasNegro의 애매함 등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승전에서 참패하였다. 가히 남미의 테디라고 볼 수 있을듯.테디는 준우승도 못해...

전반적으로 원거리 딜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는 오더능력이나 적극적인 스노우볼을 주도하는 능력 등은 애매하지만, 원거리 딜러에게 요구되는 기본에는 아주 충실하면서도 탁월한 실력을 지닌데다 비원딜 메타 적응력까지 좋은 원딜이다. Whitelotus가 다소 미묘해진 시점 터키에서 뒤늦게 개안한 Zeitnot이나 같은 지역 라이벌인 Fix, CIS의 Lodik, 브라질의 Titan 등이 그 빈자리를 채우고 있는 상황에서 Warangelus가 누구인지 아는 롤 팬들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Whitelotus와 Fix가 국제대회에서 보여준 활약을 생각하고 다시 이 선수가 자국리그에서 그들을 상대하면서 보여준 기량을 따져보면 굉장히 기대가 많이 되는 원딜러이다.

그리고 이스루스의 새 리빌딩에 오디, 세이야, 슬로우와 함께 합류하였다. 뇌가 뛰어나지는 않아도 섀도우보다는 나은 슬로우 그리고 LLN의 절대왕정 주역이었던 미드정글이 들어왔기에 고통에서 해방될 가능성도 있지만, 리그 통합으로 인해 한창 포텐이 터지는 INF를 잡아내려면 팀적 완성도 또한 뒷받침이 되어야 할듯.

그리고 자신에게 사연이 많은 챔프인 카이사로 결승전 4세트를 쓸어담고 팀의 우승이자 자신의 커리어 첫 우승을 확정지었다. 다소 공격적인 플레이를 시전하다 백업이 제대로 안 돼서 잘리는 모습도 보여준 시즌이지만, 새로운 라틴아메리카 최고의 원딜러가 와란젤루스라는 데 이견은 없을 것이다.

2021 오프닝 시즌에서는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얼마나 부진하면 서포터인 슈하리와 포지션을 바꿔서 출전하기도 했다. 결국 오프닝 시즌 이후 4월 18일 팀을 떠났으나 3일 만에 정글로 포지션을 변경하고 복귀했다.

[1] 참고로 이 당시 플루고도 emp와 Uri(Lyon의 원년 미드)의 고사로 똑같이 3순위임에도 출전했다. 그래서 이벤트전이고 뭐고 와란젤루스는 존잘, 플루고는 존못이었다는 매우 중요한 차이점이 있지만 말이다[2] 본인이 비원딜을 잡으면 초반부터 팀이 망해버린 덕분에 Fix보다 비원딜을 더 못한다는 오명을 쓰기도. 더 잘한다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