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3:12:36

SHINee/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HINee

파일:샤이니sm로고검은색.png



[ 한국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382083_org.jpg
||<width=25%>
파일:161891.png
||<width=25%>
파일:external/cdnimg.melon.co.kr/399303_org.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184882.jpg
||
누난 너무 예뻐 (Replay)
미니 1집

2008. 05. 22.
The SHINee World
정규 1집

2008. 08. 28.
Amigo
정규 1집 리패키지

2008. 10. 29.
Romeo
미니 2집

2009. 05. 18.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2342.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3065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3974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24276.jpg
2009, Year Of Us
미니 3집

2009. 10. 14.
LUCIFER
정규 2집

2010. 07. 19.
Hello
정규 2집 리패키지

2010. 09. 30.
Sherlock
미니 4집

2012. 03. 19.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58480.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6703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82554.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91876.jpg
The Misconceptions Series
Everybody
미니 5집

2013. 10. 14.
The Misconceptions of You
정규 3집 Ch.1

2013. 02. 19.
The Misconceptions of Me
정규 3집 Ch.2

2013. 04. 26.
The Misconceptions of Us
정규 3집 합본

2013. 08. 08.
파일:external/image.bugsm.co.kr/50391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522067.jpg
파일:1of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66544.jpg
Odd
정규 4집

2015. 05. 18.
Married To The Music
정규 4집 리패키지

2015. 08. 03.
1 of 1
정규 5집

2016. 10. 05.
1 and 1
정규 5집 리패키지

2016. 11. 15.
파일:데리러가앨범커버.jpg
파일:The Story of Light EP.2.jpg
파일:The Story of Light EP3 (new).jpg
파일:TheStoryOfLightEpilogue.jpg
The Story of Light Series
The Story of Light EP.1
정규 6집 EP.1

2018. 05. 28.
The Story of Light EP.2
정규 6집 EP.2

2018. 06. 11.
The Story of Light EP.3
정규 6집 EP.3

2018. 06. 25.
The Story of Light Epilogue
정규 6집 합본

2018. 09. 10.
파일:dontcallmecover.jpg
파일:SHINee(샤이니)_-_Atlantis.jpg
파일:샤이니_HARD.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Don't Call Me
정규 7집

2021. 02. 22.
Atlantis
정규 7집 리패키지

2021. 04. 12.
HARD
정규 8집

2023. 06. 26.
미정
미니 6집

2024
[ 일본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90911.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98048.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09406.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22673.jpg
||
Replay - 君は僕のeverything-
싱글 1집

2011. 06. 22.
Juliette
싱글 2집

2011. 08. 29.
LUCIFER
싱글 3집

2011. 10. 12.
THE FIRST
정규 1집

2011. 12. 07.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2964.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2965.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2966.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87840.jpg
Sherlock
싱글 4집

2012. 05. 16.
Dazzling Girl
싱글 5집

2012. 10. 10.
1000年、ずっとそばにいて…
싱글 6집

2012. 12. 12.
Fire
싱글 7집

2013. 03. 13.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690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8783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08227.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36798.jpg
Boys Meet U
정규 2집

2013. 06. 26.
Boys Meet U
싱글 8집

2013. 08. 21.
3 2 1
싱글 9집

2013. 12. 04.
LUCKY STAR
싱글 10집

2014. 06. 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54252.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89173.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0476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15747.jpg
I'm Your Boy
정규 3집

2014. 09. 24.
Your Number
싱글 11집

2015. 03. 11.
Sing Your Song
싱글 12집

2015. 10. 27.
D×D×D
정규 4집

2016. 01. 01.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39794.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77326.jpg
파일:external/imagizer.imageshack.us/xbREuS.jpg
파일:20160908.jpg
君のせいで
싱글 13집

2016. 05. 18.
Winter Wonderland
싱글 14집

2016. 12. 21.
FIVE
정규 5집

2017. 02. 22.
SHINee THE BEST FROM NOW ON
베스트 앨범

2018. 04. 18.
파일:20182600.png
파일:superstar_shinee.jpg
파일:투명.png
파일:투명.png
Sunny Side
싱글 15집

2018. 08. 01.
SUPERSTAR
미니 1집

2021. 07. 28.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0><colbgcolor=#79e5cb><colcolor=#000>
활동
||<width=22.5%> 음반 ||<width=22.5%> 활동 ||<width=22.5%> 기타 활동 ||<width=22.5%> Weverse ||
공연
콘서트 팬미팅
팬덤
SHINee WORLD 응원법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1. 개요2. 데뷔 전3. 활동 관련4. 숙소 에피소드5.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샤이니여담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2. 데뷔 전

  • SM 연습생 입사 순서는 민호, 종현, 태민, 키, 온유 순이다.
  • 키가 핑계고에 나와 밝힌 바로는, 데뷔조를 꾸릴 당시 SM 남자 연습생 20여 명중 7-8인조로 계획되었다가 지금의 5명 멤버 구성으로 최종 확정되었다고 한다. 연습생들 앞에서 선발된 멤버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방식으로 통지되었는데, 카메라 없는 프로듀스101 키는 네 번째로 호명되었다고 한다. 데뷔조 후보에 고정적으로 포함되었던 멤버는 종현, 태민이었고 민호도 자주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 19일 신인그룹 데뷔 기사로 단체사진 공개 - 22일 데뷔곡 뮤직비디오와 음원 공개 - 25일 데뷔라는, 유례없이 갑작스러운 데뷔였다. 워낙 비밀리에 데뷔 준비를 했기 때문에 멤버들도 데뷔 2주일 전에야 부모님께 데뷔 소식을 전했다고 한다.
  • 데뷔 당시 나이는 만으로 18, 18, 16, 16, 14세였다.
  • 데뷔 전부터 회사에서는 샤이니의 연하남 이미지와 소년미를 강조하기 위해, 방송에서 멤버들이 만 나이로 본인을 소개하도록 시켰다고 한다.
    • 이 때문에 이미 세는 나이로 20살이라 성인이었던 온유에게도 성인이라는 것을 들키지 않게끔(?) 주의를 주었다.
    • 또한 93년생으로 당시 16세였던 태민은 회사에서 시킨 대로 본인을 14세로 소개했고, "아, 그럼 너 95년생이구나?" 라고 되물으면 그 때부터 대답을 안 했다고 한다.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

3. 활동 관련

  • 16년 동안 매년 컴백할 때마다 '소년에서 남자로 돌아왔다'는 기사 타이틀이 매번 걸린다.
  • 데뷔 초에는 소속사와 매니저의 과도한 검열과 고나리로 팬들에게 원성을 사곤 했다. 어느 아이돌이건 데뷔초에는 관리가 들어가긴 하지만 샤이니는 어려서 그랬는지 유독 심했다는 사실. 특히 사인회 때 멤버들 뒤에 서있던 스탭들이나 코디들의 검열이 과한 편이었는데, 정규 3집 활동을 시작하면서 코디가 바뀐 뒤로는 예전 같은 고나리는 사라진 듯.
  • 단독 콘서트의 정식 명칭은 'SHINee WORLD[1]'지만 콘서트마다의 부제가 따로 있는데, 부제는 콘서트 첫날 멤버들이 직접 짓는다. 다만 현장에서 작명 타임이 생겨난 건 2013년 SMTOWN WEEK The Wizard(싸우나콘)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팬들이 멤버들의 콘서트 멘트에서 따와서 부르던 명칭이 그대로 자리잡는 식이었다. 특히 멤버들 중에서도 태민이 생각해낸 이름이 많이 채택되면서 작명가 이태민 선생 이라는 칭호를 얻은 바 있다. 그리고 멤버들은 "생각하는 게 우리랑 아예 달라.", "아무리 생각을 쥐어짜내도 를 이길 수가 없어." 라며 혀를 내두르기도 했다.
    • 떡국콘 : 새해 첫날에 해서 떡국콘.
    • 해부콘 : 멤버들이 무대에서 모든 걸 다 꺼내 보여주겠다고 말하자 온유가 "세계 최초의 해부콘서트!" 라고 덧붙인 멘트에서 유래되었다.
    • 싸우나콘 : 콘서트 시기가 연말인지라 1년동안 묵은 체증을 날려버리자는 의미로 정했다. 원래는 '체콘'이 될 뻔 했으나 온유의 의견을 따라 싸우나콘이 되었다. 줄여서 싸콘이라고도 부른다.
    • 팝콘 : 작명가는 태민. 팬들을 열기로 톡톡 튀어 오르게 하겠다는 뜻으로 팝콘이다. 샤이니는 오븐이고 팬들이 강냉이!
    • 꼭갈콘 : 작명가는 태민. 꼭 가야할 콘서트의 줄임말이다. 태민이 처음 낸 아이디어는 유명한 과자 이름인 꼬깔콘이었는데, 종현이 해당 아이디어에 뜻을 추가했다. 꿈보다 해몽
    • 선녀와 나무콘 : 작명가는 태민. 나무(샤이니)가 언제나 선녀(팬)들을 지킨다는 의미. 줄여서 선나콘이라고도 부른다.
    • 무조콘 : 비욘드 라이브이다. 작명가는 민호. 박상철의 노래 <무조건>의 음에 맞춰 "무조콘 무조콘이야~" 라고 노래하며 밀어붙였는데, 반응이 좋아 그대로 채택되었다.
    • 백설콘(주) : 작명가는 태민으로, 어원은 당연히 백설공주이다. 당시 태민이 왕자 역할과 난쟁이 역할을 두고 현장에 온 남성 팬과 대표로 가위바위보를 하는 소소한 이벤트가 열렸다. 그리고 모두의 바람대로 태민이 승리하면서 샤이니 멤버들이 왕자, 남성 팬들이 난쟁이가 됐다.
    • 드래콘(볼) : 작명가는 태민이며, 이름의 유래는 만화 드래곤볼이다. 드래곤볼이 다 모이면 소원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샤이니 멤버들이 오랜만에 다 같이 모여서 팬들의 소원을 이뤄주겠다는 의미라고 한다.[2]
  • 현 SM엔터 CEO인 이성수 대표이사가 A&R팀으로 일했던 시절 작곡한 노래가 두 곡 있는데, 두 곡 모두 샤이니 앨범의 수록곡이다. 2009년에 발매된 '소년, 소녀를 만나다'와 '내가 사랑했던 이름'이 바로 그것. A&R로 입사 후 처음 맡았던 팀이 샤이니였는데, 초기 이후로는 물리적인 시간이 없어 작곡을 더 이상 못했다고 한다. 샤이니팬들은 소소만같은 노래 한 곡만 더 만들어 달라고 아직 미련을 가지고 있다는 소문
  • Everybody 이후로 오랫동안 EP(미니앨범)를 발매하지 않았다. 보통 1년~1년 반의 공백기를 가지고 컴백하기 때문에 계속 정규앨범이 발매되는 편.
    • 그러나 SM이 공개한 2024년 2분기 라인업에 따르면 Everybody 이후 무려 11년만에 미니앨범 발매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4]
  • 대중성과 팬덤의 균형이 상당히 잘 잡혀있는 아이돌 중에 하나이다. 멜론 연간 차트에도 데뷔때부터 활동하는 년도마다 1곡씩은 무조건 넣어왔고, 뮤직뱅크 선호도도 1000점이 넘게 나온다. 솔로로는 태민이 600점 정도 나온다.[5]
  • 2024년 현재까지 SM의 2세대~3세대 보이그룹 중 탈퇴로 인한 멤버변동이 없는 유일한 아이돌 팀이다.[6]
  • 일본에선 쟈이니라고 불린다. 일본에서도 샤이니다. 쟈이니는 '재팬'과 '샤이니'의 합성어로 한국 팬들이 일본에서 활동하는 샤이니를 지칭할 때 쓰인다.
  • 일본 노래는 보통 현지 발매 1~2일 이후 정오에 음원 사이트에 풀린다. EMI에 소속되어 있었을 때는 무려 1달 가까이 안 올라온 적도 있지만 유니버설 뮤직 재팬으로 합병된 이후에는 빨리 올라오는 편.
  • 멤버 별로 이름을 따서 고양이에게 이름을 붙혀준 일명 샤이냥이 있다! 심지어 공식 뮤직비디오까지 있다. 싱글 君のせいで의 프로모션을 위함인 듯.
  • 일본 앨범 작업, 투어 스케줄 모두 SM Japan이 담당하며, 일본 소속사인 유니버설 뮤직 재팬은 프로모션이랑 유통을 맡고 있다. 처음 일본 진출했을 땐 EMI 뮤직 재팬이라는 회사와 계약했는데 2013년 4월 1일 EMI가 인수(!)돼 버렸다.
  • 일본 발매곡의 프로듀서 정보는 이곳에서 한번에 볼 수 있다.
  • 2000, 2010, 2020년대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둔 최초의 아이돌 그룹[7]으로, 뮤직뱅크에 한정하면 유일하다.

4. 숙소 에피소드

  • 데뷔 초 숙소 생활을 하던 시기, 집안일을 맡아주시던 이모님께서 '자꾸 참기름이 없어진다'며 이상하게 여기셨다고 한다. 범인은 민호태민으로, 매일 마가린, 고추장 등에 참기름을 넣고 밥을 비벼 먹었기 때문. (...)
  • 그 시절의 모든 신인 아이돌들이 그랬듯, 샤이니도 첫 숙소에서는 멤버 전체가 한 방에서 생활했다. 2층침대 2개 사이에 일반 침대 1개를 둔 구조로, 가장 연장자이자 리더인 온유가 가운데의 일반 침대를 사용했다.
    • 2층 침대의 경우 태민(1층)과 종현(2층) / 민호(1층)와 (2층)가 같은 침대를 사용했다.
  • 숙소의 2층 침대는 사다리가 바깥 쪽으로 나 있는 구조였는데, 2층을 사용하는 멤버들이 돌아서 올라가기가 귀찮다는 이유로 (...) 가운데에 있던 온유의 침대를 밟고 올라갔다고 한다.
  • 멤버들 중 먼저 잠드는 편이었던 온유는 멤버들이 불을 켠 채로 각자 할 일을 하는 동안, 귀마개를 낀 채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고 잤다고 한다.[8]
  • <줄리엣> 활동에서 음악방송 1위를 했을 때, 펑펑 우는 종현을 끌어안고 눈물을 참던 민호의 사진[사진]이 숙소에 걸려 있었다고 한다. 누가 걸었는지는 아직도 모른다고.
  • 데뷔 초에는 여느 신인 아이돌들처럼 야간 외출이 금지되었는데, 태민의 부모님이 당시에 어린 아들을 위해 숙소 근처로 이사를 오셨다고 한다. 그래서 태민은 다른 멤버들에 비해 비교적 외출이 자유로운 편이었는데, 본가에 간다는 거짓말을 하고 당시 연습생이었던 EXO카이와 함께 연습실, 놀이터, 공원 등으로 놀러 나갔다는 일화가 있다. 별 거 아닌 것 같아도 당사자에게는 엄청난 (...) 일탈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 태민이 외박한 다음 날에 가 밖에서 태민의 어머니를 마주쳤는데, 어머니 앞에서 태민에게 "어제 본가에서 잘 잤어?"라고 슬쩍 물어본 적이 있다고 한다. 그러자 어머니가 곧바로 태민에게 "너 어제 숙소에서 잔다고 하지 않았니?!" 라고 하셨다는 후문. 상습범
  • 현재의 버블의 원조 격이라 할 수 있는 'UFO타운'[10]을 위해 회사에서 작은 노트북을 숙소에 제공했는데, 태민하라는 건 안 하고 해당 노트북에 게임을 깔아서 열심히 했다고 한다.
  • 숙소가 이사하면서 방이 나뉘고 다양한 룸메이트 조합이 있었지만, 태민민호는 한 방을 쓴 적이 없다고 한다. 이유는 불명. 2023년 방송에서 숙소 시절을 회고하며 민호태민에게 "너 왜 나 피했어? 형이 뭐 잘못했니? 그랬다면 사과할게." 라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 다른 멤버들은 숙소에서 일찍 독립한 편이었지만, 온유와 민호 두 멤버는 군입대 직전까지 약 10여년간 함께 숙소 생활을 했다. 군대 전역 후에 민호가 독립하고, 이후 매니저와 함께 숙소 생활을 하던 온유가 독립했다는 사실이 2023년 1월에 밝혀지면서 샤이니 숙소는 15년 만에 없어지게 되었다.
  • 온유와 민호가 살고 있던 숙소에는 이후 슈퍼주니어의 은혁과 규현이 들어갔다. 온유가 쓰던 방에는 은혁이, 민호의 방이었던 곳에는 규현이 거주하는 모습이 2023년 방송 등을 통해 알려졌다. 출처[11]

5. 기타

  • 데뷔 ~ 데뷔 초반 당시 한국에 스키니진 열풍을 불러 일으킨 선두주자이다. 일명 스키니계의 문익점. 샤이니의 영향으로 방송계의 트렌드도 스키니 쪽으로 기울었고, 스키니진을 '샤이니 바지'라고 부르기도 할 정도였는데, 본인들은 당시 인터넷도 못 할 때라서 유행을 잘 실감하지는 못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차를 타고 지나가는데 수원역 같은 곳에서 사람들이 다 본인들처럼 입고 다니는 모습을 보고 그제서야 조금 실감했다는 후문.
  • 2013년을 기점으로 데뷔 5년 만에 전 멤버가 만 20대가 되었으며, 전원 모두 면허를 취득했다.
  • 리더이자 맏이인 온유와 막내 태민의 나이는 네 살 차이.[12] 형들 4인(온유, 종현, , 민호)은 모두 반말을 사용하며, 태민은 데뷔 초 ~ 중반까지는 존댓말과 반말을 혼용했으나 요즘엔 사석에서는 반말을 사용한다. 방송에선 상호 존대.
  • SM 공식 채널에는 왜 올라온건지 10년이 지나도록 의문이라는 드림걸 커버댄스 밀대버전 영상이 있다. 제목부터도 매니저 ver. 이 아니라 밀대 ver. 인 것이 킬링포인트. 이들의 정체는 다음과 같다.
    • 비니 + 가죽자켓 : 엑소 매니저
    •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 삼선이 있는 트레이닝 바지 : f(x) 매니저
    • 빨간색 재킷 : 샤이니 매니저
    • 'I TRUST' 라고 쓰인 검은색 반팔 : 소녀시대 매니저
    • 흰색 재킷 : 슈퍼주니어 매니저
  • 가끔 샤이니가 두 손으로 W표시를 만들 때가 있는데[13], 7주년 팬미팅에서 이 동작의 의미는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자 "원래 쌩얼을 가리려는 의도였으나, 앞으로는 SHINee WORLD의 W를 뜻하기로 하자"고 정했다. 그 뒤로 사진이나 무대 등에서 자주 해주고 있다.
  • 2016년 2월 말부터 SM엔터테인먼트이마트와 합작으로 자사 가수들의 PB상품을 내놓기 시작했는데, 샤이니는 레몬맛 탄산수가 발매되었다.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는 평. 옆면에는 멤버들의 안무가 캐리커처로 그려져 있다. 이마트XSM 협업 제품 중 가장 많이 팔린 제품 1위로 선정되었다.(2016년 4월 3일자 기사 기준)
  • 2015년까지 2014년을 제외한 모든 크리스마스를 멤버들이 함께 보냈다고 한다. 심지어 2015년도에는 뮤뱅 스케줄이 있었는데 취소되고 연습 스케줄로 변경되었다 크리스마스에는 보통 일본 콘서트를 자주 했던 편.
  • SM 소속 아이돌 중 유일하게 혈액형이 A형인 멤버가 없으며 빠른 년생이 한 명도 없는 3팀의 그룹 중 하나다.
    • 샤이니를 제외한 거의 모든 SM 아티스트 그룹에 1~2월생이 있지만, 샤이니는 온유 (12월 14일), 종현 (4월 8일), 키(9월 23일), 민호(12월 9일), 태민(7월 18일) 모두 4~12월에 생일이 분포되어 있다.
    • 혈액형은 온유 (O형) / 종현 (AB형) / Key,민호,태민 (B형).
    • 빠른 년생이 없는 것은 대선배 그룹인 H.O.T.에 이어 2번째이며, 후배들 중에서는 RIIZE 뿐이다.
  • 멤버들 모두 동생이 없다. 일명 2외동 3막내 그룹.[15]
  • 일본어는 멤버 중에 키가 제일 잘하고 발음도 가장 자연스럽다. 종현과 태민도 능숙하다. 온유와 민호도 듣는 건 무리없고, 의사표현 역시 꽤 잘한다. 가끔 온유가 한본어(한국어 + 일본어)를 구사하기도 했는데, 일본 솔로투어를 돌면서 통역사없이 스스로 진행할 정도로 일본어 실력이 크게 늘었다. 온유 일본어 실력 칭찬하는 키
  • 2023년 8월 9일 에버랜드 측에서 아메리칸 어드벤처 구역에 데뷔 15주년을 맞이하여 ‘K-콘텐츠 지식재산권(IP) 융복합 제작 지원’ 사업의 결과물인 ‘렛츠 샤이니 랜드’ 테마존을 만들었다. 해당 지식재산권이 적용된 어트랙션은 '하드 락스핀’, ‘롤링딩동’, ‘에브리바디 트위스트’ 3종이며, 2023년 10월 31일까지 운영되었다.

[1] 팬덤명과 동일하지만 콘서트는 SHINee WORLD 뒤에 숫자가 붙는다. SHINee WORLDⅠ, SHINee WORLDⅡ…[2] 1일차에는 즉석에서 떠올린 이름으로 소개했고, 마지막 날인 3일차에는 사실 1년 전부터 생각해 뒀다고 말한 바 있다. 과연 진실은?[3] 멤버 얼굴은 안나오고 다리만 나온다던가[4] 그러나 5월 8일 다시 공개된 라인업에 따르면 샤이니의 미니앨범 소식이 없는것으로 보아 무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5] 절대 낮은 수치가 아니다. 뮤직뱅크 선호도는 불특정 다수를 통해 집계하고 있고, 역대 최고 선호도가 1700 정도인데, 보이그룹 같은 경우에 0점을 받는 경우도 허다하다. 2015년도 EXO빅뱅 완전체가 600점대를 받았다. 물론 이 둘은 함께 붙는 바람에 선호도 점수가 깎였다는 평도 있다.[6]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EXO, 심지어 NCT까지도 탈퇴로 인한 멤버변동이 있었다.[7] 나머지는 카라와 빅뱅[8] 이유는 빛과 소음에 민감한 편이라서. 2021년 라이브에서 멤버들이 "그 때를 생각하면 온유형에게 참 미안하다." 라며 반성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사진] 파일:줄리엣톰제리.jpg[10] 버블과 비슷한 시스템으로, 2세대 아이돌들과 소통할 수 있었던 유료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유료 문자를 보내면 아이돌들이 볼 수 있게 되는데, 답장을 받을 확률은 희박한 편이었다. 2018년 1월 2일부로 시스템을 종료하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1] 그리고 2024년 현재는 규현이 따로 독립했기 때문에 해당 숙소도 정리 수순을 밟았을 것으로 추측된다.[12] 후배 그룹인 EXORIIZE도 맏이와 막내의 나이 차이가 네 살이다. 선배 그룹인 슈퍼주니어 또한 규현이 합류하기 전에는 리더 이특과 막내 기범이 4살 차이이며, 규현도 빠른 88년생으로 87과 친구가 된다.[13] 왼쪽부터 온유, 키, 태민, 종현, 민호[14] 샤이니가 줄리엣으로 등장 1위를 하자 스케줄에 가며 밴을 타던 소녀시대 멤버들이 "와아!!" 하면서 진심으로 자기들끼리 기뻐하고 축하해주고, 고생했다면서 눈시울이 붉어지기까지 했다고 한다.[15] 온유는 외동이고, 종현은 누나가 있고, 민호태민은 형이 있다.[16] 원래 키와 똑같이 육군 군악대로 입대하였으나 우울장애, 공황장애로 사회복무요원으로 전환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