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3:31:11

HL7644

파일:hl7644-korean-air.jpg
2023년 1월 10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중인 모습
파일:대한항공 B747-8B5 HL7644.jpg
2018년 2월 24일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택싱중인 모습

1. 개요2. 역사3. 기타4. 관련문서

1. 개요

HL7644[1]
세부기종 Boeing 747-8B5
제작일자 2017년 6월 23일
등록일자 2017년 7월 31일
기령 6.9년[2]
시리얼넘버 60411/1539

대한항공이 보유 중인 보잉 747-8i로, 일련번호는 60411이며, 라인번호는 1539이다.[3]

그리고, 이 기체는 대한항공의 마지막 747이자 전 세계의 747 여객형 중에 제일 마지막으로 생산된 기체다. 즉, 최초로 생산된 747 여객형인 N747PA와 정반대 위치에 있는 기체다.

2. 역사

파일:HL7644PAE.jpg
조립이 완료된 후 페인 필드에서 테스트 중인 모습.
파일:n5514j-korean-air.jpg
2017년 6월 27일 첫 비행을 마치고 착륙하는 모습.

2017년 6월 27일에 첫 비행을 했고, 동년 8월 1일에 대한항공에 인도되었다. 이 기체를 끝으로 대한항공의 44년[4]에 달하는 747 도입이 끝났으며 동시에 보잉 747의 여객형은 단종되어 화물기 형식인 8F만 생산되었고, 잔여 주문량이 모두 출고된 2022년에 최종적으로 완전히 단종되었다.

대한항공에서 도입한 88번째이자 마지막 747 항공기이다.[5]

한때 항공기 동호인들 사이에서 2021년 11월부터 임무를 시작하는 차기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가 HL7644가 될까봐 여러 말이 오갔었는데 다행히 HL7643이 임차되는 것이 확정되고 개조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걱정을 한시름 놓을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3월 7일부터 잠시 운항을 중지하고 인천국제공항에 잠들어 있었으나, 2022년 8월 24일부터 인천 - 광저우 노선으로 운항을 재개했다. 2023년부터는 다시 장거리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

만약에 대한항공에서 이 항공기를 계속 관리한다면 정석비행장에 잠든 대선배 HL7463 옆에 보관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둘은 각각 대한항공의 첫 747과 마지막 747이기 때문이다. 굳이 정석비행장에 들어가지 못하더라도 최후의 여객형 747이니 다른 곳에 전시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러나 보잉 747 양산 1호기인 N747PA가 남양주시 호평동에 보존되었다가 2010년에 고철로 해체되면서 국제적으로 논란이 된 선례가 있는 만큼 가차없이 스크랩당할 확률도 적잖게 있다. 항공기 보존은 적잖은 금액이 들고, 결국 항공기를 어떻게 처리할지는 당사 마음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에서 첫 양산 1호기인 N747PA를 스크랩한 사실에 상당히 큰 충격을 받았던 해외 항덕 커뮤니티들은 이미 반 포기한 입장으로, 대신 정말 최후의 747인 N863GT이나 747의 퇴역일자가 계획으로는 가장 늦어 마지막 상업운행을 할 가능성이 높은 루프트한자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보존에 성공할 경우 과거의 흑역사를 일부나마 청산하고 보잉 747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했듯이 대한항공융비호 같은 역사적인 기체들을 보존한 사례[6]도 있고, 보잉사 입장에서도 마침 보잉 747 1호기인 N7470이 자사의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고. 747의 처음을 상징하는 유산 옆에 마지막을 상징하는 이 기체를 놓는 것도 좋은 명분이 될 수 있기에 보잉이 융비호의 사례처럼 이 기체를 사들일 가능성도 있다.

한편 대한항공이 미 공군의 E-4 대체 사업을 위해 747-8i 5대를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에 매각할 예정인데, 항공기 동호인들은 이 기체가 그 5대에 포함될까봐 노심초사하는 중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로 쓰이고 있는 HL7643의 유사시 예비기로 쓸 수 있게 대한항공에서 계속 보유할 거라는 의견도 나오는 등[7], 현재로선 이 기체의 향후 행방이 불확실한 상황이다.

3. 기타

  • 홍콩항공기 다이캐스트 모형 제조 업체 피닉스에서 2018년 초에 HL7644의 1:400 스케일을 발매했다. 현재는 단종되어서 시세가 크게 오른 상태이다.

4. 관련문서



[1] 테스트 비행 당시 등록번호는 N5514J.[2] 2024년 5월 기준[3] 즉, 1539번째로 생산된 B747 항공기다.[4] 융비호가 인도된 날짜는 1973년 5월 2일이다.[5] 전세대 747 및 화물기 포함. 순수 전세대 여객기만 봤을때는 60번째 747 여객기이고, 747-8 여객기만 봤을때는 10번째이자 마지막 747-8이다.[6] 두번째 도입 에어버스기도 정석비행장에 보관하여 정태보존한 선례가 있다. N747PA과는 달리 스카이팀이 생기기도 전에 퇴역한 매우 오래된 기체임에도 스카이팀 도색까지 해가며 잘 보존중인 듯 하다.[7] 대통령 전용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한항공의 동일 기종이 성남공항으로 이동해 대체기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