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9:30:27

FC 아크론 톨리야티


파일:816141.pn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파일:Dinamo_logo_PNG.png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파일:FC 힘키 로고.svg
파일:1st_League_Logo_2022.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풋볼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조지아 국기.svg 에로브눌리리가파일:몰도바 국기.svg 슈퍼 리가 몰도바 |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1]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수페르 리가 |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단결 연합 리그[2]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1] 공식적인 1부리그로 인정받지 못한 리그[2] 공식적인 1부리그로 인정받지 못한 리그
}}}}}}}}}}}}}}} ||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FC 아크론 톨리야티
FC Akron Tolyatti[1]
<colbgcolor=#f00><colcolor=#fff> 정식 명칭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Акрон“» Тольятти
(Football Club Akron Tolyatti)
창단 2018년
소속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Russian Premier League))
연고지 사마라 주 톨리야티 (Tolyatti)
홈구장 크리스탈 스타디움 (Kristall Stadium)[2]
(3,065명 수용) (임시)
메탈루르크 스타디움 (Metallurg Stadium)
(33,001명) (임시)
소유주 GC 아크론 홀딩
감독 자우르 테데예프
공식 웹사이트 파일:FC_Akron_logo_1_2023.pn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러시아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1회)
2019-20(우랄-볼가)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
최고 이적료 방출 -

1. 개요2. 경기장3. 선수 명단4. 역대 감독

1. 개요

러시아의 축구 구단. 현재는 2부리그인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에서 뛰고 있다.

2020년 10월 18일, 브라질에서 마르크스 레닌이라는 이름을 가진 축구 선수를 영입하며 러시아 축구계에 화제를 몰고왔다. 이에 러시아 축구팬들은 왼쪽 윙어로 트로츠키를 영입해야 한다. 마르크스 X 레닌 X 톨리야티[3] = 축구계의 혁명이다. 만국의 축구선수들이여 단결하라 등의 드립을 쏟아냈다.

23-24시즌 리그를 3위로 마치고, 우랄 예카테린부르크를 승강 플레이오프 합계스코어에서 3대2로 꺾으며 창단 6년만에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성공한다.

2. 경기장

현재 토르페도 스타디움의 노후화로 인한 재건축으로 인해, 인근 도시 지굴룝스크에 있는 조그만 경기장인 크리스탈 스타디움을 임시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1만석에서 1만2천석 정도의 규모로 계획중이고, 톨리야티 시로부터 경기장을 49년동안 양도받을 계획이라고 한다.

지굴룝스크에 위치한 크리스탈 스타디움의 수용 인원 문제로 인해,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 있는 기간 동안은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의 옛 경기장인 메탈루르크 스타디움을 사용한다.

3. 선수 명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러시아 키릴문자 성명 비고
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볼코프 Sergey Volkov Сергей Волков
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자말딘 호자니야조프 Dzhamaldin Khodzhaniyazov Джамалдин Ходжаниязов
6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마카로프 Sergey Makarov Сергей Макаров
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페세고프 Yevgeniy Pesegov Евгений Песегов
9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키타 글루시코프 Nikita Glushkov Никита Глушков
10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팔리옌코 Maksim Paliyenko Максим Палиенко
11 FW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안드레스 폰세 Andres Ponce Андрес Понсе
13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비트 후바예프 David Khubayev Давид Хубаев
14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라트 보코예프 Marat Bokoyev Марат Бокоев
15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고르 다닐킨 Yegor Danilkin Егор Данилкин
18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톤 킬린 Anton Kilin Антон Килин 주장
19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비트 상가레 David Sangare Дэвид Сангере [2]
20 DF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보얀 디모스키 Bojan Dimoski Боян Димоски
21 MF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투르 갈로얀 Artur Galoyan Артур Галоян
22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슬라프 갈킨 Vladislav Galkin Владислав Галкин [3]
23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키릴 다닐린 Kirill Danilin Кирилл Данилин
24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르툠 포고소프 Artyom Pogosov Артём Погосов [4]
26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네마냐 안젤코비치 Nemanja Andjelkovic Неманья Анджелкович
2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반 추딘 Ivan Chudin Иван Чудин
35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시초프 Vitaliy Sychyov Виталий Сычёв
50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나가예프 Dmitriy Nagayev Дмитрий Нагаев
52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바딤 코뉴호프 Vadim Konyukhov Вадим Конюхов [5]
58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카르 페스토프 Makar Pestov Макар Пестов [6]
70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부사이트 엘다루셰프 Abu-Said Eldarushev Абу-Саид Эльдарушев
7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콘스탄틴 사비체프 Konstantin Savichev Константин Савичев
91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볼디레프 Maksim Boldyrev Максим Болдырев
<colbgcolor=#000> 구단 정보
감독: 자우르 테데예프 / 홈 구장: 크리스탈 스타디움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8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FC 로디나 모스크바에서 임대[3] F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임대[4] FC 우파에서 임대[5] PFC CSKA 모스크바에서 임대[6] PFC CSKA 모스크바 II에서 임대

}}} ||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f00,#b69c6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2018년 ~ 현재
1대
예멜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대(대행)
고두노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3대
저펄러우
파일:몰도바 국기.svg
4대
트리불리에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5대(대행)
예멜리야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대
파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7대
칼레신
파일:러시아 국기.svg
8대
테데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

[1] 어원 때문에 Togliatti라 적는 곳도 있다. 톨리야티 항목 참조.[2] 지굴룝스크에 위치[3] 이탈리아 공산당의 서기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