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9:35:28

Distorted Fate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곡 정보2. Phigros
2.1. 해금 조건2.2. 채보
2.2.1. EZ2.2.2. HD2.2.3. IN2.2.4. AT
3. OverRapid
3.1. 정보3.2. 채보
3.2.1. 4KEY3.2.2. 6KEY
4. Paradigm: Reboot
4.1. 채보
4.1.1. MASSIVE
5. Rotaeno6. Arcaea
6.1. 채보
6.1.1. Past6.1.2. Present6.1.3. Future6.1.4. Eternal

1. 곡 정보

"O Fortuna velut luna statu variabilis..."
"오, 포르투나여. 그대는 과도 같이 변하는구나..."[1]
리듬 게임 Phigros의 수록곡. 작곡가는 Sakuzyo. 챕터 8 공개 후 존재가 알려진 마지막 6번째 곡이다. 전 챕터 보스곡과 합쳐서 Arcaea의 보스곡 라인업과 유사해 Arcana Eden이랑 엮는 경우도 있다. [2]

챕터 8의 최종 보스곡이라는 상징성, 그에 걸맞는 화려한 해금 연출, 예상치 못한 Sakuzyo의 참전 등의 요소로 많은 유저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이를 증명하듯 Pigeon Games 5th Anniversary 곡 인기투표에서 적중률 100%로 당당히 1위를 차지하였다. [3]

2. Phigros

파일:Phigros.png
Phigros16레벨 수록곡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6.8
파일:Phigros/Rrhar'il.png
Rrhar'il
16.7
파일:Phigros/Igallta.png 파일:Distorted_Fate.jpg
IgalltaDistorted Fate
16.6
파일:Phigros/DESTRUCTION3,2,1.png
DESTRUCTION 3,2,1
16.5
파일:Phigros/+ERABY+E CONNEC+10N.png 파일:Phigros/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webp
+ERABY+E CONNEC+10N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
16.4
파일:Phigros/Stasis.png 파일:Phigros/Re:End of a Dream.png
StasisRe:End of a Dream
16.3
파일:Phigros/Spasmodic.png 파일:Phigros/INFiNiTE ENERZY -Overdoze-.png 파일:Phigros/PRAGMATISM_RESURRECTION.png
SpasmodicINFiNiTE ENERZY -Overdoze-PRAGMATISM -RESURRECTION-
16.2
파일:Phigros/Lyrith.png 파일:Phigros/volcanic.png 파일:Phigros/Indelible Scar.png
Lyrith -迷宮リリス-volcanic Indelible Scar
16.1
파일:Phigros/狂喜蘭舞.png
狂喜蘭舞
}}}}}}||

파일:phigros_chapter8_unlocked2.png Chapter 8 Transit Tide
6곡 수록
Crave Wave The Chariot ~REVIIVAL~ Luminescence
Retribution DESTRUCTION 3\ Distorted Fate

Distorted Fate
파일:Distorted_Fate.jpg
<colbgcolor=#0BC3FF><colcolor=#fff> 작곡가 Sakuzyo
BPM 200
채보 제작 [EZ] De Fiance[4]
[HD] Doubt Ful[5]
[IN] Divination Fortune[6]
[AT] unDefined Future[7]
일러스트 knife美工刀
<rowcolor=#fff> 난이도 EZ HD IN AT
레벨 7 12 15 16
세부난이도 7.5 12.9 15.9 16.7
노트 수 594 970 1449 1283
특이사항 Chapter VIII 보스곡
AT 난이도가 존재하는 곡
Phigros 준보스곡 2
IN 난이도의 노트수가 AT 난이도의 노트수보다 많은 곡

2.1. 해금 조건

  • 해금 과정 영상

1. DESTRUCTION 3,2,1을 해금한 상태에서 Luminescence를 원하는 난이도로 해금 및 플레이한다.[8] 이후 플레이하는 모든 곡들은 동일한 난이도로 진행된다.

2. 564콤보[IN] 이후에서 화면이 잠깐 어두워지는 구간이 있는데, 화면이 다시 밝아지는 구간까지 모든 노트를 Good 판정 이상으로 처리하며 842콤보[IN] 이전까지 78만점을 넘겨야 한다.

3. 이후에 배경에 추가 연출[11]이 등장하면 성공이며, 곡 종료 이후 연출과 함께 강제로 동일한 난이도의 Retribution을 플레이하게 된다. 실패 시 그냥 클리어 처리된다.
DESTRUCTION 3,2,1 때와는 다르게 곡 초반부부터 배경에 게이지가 나타나는데, 이 게이지를 모두 닳지 않도록 유지한다.[12] 게이지가 파란색으로 변하고 클리어 시 성공이며, 실패 시 곡 종료 후 선곡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 때, Retribution의 플레이 기록은 남지 않는다.

4. 성공했다면 연출 이후 자동으로 동일 난이도의 Distorted Fate를 플레이하게 된다. 클리어 이후 추가 연출이 등장하며 엔딩 크레딧[13]이 올라오고 초기 실행 화면[14]이 등장한다. 이후 Distorted Fate가 해금된다.
  • 1번 과정에서 Luminescence 플레이 시 선택한 난이도 및 그 이하 난이도만 해금되며 IN 난이도 해금 이후 AT 난이도는 기존처럼 IN 난이도 S랭크 이상을 달성하면 해금된다.

2.2. 채보

2.2.1. EZ

2.2.2. HD

2.2.3. IN


Phi 영상.

IN은 15.9 중에서는 가장 쉽다는 평을 받고[15] 15.8 정도로 취급받아 다른 분기점의 IN보다 쉽다. 15.9에서 쉽다는 거지 다른 15레벨들이랑 비교하면 15렙 중에서는 최상위권이 맞다. 최후살에 24비트 트릴이 파이 방지구간이니 조심하자.

2.2.4. AT


Phi 영상. 플레이어는 エナメル巻きで食べるサラダ.

첫 시작은 단순 2동타, 홀드 노트로 노래를 시작하며 예열을 하다가 갑자기 하단의 판정선이 사라지며 2, 3개의 단타 노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형태의 패턴[16]이 등장하는데, 3동타의 경우 노트에 할당된 판정선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노트의 방향을 잘 보고 처리해야 한다.

초중반에는 단타 노트+홀드 노트 조합으로 승부를 본다. 첫 번째 파트는 단순 홀드 노트 하나에 단타 노트 2연타 조합으로 초견에도 잘 넘겨짚을 수 있는 수준의 파트이다. 그러나 문제는 두 번째 파트부터. 홀드 노트 하나에 단타 노트 4연타 조합이 나오는데, 두 손가락만으로도 가능한 첫 파트와는 달리 단타노트끼리 간격이 있어서[17] 이 구간부터는 사실상 세 손가락이 강제된다. 이후 비슷한 루틴이 한번 더 반복되는데, 전보다 조금 더 빨라진 음악을 따라 아까와는 사뭇 다른 패턴이 등장하며 손가락을 유기적으로 움직이도록 요구한다. 이후에 짧게 등장하는 16비트 단타 노트 계단+플릭 노트 조합도 꽤 까다로운 구간이니 주의.

중반부터 3키 폭타 진입 전까지는 쉬는 구간으로, 동레벨대의 악곡들에 비해선 적은 연습으로도 힘들이지 않고 무난히 넘길 수 있으나, 3키로 내려오는 기습 단타+홀드 노트 > 3키 3연타 복합패턴, 16비트 나선형 계단 패턴[18]은 잘못 치는 순간 그대로 배드말림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이 역시 연습이 필요하다.

이 채보의 하이라이트는 화면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떨어지는 3키 폭타이다. 진입 직전에 Crave Wave -> The Chariot ~REVIIVAL~ -> Luminescence -> Retribution -> DESTRUCTION 3,2,1 순서대로 IN 난이도의 노트가 지나가는 연출이 있는데, 바로 다음 순간[19] 화면의 우측부터 시작해서 단타+홀드 노트 조합으로 3키 폭타가 우수수 떨어진다. 세로가 아닌 가로 화면으로 노트가 떨어지는 특성상 가독성 또한 매우 좋지 않은데 한 구간이 끝나는 그 순간 바로 반대편으로 폭타가 떨어지기 때문에 대비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초견에 매우 당황하기가 쉽다.

이 패턴의 대표적인 대처법으로는 폭타가 시작되는 순간 노트가 떨어지는 방향을 통해 기기를 돌리는 방법이 있는데, 전술하였듯이 한 폭타의 마지막 노트를 처리하자마자 바로 반대쪽 화면으로 노트가 떨어지므로 많은 연습을 통해 이러한 처리 방법에 익숙해져야 한다. 직후에 등장하는 짧은 탭+드래그 노트 복합 패턴 이후 이 패턴은 한번 더 등장하는데, 처음 등장한 패턴과 양상은 똑같지만 홀드 노트 배치가 약간 다르게 등장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꼬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20] 3키 폭타 이후 간단한 2동타 홀드 노트 + 단타 패턴으로 매듭을 지은 후 Rrhar'il의 2동 축연타 패턴 돌입 직전의 패턴을 오마주한듯한 4동 홀드 노트가 등장하며 노래는 후반부로 접어든다.

후반부 부터는 노래가 곧 끝나감을 알리듯이 노트들이 쉴새없이 몰아치는데, 시작부터 홀드 노트 + 2동타 롱잡으로 압박하며 홀드 노트는 홀드 노트대로, 동타는 동타대로 다른 방식으로 떨어지며 플레이어를 괴롭힌다. 거기에 모자라 홀드 노트와 2동타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이 역시도 가독성이 심히 훼손되어 초견에 받아치기 매우 힘든 구간이다.[21] 계속해서 떨어지는 이 패턴은 중간마다 일부 변형되어 등장하며, 나오는 족족 실수할 경우 배드말림이 터지기 십상이므로 손가락을 적절한 타이밍에 칠 수 있어야 한다. 이후 12비트 박자에 맞춰서 떨어지는 3/2동타 탭 노트 + 플릭 노트 패턴은 노트들이 난잡하게 흐트러져 있어서 제대로 친 것 같아도 조금씩 미스가 날 수 있으니 주의.

바로 직후 롱잡과 함께 빠른 속도로 노트들이 떨어지며 최후반부가 진행되는데, 따닥이와 홀드 노트가 겹쳐서 나오는 경우 손가락에 힘을 제대로 주지 않으면 처리하기가 굉장히 힘들기 때문에 높은 지력이 요구되며, 200BPM 24비트의 속도와 함께 탭 노트가 부등호+계단+트릴 복합으로 쏟아지며 보면상수 16.7에 걸맞는 난이도를 보여주면서 노래는 마무리를 짓는다.

이렇듯 곡 전체에 걸쳐서 악랄한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전 챕터 보스곡인 Rrhar'il보다는 약간 쉽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같은 16.7 상수 악곡인 Igallta와의 난이도 우열에서는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어느정도는 Igallta가 조금 더 우세하다고 평가된다. 일부 쉬어가는 구간이 있으며, 3키 폭타 구간 등 익숙해지면 잘은 넘길 수 있는 패턴이 있어 트리키한 면이 조금 더 돋보이는 Distorted Fate에 비해 Igallta는 처음부터 끝까지 쉬는구간 없이 230이라는 BPM으로 노트를 쏟아부으며 지력을 한계까지 끌어올리는 패턴이기 때문. 스코어링 난이도 또한 총 노트 수가 더 많은 Distorted Fate 쪽이 약간 더 쉬운 편이다. 다만 노트가 새기 쉬운 구간이 의외로 많기 때문에 풀 콤보 및 Phi 난이도는 Igallta에 절대 뒤쳐지지 않는다.

3. OverRapid

3.1. 정보

Distorted Fate
작곡 Sakuzyo
BPM 150-200
플레이 타임 2:42
해금 조건 Phigros Pack 2
난이도 체계
난이도 명 ELEMENTARY EXPERT ADVANCED PROFESSIONAL
4KEY 레벨 7 13 - 16
노트 수 701 1039 - 1683
6KEY 레벨 5 12 15 20
노트 수 721 1049 1230 2900

현재 오버래피드에 존재하는 20레벨들 중 가장 많은 노트 수를 보유하고 있다.[22]

3.2. 채보

3.2.1. 4KEY


PROFESSIONAL 난이도 플레이 영상

3.2.2. 6KEY


PROFESSIONAL Auto 영상


PROFESSIONAL MAXX 영상. 플레이어는 INF.

4. Paradigm: Reboot

파일:Paradigm: Reboot/Destructing Edge_P.png
Destructing Edge
5곡 수록
Luminescence Retribution DESTRUCTION 3,2,1
#Paradigm: Reboot Rrhar'il

<colbgcolor=#282336> Distorted Fate
파일:Paradigm: Reboot/Distorted Fate.webp
<colcolor=#fff> 장르 FREEFORM
작곡 Sakuzyo
삽화 Knife美工刀
BPM 150
난이도 DETECTED INVADED MASSIVE
레벨 6 13 16
노트 수 922 1216 1715
채보 제작 [DET] [IVD] [MSV] Alter-X as "再瞬。"
특이사항
<colbgcolor=#282336> 해금 방법
[DET] Destructing Edge 팩 구매
[IVD]
[MSV] Destructing Edge 팩 구매
IVD 난이도에서 AAA 이상의 등급 달성 OR 데이터 입자 15000개 소비

4.1. 채보

4.1.1. MASSIVE


ALL DECRYPTED 영상. 플레이어는 窩不知道.

5. Rotaeno

6. Arcaea

[include(틀:Arcaea/채보/대립/Eternal,
곡명=Distorted Fate, 작곡링크=削除, 작곡표기=Sakuzyo, BPM=150,
FTR제작=Toaster, ETR제작=TOASTER DATA PATCHER,
PST레벨=4, PRS레벨=7+, FTR레벨=9, ETR레벨=10+,
PST세부레벨=4.5, PRS세부레벨=7.8, FTR세부레벨=9.6, ETR세부레벨=10.9,
PST노트=756, PRS노트=890, FTR노트=1172, ETR노트=1402,
배경=Black Fate, 확장자=jpg, 특이사항=Eternal 난이도 존재<br>Phigros 콜라보 곡,)]
🔓 해금 조건
Past 통상 해금
Present 통상 해금
Future 통상 해금
Eternal 321 조각
10+레벨 악곡 1곡 클리어 또는 10레벨 악곡 10곡 클리어[23]
파일:MemoryArchive2.png.webp Memory Archive
99곡 수록
{{{#!folding 2017~2019 DataErr0r CROSS†SOUL Your voice so...
feat. Such
Impure Bird Auxesia Modelista
Surrender[S] Yosakura Fubuki[S] Metallic Punisher
carmine:scythe γuarδina Be There
Call My Name
feat. Yukacco
dropdead[B] Fallensquare
Alexandrite Astral Tale Phantasia
Empire of Winter Libertas[B] Dot to Dot feat. shully
Dreadnought Mirzam Heavenly caress
Filament Avant Raze
}}} ||
{{{#!folding 2020~2022 BATTLE NO.1 La'qryma of the Wasteland[B] Einherjar Joker[B]
IZANA SAIKYO STRONGER amygdata
Altale Feels So Right feat. Renko Scarlet Cage
Teriqma[B] MAHOROBA BADTEK
Malicious Mischance BUCHiGiRE Berserker Galaxy Friends
Xeraphinite Xanatos AttraqtiA
GIMME DA BLOOD Can I Friend You on Bassbook? lol THE ULTIMACY
REKKA RESONANCE Sheriruth
(Laur Remix)
Evening In Scarlet
goldenslaughterer lastendconductor[B] Redolent Shape
Summer Fireworks of Love init() NEO WINGS
Kissing Lucifer Macrocosmic Modulation INTERNET OVERDOSE
Aurgelmir Head BONK ache PICO-Pico-Translation!
μ PUPA Free Myself
cocoro*cosmetic Capella
}}} ||
{{{#!folding 2023~ NULL APOPHENIA Crimson Throne Manic Jeer
Hiiro Gekka, Kyoushou no Zetsu
(nayuta 2017 ver.)
PRIMITIVE LIGHTS The Survivor (Game Edit)
New York Back Raise To the Milky Way Lost in the Abyss
Galactic Love INTERNET YAMERO SACRIFICE feat. ayame
To the Furthest Dream B.B.K.K.B.K.K. Wish Upon a Snow
Kanbu de Tomatte Sugu Tokeru LIVHT MY WΔY Luna Rossa
Innocence KYOREN ROMANCE Masquerade Legion
IONOSTREAM Qovat MIRINAE
ultradiaxon-N3 Floating World Chromafill
Désive #Arcaea Twilight Concerto
Back to Basics Beautiful Dreamer
}}} ||
[B]: Beyond 채보 존재
[S]: v2.4.2 업데이트로 STELLIGHTS 팩에서 통합
붉은 배경: Nintendo SwitchTM판 미수록곡


이터널 난이도의 해금 비용은 Phigros에서 절차상 이 곡 이전에 해금되는 또 다른 보스곡의 제목을 오마주한 것이다. 동 난이도의 채보 제작 이름 또한 해금 연출을 오마주한 것.

6.1. 채보

6.1.1. Past

6.1.2. Present

6.1.3. Future

6.1.4. Eternal


차트 뷰 영상.


ETR 난이도 PURE MEMORY (MAX) 영상. 플레이어는 Rein.

초중반의 스카이 노트 에임과 최후반부 왕복 아크 + 단노트 복합 패턴을 주의해야 하는 채보. 또한 채보 전반에 연타가 다수 존재하여 체력적으로 부담이 심하다.
개인차가 있으나, 10.9 중에서는 쉬운 편으로 평가받는다. 10.8 정도로 평가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

다른 난이도와 다르게 도입부의 트레이스, 중간부터 나타나는 스카이 노트 등 원작의 연출을 재현해 둔 것을 볼 수 있다.
[1] 독일의 작곡가 카를 오르프가 작곡한 칸타타 카르미나 부라나의 제 1곡 O Fortuna(오 운명의 여신이여)의 첫 구절이다.[2] 이후 2024년 4월 26일 PRAGMATISM -RESURRECTION-의 작곡가인 Laur가 등장하여 진짜 Arcana Eden의 작곡가들이 각각 챕터에서 보스곡을 해먹게 되었다. 다만 실용주의는 콜라보곡이기 때문에 보스곡치고는 조금 쉽게 나왔다.[3] 바로 전 보스곡인 DESTRUCTION 3,2,1은 2위를 차지하였으며, 1위와 무려 18000표 차이로 뒤쳐졌다.[4] 실제 채보 제작자는 Clutter.[5] 실제 채보 제작자는 Barbarianerman.[6] 실제 채보 제작자는 XMT小咩兔.[7] JKy, NerSAN, Rikko, _鉄, 百九十八, 晨의 합작 채보.[8] 최초 해금 여부는 상관없다.[IN] IN난이도 기준[IN] [11] 화려하게 빛이 쏟아지면서 파티클이 통통 튀는 이펙트가 나온다.[12] 노트를 처리하면 게이지가 조금씩 차오르는 방식은 동일하지만 아예 게이지 소모를 의도한 DESTRUCTION 3,2,1과는 다르게 제대로 처리만 한다면 충분히 게이지를 올릴 수 있게 게이지 소모 속도가 조정되어 있다. 다만, 중간에 잠깐 쉬어가는 구간이 있는데 이 때도 게이지가 계속 닳기 때문에 해당 구간 진입 전에 미리 게이지를 어느정도 채워놓아야 한다.[13] 이 엔딩 크레딧은 10초 후에 화면을 꾹 눌러서 스킵할 수 있다.[14] 해금 이후 실행 화면이 새 것으로 바뀌며, 이는 영구적으로 유지된다.[15] 개인차에 따라 Fractured Angel보다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16] 마지막 하나는 4동타로 나타난다.[17] 일부 구간은 단타 노트끼리 겹쳐있어서 이론상 두 손가락만으로도 가능은 하나, 지력이 따라가지 못할경우 이 역시도 힘들다.[18] 이 패턴은 중간중간마다 노트끼리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졌다가 하기 때문에 미세한 손가락 간격 유지를 일부 요구한다.[19] 이 사이에 화면 중앙으로 드래그 노트가 모이는 연출이 있는데, 이를 무시하고 넘어갈 경우 콤보가 끊기게 되므로 주의할 것.[20] 우측 화면으로 떨어지는 노트 기준으로 왼쪽 키가 1, 중앙 키가 2, 오른쪽 키가 3이라 가정하면 첫번째 패턴은 홀드 노트 배치가 1231231, 두번째 패턴은 1232123이다.[21] 다행인 점은 Phigros 시스템 상 노트를 처리할 수 있는 인식범위가 상하로는 거의 무제한에 가깝기 때문에 위로 떨어지는 홀드 노트를 아래 화면에서 처리가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면 그나마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22] 오버래피드의 보스곡 중 하나라고 불리고 있는 Thanatos나, 오리지널 곡들 중에서 보스곡으로 인정되었던 Show me your Rage의 노트 수는 각각 1925, 1855개.[23] PRIMITIVE LIGHTS와 마찬가지로 EASY 게이지 클리어는 인정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