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7:06:32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2

여신전생 기타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마신전생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마신전생 마신전생 2 SPIRAL NEMESIS RONDE -윤무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아바탈 튜너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데빌 서바이버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데빌 서바이버 / 오버클록 데빌 서바이버 2 / 브레이크 레코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라스트 바이블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라스트 바이블 라스트 바이블 2 라스트 바이블 3 어나더 바이블 라스트 바이블 스페셜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2 시작의 복음
여신전생 외전
신약 라스트 바이블 3 몽환의 영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데빌 칠드런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흑의 서·적의 서 백의 서 빛의 서·어둠의 서 퍼즐DE 콜! 염의 서·빙의 서 메시아 라이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위전 여신전생 도쿄 묵시록 진 여신전생 트레이딩 카드
카드 서머너
환영이문록#FE
}}}}}}}}} ||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2
DIGITAL DEVIL SAGA アバタール・チューナー 2
Shin Megami Tensei: Digital Devil Saga 2
파일: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2.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ATLUS
유통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ATLUS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SNH
파일:미국 국기.svg ATLUS USA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Ghostlight
플랫폼 PlayStation 2
장르 RPG
출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5년 1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5년 9월 30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10월 3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7년 2월 16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
해외 등급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PEGI 16.svg PEGI 16

1. 개요2. 시스템
2.1. 기타 1편에서의 변경점2.2. 카르마 링
3. 줄거리4. 등장인물5. 설정6. 평가

[clearfix]

1. 개요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의 속편. 제작진은 1편과 동일하나 디렉터가 키타노 마코토로 바뀌었다.[1]

2. 시스템

1편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나찰 모드라는 신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파티원들이 악마로 변신하는 인간이라는 점에서 착안해 일부만 악마화시켜 싸우는 것으로[2] 솔라 노이즈가 7/8이면 낮은 확률로, MAX면 높은 확률로 발생한다. 나찰 모드에서는 평타, 물리 스킬, 헌트 스킬이 만능 속성 취급되어 위력과 크리티컬률이 크게 상승하는 대신, 방어력과 명중률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마법을 전혀 쓸 수 없다. 나찰 모드에서는 경험치를 2배 이상으로 얻으며, 일단은 인간 모습이기 때문에 하마 계열 무효가 추가로 붙는다. 또한 도주가 반드시 성공한다.

만트라 취득도 전작의 일반적인 스킬트리 형태에서 육각형 모양의 "만트라 헥사 드라이브"로 바뀌었다. 마스터한 만트라와 인접한 곳에 있는 만트라를 취득할수 있어서 원한다면 중간에 다른 계열의 만트라로 빠질수도 있다. 몇몇 보라색 빛이 나는 만트라는 그 만트라를 감싸고 있는 6개의 만트라를 멤버 전원이 나눠서 모두 마스터하면 해금된다. 이 만트라들은 "비언"계열이지만 몇몇은 패러미터 상승 효과를 가진 것도 있다.

2.1. 기타 1편에서의 변경점

  • 전작에선 솔라 노이즈에 따라 환금 아이템의 가격이 변동되었지만, 본작에선 해당 시스템이 없어졌다.
  • 솔라 노이즈가 높을수록 주는 데미지가 상승한다. 보스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 카쟈/운다가 최대 3중첩까지만 들어간다.
  • 전작에선 만능 물리 스킬에 크리티컬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본작에선 나찰 모드의 존재 때문인지 크리티컬이 발생한다. 또한 카운터도 발동하도록 바뀌었다.
  • 총격으로 공격할 때 약점과 크리티컬이 동시에 발동 가능해졌다.
  • 즉사계 헌트의 성공률이 감소하여, 대상 악마가 겁을 먹은 상태여도 100% 성공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 광역 대상 헌트가 "파워 차지"효과를 받지 않게 바뀌었고, 대상 악마가 겁을 먹은 상태여도 데미지 보정을 받기 않게 되었다.
  • 수면을 제외한 각종 상태이상에 걸려있을때 각 상태이상별로 불이익을 받게 된다.[3] 수면 상태일땐 HP와 MP가 회복되도록 바뀌었다.
  • 몇몇 링케이지의 조합 조건이 넓어지고[4] 신규 링케이지 스킬도 추가되었다.

2.2. 카르마 링

2편에서 추가된 장비개념. 장비하면 능력치가 상승하고 몇몇 링은 다른 어떤 효과를 받게 된다. 물론 링 자체에도 효과는 있지만 여기에 보석을 달아서 추가로 강화를 할수도 있다.

카르마 링 리스트
|| 이름 || 능력치 상승 || 추가 효과 || 비고 ||
파워 링 힘+3
바이탈 링 체+3
매직 링 마+3
퀵 링 속+3
럭 링 운+3
리치 링 운+1 돈 입수량 25% 증가
트릭 링 속+1, 운+1 착용자에게 스쿠카쟈, 타룬다 2단계가 적용된채 전투 시작
팬텀 링 마+1, 속+1 인간 상태에서 회피율 증가
데몬 링 힘+1, 마+1 저주 상태에서 통상 공격의 위력 대폭 증가
레이지 링 힘+2 착용자에게 타루카쟈, 라쿤다 2단계가 적용된채 전투 시작
프로텍트 링 체+2 인간 상태에서 데미지 경감
하이파워 링 힘+6
하이바이탈 링 체+6
하이매직 링 마+6
하이퀵 링 속+6
하이럭 링 운+6
갬블 링 힘+1, 운+1 공격시 데미지 편차가 커진다
스타멘 링 마+1, 운+1 먼저 행동할수록 공격력 상승, 이후로 저하됨
체인지 링 운+2 변신을 할때 턴 소비를 하지 않게 된다
캘러미티 링 속+1, 운+1 적의 공격의 대상이 되기 쉬워진다
에텔 링 마+3 받는 회복량 증가
팔로우 링 힘+1, 체+1 공격이 MISS가 된 경우 프레스 턴 소비가 1개로 경감
블록 링 힘+1, 마+1, 운+1 공격이 무효화된 경우 프레스턴 소비가 1개로 경감
듀얼 링 마+2, 속+2 착용자는 2번 연속으로 행동할 수 있다
메가파워 링 힘+9
메가바이탈 링 체+9
메가매직 링 마+9
메가퀵 링 속+9
메가럭 링 운+9
배리어블 링 모든 능력치+1 프레스 턴 아이콘의 수가 랜덤이 된다
스루 링 속+2 행동을 넘길시 턴 소비를 하지 않게 된다 잭 프로스트 퀴즈 100문제 전부 정답 후
직접 전투해서 격파
실드 링 마+1, 운+2 전투 시작시 "물리 브레이크" 자동 발동
싱크로 링 운+1 착용자가 링케이지 스킬에 참가할 경우 프레스 턴 아이콘 소비 1개 감소
프레스 링 - 프레스 턴 아이콘 1개 증가 시바 격파
오라 링 모든 능력치+20 비슈누 격파
어보이드 링 속+3 착용자가 공격을 무효화 하거나 회피한 경우 적의 턴 몰수 세트 격파
마스터 링 - 만능 이외의 모든 속성을 무효화 한다 카르마 링 컴플리트 보상
DDSAT1의 보상으로 주어지는 카르마링과 2회차 특전인 "나찰링"은 대상에서 제외
나찰 링 - 통상 전투가 나찰모드가 된다
전투에 참가하지 않는 캐릭터가 착용해도 효과가 발현된다
2회차 특전
히호 링 체+1 빙결 속성을 무효화한다 DDSAT1 킹 프로스트 격파후 데이터 인계
디바인 링 체+1 파마 속성을 무효화한다 DDSAT1 메타트론 격파후 데이터 인계
스컬 링 체+1, 마+2 주살 속성을 무효화한다 DDSAT1 벨제부브 격파후 데이터 인계
드래곤 링 체+1, 마+1, 속+1 만능 속성에 내성을 가진다 DDSAT1 황룡 격파후 데이터 인계
아마라 링 모든 능력치+10 DDSAT1 인수라 격파후 데이터 인계

3. 줄거리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shin-megami-tensei-digital-devil-saga-2/critic-reviews/?platform|
82
]]


[[https://www.metacritic.com/game/shin-megami-tensei-digital-devil-saga-2/user-reviews/?platform|
4.6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 문서
번 문단을
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진 여신전생 3 녹턴의 치프 디자이너. 아바탈 튜너 시리즈에서도 디렉터와는 별개로 시리즈 전체의 치프 디자이너를 맡았다.[2] 묘사를 보면 힘의 제어가 잘 안돼서 폭주하는 형태 비슷하게 나온다.[3] 혼란 - 무작위로 돈이나 아이템(적 한정)을 뿌림 / 맹독 - 공격력 감소 / 마비 - 방어력 감소 / 마봉 - 마봉 속성(사일런트 하울, 마력도둑)의 피데미지 증가 / 저주 - 약점 판정은 받지 않지만 주살 속성에 약해진다[4] 전작에서 링케이지로 마하라기를 쓰려면 정확하게 아기, 잔이 필요했지만 2에선 해당 속성의 단일 대상이기만 하면 만족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