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6:55:56

Aurora Borealis

파일:DJMAX 로고(블랙).svg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
수록 정보 DJMAX Online (2005)
장르 Drum & Bass
BPM 153
작곡 Electronic Boutique
BGA BBOYAN

1. 개요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DJMAX 온라인에 처음 등장한 이후 DJMAX Trilogy, TAP SONIC, DJMAX RAY 등에 수록되었다. 신비로운 분위기의 드럼 앤 베이스 악곡이다.

OST 음원은 벅스 등 일부 음원 사이트에서 서비스 중인 Project M 앨범에 수록되었으며, MUCA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서도 공개되었다. 그 외에 DJMAX Portable 2의 OST 모드 "Air Trax" 디스크에도 수록되어 있다.

원래는 ECO가 그린 일러스트만 존재했으나 이후 Trilogy에 수록될 때 BGA가 제작되었으며, Trilogy에서 Space of Soul의 BGA를 제작하기도 한 Bboyan이라는 명의의 일러스트레이터가 제작하였다. 황도 12궁에 해당하는 12개의 별자리를 표현한 작품들 중 물병, 전갈, 황소, 물고기, 천칭, 쌍둥이, 염소, 게자리 총 8개가 사용되어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BGA. 이 작품들은 Bboyan의 홈페이지에서도 공개된 바 있다.

인기가 좋아 다양한 시리즈에 이식되었던 곡이나 DJMAX RESPECT & V에는 이모셔널 센스 DLC로도 미등장, 많은 이들이 수록을 바라고 있던 곡이었는데, 2022년 3월 17일 목요일에 시즌5 업데이트와 함께 2주년 기념 무료곡으로 추가되었다.

2. DJMAX 온라인

DJMAX 온라인 곡 번호 183번. 2006년 1월 20일 Super Lovely, Extreme Z4 MX와 함께 업데이트되었다.

MX, SC 패턴은 없었으며, 레벨 정도의 무난한 패턴만 있었다. BGA도 없었고 프리미엄 곡이었기 때문에 게임 내에서 그렇게 자주 플레이되는 곡은 아니었다. 다만 패턴을 작곡가 본인이 직접 짰기 때문에 패턴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3. DJMAX Trilogy

DJMAX Trilogy
모드 NM HD MX SC
4K 4 8 - -
5K 6 9 - -
6K 11 - - 17
7K 7 12 - -
8K 12 - - -


6키 SC 패턴 (Lv.17)

Trilogy에 수록되면서 고난이도의 SC 패턴이 추가되어 인기곡으로 지위가 올라갔다. 6키에서 최고 레벨을 꿰찼으며 DJMAX Trilogy에 있는 모든 패턴들 중 콤보수가 가장 많다. 실제로 풀피버에 성공하면 9500콤보 정도가 뽑힌다. 노피버로 풀콤시 2021콤보. 이 때문에 6키 스테이지 모드 스코어 어택에 꼭 필요한 곡이기도 하다. 프리스타일 콤보작할때 쓰기에는 난이도가 높아서 추천되지 않았다.

4. TAP SONIC

2012년 7월 23일, TAP SONIC에 등장했다. 그것도 오랜만에 6라인 레전드 기준으로 10레벨. Project M 수록곡이었던 만큼 등장 가능성이 높았는데 진짜로 수록되었다.

초반과 중후반 까지는 10레벨답지 않게 너무 쉬운 노트가 등장하지만 최후반에는 두부소닉 뺨치는 멀티 태스킹 노트가 떨어진다. 이 후살성 패턴 덕분에 10레벨 값어치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수록된 지 하루가 지난 후 프로가 레전드보다 어렵다는 유저들의 의견이 속출했다. 이유는 후반부 구간에서, 프로에서 연타가 더 오랜 시간 나오고 난이도도 더 높다는 것. 그러나 초중반부와 최후반은 레전드 쪽이 우세. 따라서 전체적인 패턴을 모두 따졌을 때 아직은 레전드 쪽이 조금 더 어려운 편이다.

그와는 별개로 베이직 패턴은 표기는 6레벨이지만 7레벨 최상위권 수준의 난이도를 보이는 핵지뢰곡이니 S랭크작 시 주의할 것.

5. DJMAX RAY

DJMAX RAY의 Ultraviolet 팩 수록곡
Aurora Borealis Out of CTRL Dark Prism Rolling On the Duck Vampired
DJMAX RAY 난이도 체계
패턴 난이도 비고
NM 6
HD 8
MX 10


탭소닉에서 일부 패턴을 따왔다.

6. TAPSONIC WORLD CHAMPION

TAPSONIC WORLD CHAMPION
<colbgcolor=#484848><rowcolor=#0f0> BASIC <colbgcolor=#565656>
<rowcolor=#f88> PRO
<rowcolor=#f8f> LEGEND

레전드 기준 난이도 9로 나왔으며, 이전 탭소닉보다는 패턴이 많이 너프를 먹어서 나왔다만, 그래도 멀티태스킹이 주를 이루고 있고 DnB 장르 답게 엇박도 심해서 여전히 까다롭다. 9레벨 중에서는 상위권.

7. TAPSONIC TOP

TAPSONIC TOP에도 이식되었다. SESSION 속성 곡으로 등장.

전체적인 패턴은 오리지널 탭소닉에 비해 쉬운 편이지만 후반부의 연타 도배는 여전하다.

8. DJMAX RESPECT & V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일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lone (Marshmello)_1.png 파일:Boom!_1.png 파일:NEON 1989_1.png 파일:Ghost Voices_1.png
RESPECT V
Alone
Boom!
파일:Sad Machine_1.png 파일:Bleed_1.png 파일:Kingdom_1.png 파일:So Happy_1.png
Bleed Kingdom
파일:Get Jinxed_1.png 파일:POPSTARS_1.png 파일:Chemical Slave_1.png 파일:RockSTAR_1.png
파일:Watch Your Step_1.png 파일:혜성_1.png 파일:I want You 반짝반짝_1.png 파일:염라_1.png
혜성 염라
파일:Dance of the Dead_1.png 파일:Grid System_1.png 파일:서울여자_1.png 파일:Relation Again_1.png
서울여자
파일:너로피어오라_1.png 파일:Alone(DJMAX)_1.png 파일:너랑 있으면_1.png 파일:Aurora Borealis_1.png
Alone
파일:Airlock_1.png 파일:Daylight_1.png 파일:OrBiTal_1.png 파일:Angelic Tears_1.png
Airlock Daylight OrBiTal
파일:모차르트 교향곡 40번 1악장_1.png 파일:Mr.Lonely_1.png 파일:Dancin' Planet_1.png 파일:I'M ALIVE_1.png
Mr.Lonely I'M ALIVE
파일:Dark Lightning_1.png 파일:Celestial Tears_1.png 파일:Can We Talk (Broken Dog Leg Mix)_1.png 파일:BlueWhite_1.png
파일:Kamui_임시.jpg
Kamui
총 37곡 수록, ★ : RESPECT V에만 수록
}}}}}}}}} ||
<nopad> 파일:Aurora Borealis_1.png
RESPECT/V
Aurora Borealis
<rowcolor=white> 모드 NM HD MX SC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373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711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1]
1057
-
5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418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784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1123
-
6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7
590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1
995
- 파일:djmaxsc15.png 11
1539
8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43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1106
파일:djmaxsc10.png 9
1290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RESPECT V 출시 2주년 기념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전반적으로 트릴로지 수록 때보다는 조금 쉬운 난이도의 패턴을 보인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6B 13 → 11, 8B 11 → 9)

8.1. 4B TUNES

NM HD
MX

8.2. 5B TUNES

NM HD
MX

8.3. 6B TUNES

NM HD
SC

6B SC의 경우 기틀 자체는 트릴로지의 패턴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으나 초반의 따닥이 연타가 모두 일반 노트로 수정되었으며, 후반의 32비트 한손 트릴 또한 삭제되었다. 나머지 12121-56565 트릴이나 후반 패턴의 경우 트릴로지의 패턴과 거의 동일해, 트릴로지의 패턴에서 까다로웠던 요소를 일부 덜어낸 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 후반의 32비트 트릴은 없어진 것이 그러려니 하더라도 초반 등장하던 연타는 패턴의 개성이었는데 굳이 아예 없앴어야만 했냐며 호불호가 갈리는 편. 다만 곡 자체가 굳이 연타가 어울리는 곡도 아니고, 리스펙트 패턴의 기조인 편한 연주감 측면에서는 이쪽이 훨씬 더 낫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난이도는 상술한 대로 트릴로지 때의 위상에 비해 그닥 어렵지는 않다. 다만 중반부 롱노트 발광 때문에 맥스 콤보 난이도가 꽤나 높은 편이다. 하프 랜덤 및 랜덤 이펙터를 걸었을 때의 난이도 하락 폭이 꽤 큰 편에 속하며, 중반부 롱노트 발광은 어차피 정배로도 꼬여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배치를 바꾸는 이펙터 사용이 권장된다. 13레벨 중위권 정도로 평가받으나 동일한 티어에 있는 Airwave 같이 정직한 폭타 곡보다는 살짝 더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8.4. 8B TUNES

NM MX
SC

8B SC는 초기 얼리 액세스 시절의 인상을 주는 패턴으로, 패턴의 퀄리티가 전반적으로 아쉽다는 평이 많다. 트리거 활용도 자체가 그닥 높은 것도 아닌데 일반 노트는 오히려 6버튼에 비해 상당히 허전해져, SC보다는 MX에 랜덤이나 하프 랜덤 옵션을 건 패턴 같다는 의견이 많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15레벨 하위권 정도. SC 난이도 개편 이후의 난이도는 11이지만 실제 체감 난이도는 10레벨 중위권 정도 되는 물렙이다.

9. 여담

곡 제목 때문에 북미 쪽에서는 Steamed Hams 밈과 많이 엮인다.


[1] RESPECT V 2.0 업데이트에서 14 → 13로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