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7:33:21

A318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A320 패밀리
,
,
,
,
,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2px; color: #315288,#fff"
{{{#!foldin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26px"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 광동체
쌍발기 A220B · A320 패밀리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 A300 · A310 · A330 (neo) · A350 XWB (neo)
4발기 - A340 · A380 (plus)
특수 화물기 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 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 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 유로드론 · 제피르 UAV · VSR700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 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 H125M · H145M · 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EC-665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42-600S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봄바디어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d439c> 에어버스제트 민항기 역사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72 1982 1987 1991 1992 1994 1996 2003 2005 2008 2012 2013 2014 2018 2021 2023
C 시리즈 A220
A320 A320 A318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
A320 A319
A320
A321
A300 A310 A300 A330 A330 A330 A330neo
A300 A300
A330
A340 A350 XWB
A380
}}}}}}}}} ||

A320 패밀리의 형식
{{{#!wiki style="margin: -16px -11px" A318 A319 A320 A32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A320neo 패밀리의 형식
A319neo A320neo A321neo }}}
파일:F-WWIA.jpg
에어버스, A318-121, F-WWIA
A318의 프로토타입

1. 개요2. 제원3. 세부 형식4. 관련 문서

1. 개요

A320 패밀리의 막내로, 현재까지도 동체 길이만 봤을 때 에어버스 기종 중에서 가장 작으며, 동시에 총 80기를 팔아 A320 패밀리 중 가장 실패한 기종.

안 팔린 이유는 크기는 리저널기인데 항공기 분류는 A320급과 같은 중형기로 분류되어 공항이용료 등이 비싸게 책정되면서 전혀 메리트가 없었기 때문이다. A320 패밀리가 다른 협동체기 대비 가진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여객형에도 ULD 운용이 가능하다는 건데, 정작 A318은 이거 못 한다. 즉 A318을 살 바엔 차라리 같은 세금으로 더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는 A320을 고르거나, 더 싼 세금에 동일한 승객 수를 가진 엠브라에르 E-Jet 패밀리를 고르는게 나았다는 것. 때문에 같은 이유로 이보다 약간 큰 A319도 겨우 1,500여대를 파는데에 그쳤다.

해외 항덕들은 Α319와 더불어 Babybus(Baby + Airbus)라고 부른다. 대체로 귀엽다는 반응. 흔히 볼 수 있는 기종은 아니지만 주로 작고 수요가 많은 곳으로만 몰리는 연유로 딱히 다른 의미에서 보기 힘든 기종은 아니었다.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유럽항공안전청)에서는 이 기종을 런던 시티 공항 등 4.5도 이상의 활공각을 가진 공항에 급강하 진입(steep approach)을 할 수 있는 기종으로 지정하면서 착륙 시에 급강하 진입을 할 수 있는 가장 큰 기종이며, 한 때는 가장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는 기체이기도 했다[1]. 초도기 동체에 "Whatever your size. We have it." 라는 슬로건이 들어갔었다. 에어버스의 가장 작은 민항기라는 점을 돋보이게 하려는 에어버스의 의도로 추정된다.

2013년에 D-AUAA[2]가 출고된 후 단 1대도 주문이 들어오지 않아 A318은 생산되지 않았다. 그 후에도 판매는 계속 진행하였으나, 현재는 에어버스 공식 사이트에서 A318이 사라져 공식적으로 단종되었다. 사실상 2013년에 단종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제원

에어버스 A318-100
^ACJ318^
운항 승무원 2
최대 좌석 수 132
화물 용적 25 m³(ULD 적용 불가)
길이 31.44 m
34.10 m
날개면적 122.6 m²
높이 12.56 m
동체폭 3.70 m
최대 연료 탑재량 24,210 L
자체 중량 39,500 kg
최대 이륙 중량 68,000 kg
항속거리 5,750 km
7,800 km (ACJ)
최대 순항 속도 마하 0.82(1,005km/h)
엔진 x2 CFMI CFM56-5B9/P
(23,300 lb)
P&W PW6124A
(23,800 lb)

3. 세부 형식

3.1. A318-100

파일:F-GUGN.jpg
에어 프랑스[3], F-GUGN
파일:YR-ASA.jpg
타롬항공, YR-ASA

A318의 현재 생산되는 두 형식 중 하나이자, 유일한 여객 형식. 최대 정원은 136명이다.

총 80대 생산 후, 현재 31대가 2개의 항공사와[4] 국가의 정부 전용기 및 비즈니스 항공기로 쓰이고 있다. 10대는 민항기, 나머지는 전용기 또는 비즈니스로 사용중이다.

2003년에 프론티어 항공에 최초로 인도되었고[5], 현재 최대 운용사는 에어 프랑스로 현재 총 6대를 보유하는 중이다. 이마저도 2024년 이후엔 모든 항공사에서 퇴역하여 정부 전용기, 또는 비즈니스 항공기만 볼 수 있을 듯 싶다.

영국항공에서 2대(기체 등록번호: G-EUNA, G-EUNB)를 보유했었으며, 런던 시티 공항을 출발해 아일랜드섀넌 공항을 경유하고 뉴욕의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 도착하는 BA001편과 그 복편인 BA002편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6] 급강하 활공 옵션을 부착한 A318은 런던 시티 공항에 착륙이 가능했으며, 시티 공항에 진출입 가능한 제트 여객기 중 A220-100 시리즈와 함께 가장 큰 크기의 여객기였다. 모든 좌석이 비즈니스 클래스로 되어있었으며, 섀넌 공항을 경유하는 이유는 이 공항에는 미국의 국토안보부 소속의 사무실이 있기에 BA001편은 섀넌에서 중간 급유 및 입국 심사를 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와 효율성을 이유로 기체를 해체하고 노선을 폐지시켰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엔진 옵션은 P&WPW6000 계열 및 CFMICFM56이 있다.[7]

아쉽게도 수요가 적은 탓에 A320neo 패밀리 프로젝트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설계를 위한 준비는 되어 있고, 샤크렛 테스트도 이미 거쳤으므로[8] 사실상 엔진 인증서만 받으면 A318neo의 생산이 가능하다.

2017년 기준으로 현재 판매 중이다.[9] 대당 가격은 약 75,000,000 USD, 또는 약 66,000,000 유로이다[10].

3.2. ACJ318(A318 Elite)

파일:tc-ank.jpg
튀르키예 정부, TC-ANK
파일:HZ-AS99.png
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전용기, HZ-AS99
에어버스, D-AUAA
최초로 샤크렛을 장착한 A318이자
마지막으로 생산된 A318

ACJ318 말고도 A318 Elite라고도 불린다. A318의 전용기 사양으로 승객을 최대 19명을 태우고 최대 7,800km까지 날수 있다.

총 20대 생산, 현재 18대 사용 중이다. 2대는 퇴역이거나 보관 중.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현재는 후배인 A220-300이 착륙 가능해지면서 그 기록을 물려주었다. A220-300은 최대 160명의 승객이 탑승 가능하다.[2] ACJ 기체로, 샤크렛 장착 시험을 수행했던 기체이다.[3] 해당 항공사는 모든 A318을 A220으로 교체할 예정이다.[4] 에어 프랑스 6대, 타롬항공 4대.[5] 총 11대 발주. 2011년에 11대 모두를, 그것도 발주한 지 2~8년 된 신 기재를 스크랩하면서 여러 모로 논란이 되었었다.[6] 콩코드의 편명들을 계승한 노선이었다.[7] 타 A320 계열 기재는 P&W롤스로이스의 합작회사인 International Aero Engines사의 IAE V2500을 사용하나, 이 모델만은 IAE사 제품 대신 PW6000을 사용한다. 외형은 V2500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역추진을 할 때 카울이 CFM56처럼 여닫이로 열린다.#[8] 비즈니스 제트 모델인 ACJ318(A318 Elite)인 D-AUAA(마지막으로 생산된 A318이다.)에 적용을 해본 기록이 있다. 현재는 기존의 펜스 윙팁을 다시 적용한 상태이다.[9] 다만 2013년 이후 주문이 들어오지 않아 생산을 멈췄다.[10] 약 900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