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4:36:15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2024 수능 2025 수능
(2024.11.14.)
2026 수능
2025 수능 관련 주요 학사 일정
9월 모의평가 대학수학능력시험
D[dday(2024-09-04)] D[dday(2024-11-14)]
D-Day한국 시간 오전 9시 기준입니다.


1. 개요2. 정보3. 6월 모의평가 (2024.06.04)4. 9월 모의평가 (2024.09.04)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4.11.14)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21번 문제 오류 및 전문성 논란
7.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8. 둘러보기 틀

1. 개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
4년 예고제에 따라 2022년 8월 25일에 발표되었다
2024년 11월 14일에 시행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성적은 2024년 12월 6일에 통보한다. 해당 연도 고3 재학생의 대부분인 2006년 3월생 ~ 2007년 2월생이 응시 대상자이다. 그 이전이나 이후에 태어나도 조기입학, 유급/휴학, N수생, 만학도, 검정고시 합격자도 응시할 수 있다.

2.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6월 모의평가 (2024.06.0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희망을 속삭이는 아침이 밝아오니」로, -의 '-'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명(접수자 수: 474,133명)
    • 재학생: -명(접수자 수: 385,435명(81.3%))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명(접수자 수: 88,698명(18.7%))
  • 주요 소식 및 사건
모의평가 지원자는 47만4천133명으로, 작년 6월 모의평가보다 10,458명 증가했다. 지원자 가운데 재학생은 38만5천435명(81.3%)으로 10,060명 늘었고, 졸업생 등은 8만8천698명(18.7%)으로 398명 늘었다.

3.1. 국어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독서 + 문학 (공통)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3.2. 수학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수학Ⅰ + 수학Ⅱ(공통)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3.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90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영어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영어 응시자 중 특정 탐구 영역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3.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40 (%)

3.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선택 과목 수 사회탐구 과학탐구 사회+과학탐구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인원(명)
1개 -
2개
직업
탐구
전체 응시자 응시 방법 응시자 수(명)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사회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정치와 법
경제
사회·문화
과학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표준점수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농업 기초 기술
컴퓨터 시스템 일반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상업 경제
인간 발달

3.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응시자 수 과목 응시자 수
독일어Ⅰ 러시아어Ⅰ
프랑스어Ⅰ 아랍어Ⅰ
스페인어Ⅰ 베트남어Ⅰ
중국어Ⅰ 한문Ⅰ
일본어Ⅰ

4. 9월 모의평가 (2024.09.0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로, -의 '-'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명
    • 재학생: -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4.1. 국어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독서 + 문학 (공통)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4.2. 수학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수학Ⅰ + 수학Ⅱ(공통)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4.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90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영어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영어 응시자 중 특정 탐구 영역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4.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40 (%)

4.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선택 과목 수 사회탐구 과학탐구 사회+과학탐구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인원(명)
1개 -
2개
직업
탐구
전체 응시자 응시 방법 응시자 수(명)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사회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정치와 법
경제
사회·문화
과학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표준점수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농업 기초 기술
컴퓨터 시스템 일반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상업 경제
인간 발달

4.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응시자 수 과목 응시자 수
독일어Ⅰ 러시아어Ⅰ
프랑스어Ⅰ 아랍어Ⅰ
스페인어Ⅰ 베트남어Ⅰ
중국어Ⅰ 한문Ⅰ
일본어Ⅰ

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4.11.1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로, -의 '-'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명
    • 재학생: -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5.1. 국어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독서 + 문학 (공통)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5.2. 수학 영역

과목 응시자 수 표준점수 최고점 1등급 구분 표준점수 1등급 인원 1등급 비율(%)
수학Ⅰ + 수학Ⅱ(공통)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소계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특정 조합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5.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90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구분 영어
사회·과학탐구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인원(명)
비율(%)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인원(명)
비율(%)
직업탐구 인원(명)
비율(%)
  • 비율(%) : 영어 응시자 중 특정 탐구 영역 응시자 수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과목 이상 응시자) 영역 전체 응시자 [math(× 100)]

5.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1등급 구분 원점수 1등급 인원 (비율)
40 (%)

5.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선택 과목 수 사회탐구 과학탐구 사회+과학탐구
인원(명) 비율(%) 인원(명) 비율(%) 인원(명)
1개 -
2개
직업
탐구
전체 응시자 응시 방법 응시자 수(명)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사회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정치와 법
경제
사회·문화
과학탐구 영역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화학Ⅰ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표준점수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농업 기초 기술
컴퓨터 시스템 일반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상업 경제
인간 발달

5.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응시자 수 과목 응시자 수
독일어Ⅰ 러시아어Ⅰ
프랑스어Ⅰ 아랍어Ⅰ
스페인어Ⅰ 베트남어Ⅰ
중국어Ⅰ 한문Ⅰ
일본어Ⅰ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21번 문제 오류 및 전문성 논란

해당 문항에서 주어진 집합 [math(\{x|f(x)=k\})]의 원소의 개수를 논할 때 [math(x)]가 실수라는 조건을 빼먹어 오류 논란이 일어났다.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의 모든 교과서에서 엄연히 사차방정식의 허근을 다루며, 이렇게 허근을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포함시킨다면 [math(k)]의 최솟값 자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평가원이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의 기초적 실수를 저지른 셈으로, 전원 정답의 인정 여부와 관계없이 많은 비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메가스터디의 현우진을 비롯한 일부 강사들은 [math(f(x))]가 사차함수이므로 다항함수의 정의역이 실수라는 전제 조건 하에[1] [math(x)]가 실수라는 조건을 다시 넣지 않은 것이라는 견해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을 표한 이들 역시 '실수 조건을 붙여야 더 엄밀하다'에는 대부분 동의하였다. 이전 문서에는 [math(f(x)=k)]가 방정식이기 때문에 실수 조건을 붙이는 게 옳다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정확하게 해석하면 [math(f(x))]라는 표기를 사용했다는 것에서 실수 조건 하에서의 방정식이라고 봐야 하므로, 실수 조건이 없어도 실수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만 이렇게 될 경우 2008년 4월 수리 가형 20번 문제의 이의제기가 인정된 것은 설명하기 어렵다.

이외에도 9번 문항에서 중괄호를 써야 할 곳에 소괄호를 사용하고[2], 22번 문항에서 '그 외의 경우'라는 하등 수학적이지 못한 표현을 사용하는 등[3] 여러 문항에서 출제의 전문성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었다. 개별 문항의 품질 또한 예년 모평, 수능에 비해 심히 떨어지는 편이었다. 일각에서는 이를 올해 모평부터 적용된 교사 출제 권한의 강화에서 그 원인을 찾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교육청 수학 시험은 교수 출제진이 참여하지 않음에도 품질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출제 인력을 랜덤으로 돌리면서 해당 인력들이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수능에 적응할 시간 자체가 부족하였기에 시험지 자체가 급조된 것 같아 보인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로 메가스터디의 양승진은 총평 영상에서 "문항 제작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보이는 기초적인 편집 실수들이 너무 많았다. 문제지의 세로줄 간격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시험지가 급조된 느낌이다." 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7.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등급 컷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컷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91919><table bgcolor=#ffffff,#191919>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평가 특성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 언어(言語) 수리(數理) 자료 해석 · 상황 판단
지식 및 적격 여부
}}}
영역
하위 문서
역사 · 등급컷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기타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191919><table bgcolor=#ffffff,#191919>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CI.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를 4과목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영역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과목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NEAT로 영어시험 대체(무산)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 (서울 상위권 10개 대학 정시·의약계 지역인재 40% 선발 도입)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 (수시 비교과 사실상 폐지)
2025 2026 2027 2028
▣ 일부 대학교 이공계 미적분·기하 필수 폐지
▣ 정시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대학 증가
▣ 모든 대입 전형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의무화
▣ 연세대, 정시에 내신 반영
(시행 미정)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내신 5등급제로 전환)
▣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 ||



[1]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정의역이 복소수인 함수는 다루지 않는다.[2] [math((f(x)+a)^2)]으로 표기했다. 문제 풀이에는 지장이 없으나, 교육 과정 상 [math(\{f(x)+a\}^2)]이 옳다.[3] 조금 더 엄밀하게 조건을 수정하자면 '그 외의 모든 경우' 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