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9:34:58

2024년 유럽의회 선거

2024년 유럽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7px -12px" 2019 선거 2024 선거 2029 선거 }}}
투표율 0.00% ▲0.00%p
선거 결과
<rowcolor=#ffcc00> 교섭단체명 획득 의석 총 득표율 의석 증감[1]
EPP
유럽인민당
0석 0% -
S&D
사회민주진보동맹
0석 0.00% -
RE
리뉴 유럽
0석 0.00% -
Greens-EFA
녹색당
유럽자유동맹
0석 0.00% -
ECR
유럽 보수와 개혁
0석 0.00% -
ID
정체성과 민주주의
0석 0.00% -
GUE-NGL
유럽연합좌파
북유럽녹색좌파
0석 0.00% -
비교섭의원 0석 0.00% -


[clearfix]

1. 개요

제10회 유럽의회 선출을 위해 2024년 6월 6일부터 6월 9일까지 실시되는# 유럽의회 선거로, 브렉시트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유럽의회 선거이기도 하다.

2. 유럽의회의 교섭단체

유럽의회에 진출한 각 정당들은 정치적 스펙트럼에 기반하여 비슷한 성향의 구성원들끼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제9대 유럽의회에 참여하는 교섭단체는 다음과 같다.
  • 리뉴 유럽(RE): 사회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친유럽주의, 중도
  • 교섭단체 없음

3. 선출

2020년 브렉시트 이후 유럽의회 내 회원국들의 할당의석이 재조정되어 27석이 프랑스를 포함한 회원국들에 추가적으로 할당되었으며, 46석이 줄어들어 총 705석으로 줄어들었다. 2023년 유럽연합 이사회의 합의에 따라 15석을 늘려 720명의 의원을 선출한다.
국가 유럽의회 의석 선거일 선거방식 봉쇄조항
그리스 21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3%
네덜란드 31 6월 6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4%
덴마크 15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독일 96 6월 9일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라트비아 9 6월 8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루마니아 33 6월 9일[2]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5%
룩셈부르크 6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리투아니아 11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몰타 6 6월 8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선호투표제 없음
벨기에 22 6월 9일[3]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4] 5%
불가리아 17 6월 9일[5]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6%
스웨덴 21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4%
스페인 61 6월 9일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슬로바키아 15 6월 8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슬로베니아 9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아일랜드 14 6월 7일 권역별 불구속명부 선호투표제 없음
에스토니아 7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오스트리아 20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4%
이탈리아 76 6월 8일 ~ 6월 9일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4%
체코 21 6월 7일 ~ 6월 8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키프로스 6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1.8%
크로아티아 12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포르투갈 21 6월 9일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폴란드 53 6월 9일 권역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5%
프랑스 81 6월 9일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6] 5%
핀란드 15 6월 9일 전국단위 불구속명부 비례대표제 없음
헝가리 21 6월 9일 전국단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5%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선거 결과

2024년 유럽의회 선거 결과
국가명 EPP
유럽인민당
S&D
사회민주진보동맹
ECR
유럽 보수와 개혁
RE
리뉴 유럽
GUE-NGL
유럽연합좌파
북유럽녹색좌파
Greens-EFA
녹색당
유럽자유동맹
ID
정체성과 민주주의
비교섭의원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몰타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키프로스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합계
선거 직전 대비

5. 국가별 결과

5.1. 그리스

5.2. 네덜란드

IPSOS-I&O 출구조사 결과
정당 유럽의회 정당 득표율 예측 의석수
GL/PvdA Greens/EFA, S&D 21.6% 8석[7]
PVV ID 17.7% 7석
VVD RE 11.6% 4석
CDA EPP 9.7% 3석
D66 RE 8.6% 3석
BBB EPP 5.3% 2석
Volt Greens/EFA 4.9% 1석
PvdD LEFT 4.4% 1석
NSC EPP 3.8% 1석
SGP ECR 3.4% 1석
유럽의회 정당 예측 의석수
ID 7석
RE 7석
EPP 6석
Greens/EFA 5석
S&D 4석
LEFT 1석
ECR 1석
이념 성향 예측 의석수
중도우파 10석[8]
중도좌파 9석[9]
우파 8석[10]
중도 3석[11]
좌파 1석[12]

5.3. 덴마크

5.4. 독일

5.5. 라트비아

5.6. 루마니아

5.7. 룩셈부르크

5.8. 리투아니아

5.9. 몰타

5.10. 벨기에

5.11. 불가리아

5.12. 스웨덴

5.13. 스페인

5.14. 슬로바키아

5.15. 슬로베니아

5.16. 아일랜드

5.17. 에스토니아

5.18. 오스트리아

5.19. 이탈리아

5.20. 체코

5.21. 키프로스

5.22. 크로아티아

5.23. 포르투갈

5.24. 폴란드

5.25. 프랑스

5.26. 핀란드

5.27. 헝가리

6. 구성

7. 총평



[1] 선거 직전 대비[2] 지방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3] 연방하원 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4] 3개 언어권(네덜란드어권, 프랑스어권,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이 선거구인데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의 경우 1석이므로 사실상 소선거구제로 선출된다[5] 국민의회 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다.[6] 2018년에 선거구를 개정해 전국단위로 바꾸었다.[7] GL 4석, PvdA 4석[8] VVD, CDA, BBB, NSC[9] GL, PvdA, Volt[10] PVV, SGP[11] D66[12] Pv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