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2:32:23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축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파일:오륜기(여백X).svg 역대 올림픽 축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아테네
(축구 종목 제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1900
파리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1904
세인트루이스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1908
런던
1912
스톡홀름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베를린
(제1차 세계 대전)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축구 종목 제외)
1920
안트베르펀
1924
파리
1928
암스테르담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헬싱키
(제2차 세계 대전)
런던
(제2차 세계 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1936
베를린
1948
런던
1952
헬싱키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1956
멜버른
1960
로마
1964
도쿄
1968
멕시코시티
1972
뮌헨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6
몬트리올
1980
모스크바
1984
로스앤젤레스
1988
서울
1992
바르셀로나
<rowcolor=#202020,#DFDFD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96
애틀랜타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2
런던
<rowcolor=#202020,#DFDFDF>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2020
도쿄

(연기)
2024
파리
2028
로스앤젤레스
2032
브리즈번
<rowcolor=#202020,#DFDFDF> 36회
파일:국기.svg
2036
미정
}}}}}}}}}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올림픽 축구
파일:1928 Summer Olympics stamp of football.jpg
대회기간 1928년 5월 27일 ~ 6월 13일
진출국 17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득점왕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도밍고 타라스코니 | 11골
이전·이후 대회
1924년
파리
1928년
암스테르담
1936년
베를린

1. 개요2. 경기장3. 진출국4. 선수 명단5. 대회 진행
5.1. 토너먼트 대진표
6. 최종 순위7. 여담

[clearfix]

1. 개요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올림픽 축구가 곧 세계 최고의 축구 대회로 치러졌던 마지막 대회다. 이 대회 이후 2년 뒤 FIFA가 따로 FIFA 월드컵을 창설하며 1회 대회를 우루과이에서 치렀다.[1]

2. 경기장

3. 진출국

대륙 국가 전 대회 성적 통산 진출 최근 진출 대회 최고 성적
개최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4위 5회 1924 동메달[1908/1912/1920]
유럽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라운드 3회 1924 금메달[1920]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라운드 3회 1924 1라운드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독일 - 2회 1912 8강[1912]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준우승 2회 1924 은메달[1924]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8강 4회 1924 8강[1920/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8강 4회 1924 4위[1920]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예선라운드 3회 1924 1라운드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예선라운드 3회 1924 은메달[192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첫 진출 - -
아시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예선라운드 2회 1924 예선라운드
아메리카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첫 진출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1라운드 2회 1924 1라운드
파일:멕시코 국기(1916-1934).svg.png 멕시코 - 첫 진출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우승 2회 1924 금메달[1924]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첫 진출 - -
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국기 (1922-1958).png 이집트 8강 3회 1924 8강[1920/1924]
  • 우루과이가 4년 전 대회에서 강력한 모습으로 금메달을 딴 뒤, 아메리카 대륙에서 진출국이 대폭 늘어났다. 특히 우루과이의 가장 큰 남미 라이벌인 아르헨티나가 우루과이의 활약상에 자극을 받아 처음 올림픽 축구에 참가했다. 또한 멕시코와 칠레도 올림픽 축구에 첫 진출하게 되었다.

4. 선수 명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대회 진행

5.1. 토너먼트 대진표

경기 순번 대진표 대진표 경기 순번
<colbgcolor=#ffffff> 예선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vs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1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vs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V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v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colbgcolor=#ffffff> 2
3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독일 vs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V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vs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4
5 파일:이집트 국기 (1922-1958).png 이집트 v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VS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예선라운드 승자 6
7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vs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S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vs 파일:멕시코 국기(1916-1934).svg.png 멕시코 8

5.1.1. 예선 라운드

5.1.2. 1라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축구/토너먼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3. 8강 이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축구/토너먼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최종 순위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두번째 우승

7. 여담

  • 우루과이가 영국 이후로 16년만에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국가가 되었다. 현재 우루과이 축구협회 엠블럼에 달려있는 별 4개 중 2개가 바로 24 파리 올림픽과 28 암스테르담 올림픽 축구를 우승한 것을 의미한다. 이 우승은 FIFA 월드컵 창설 전 올림픽 축구가 세계 최고의 대회로 기능했던 시기의 우승이라 FIFA에서 별을 달게끔 허락해주었다. 다만 최근들어 FIFA는 연령별 대회로 격하된 올림픽 축구의 현 위상에 맞게 우루과이에게도 과거 올림픽 축구 우승으로 얻은 두 개의 별을 엠블렘에서 삭제할 것을 요청한 상황이다.
  • 또한 결승전이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로 올림픽 축구 사상 처음으로 비유럽팀간의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4년전 올림픽 축구에서 우루과이의 압도적인 퍼포먼스에 자극을 받은 이웃 아르헨티나가 올림픽 축구에 첫 진출해 결승전까지 진출한 것으로, 이 두 팀은 2년 뒤 초대 월드컵 결승전에서도 다시 만나게 된다.


[1] 1회 월드컵을 우루과이에서 치른 이유 또한 우루과이가 올림픽 축구 챔피언이었던 이유가 크다.[1908/1912/1920] [1920] [1912] [1924] [1920/1924] [1920] [1920] [1924] [1920/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