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23:06:43

흰갈매기

흰갈매기
白鷗 | Glaucous gull
파일:Larus hyperboreus.jpg
학명 Larus hyperboreus
Gunnerus, 176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도요목(Charadriiformes)
아목 갈매기아목(Lari)
갈매기과(Laridae)
아과 갈매기아과(Larinae)
갈매기속(Larus)
흰갈매기(L. hyprtbore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생김새3. 생태

[clearfix]

1. 개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새. 한자로 백구라고도 한다. 4아종으로 나뉘며, 이중 2아종이 한국에 도래한다.

2. 생김새

크기는 약 70cm 정도로 갈매기류 중에는 큰 편이다. 다리는 옅은 분홍색을 띄며 부리는 길고 육중하며 목에는 회색 점이 있다. 이 회색점은 3월 초순부터 사라지기 시작한다. 어린 새는 엷은 갈색을 띤다. 홍채는 노란색을 띄고 눈테또한 노란색을 띈다. 날개끝이 (첫째날개깃) 다른 갈매기와 달리 흰색을 띄기 때문에 동정하기 매우 쉬운 갈매기류이다. 작은흰갈매기와 혼동될수있지만 작은흰갈매기는 첫째날개깃이 꼬리 끝으로 길게 돌출되고 다리가 짧으며 머리가 둥글다, 또한 흰갈매기보다 엄청 작다.

3. 생태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 대륙의 북극권, 그린란드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이 되면 번식지를 떠나 따뜻한 곳으로 남하해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지만, 동해안에서는 꽤 흔한 겨울철새이며, 주로 재갈매기 무리에 섞여서 항구나 해안가 등지에서 월동한다. 아종 barrovianus는 쇠흰갈매기라고 불리며 극히 드문 겨울철새로 도래한다.

갈매기 중 포식성이 가장 강한 편이며 물고기나 어패류 외에 다른 바다새들도 종종 사냥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