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23:19:57

후지와라 코코아

1. 개요2. 부고3. 작품 목록
3.1. 단행본3.2. 단편
3.2.1. CALLING3.2.2. STRAY DOLL3.2.3. 아가씨와 요괴집사3.2.4. 야마다3.2.5. 나는
4. 기타

1. 개요

藤原ここあ
일본만화가, 생일은 1983년 4월 28일, 혈액형은 B형,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출신, 대표작은 dear, 이누×보쿠 SS, SNS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주로 판타지와 일상이 혼합 된 만화를 그리며 개그와 시리어스의 조절이 상당히 뛰어난 편이다. 캐릭터들의 섬세한 심리 묘사와 착실한 복선 회수 등으로 인해 스토리 면에서도 평이 좋은 편. 일단은 순정 만화가로 분류 되고 여성이 주요 독자 이지만, 여캐를 귀여우면서도 색기 있게 그리고, 작품의 내용이 남성향적인 면도 있어 실질적으론 남녀를 두루 포용하는 독자층을 가지고 있다.

1998년 에닉스(現 스퀘어 에닉스)에서 주최한 제7회 에닉스 21세기 만화 대상에서 'Beauty and the Beast'로 가작을 받았고[1] 1999년 월간 간간WING에 연재 된 'CALLING'으로 정식 데뷔 하였다. 그 후 각종 중, 단편을 연재를 하다 2002년도에 첫 장편작인 'dear'를 연재 하게 되었고 2008년 전 12권으로 완결 시켰으며 2010년 부터 월간 간간 JOKER에서 두번째 장편작인 이누x보쿠 SS를 연재해 2014년 전 11권으로 완결 지었다. 2013년 부터는 같은 잡지에 '일찍이 마법소녀와 악은 적대하고 있었다.'라는 마법 소녀물을 연재해 왔으며 이누x보쿠 SS의 완결 이 후로는 이 작품에만 집중 하고 있었다.

초창기에는 나이도 어리고[2] 경험도 부족해 미숙한 면이 많이 보였지만 첫 장편인 dear를 연재 하는 동안 놀라울 정도로 내공이 많이 늘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그림체와 연출의 성장이 두드러지는데, dear 연재 초반과 후반을 비교하면 경악스러울 정도이다.

데뷔 10년만에 내놓은 이누x보쿠 SS가 상당히 흥행해 커리어 최초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 된 후 그 기세를 막 이어가던 찰나였던지라 팬들은 안타까워 하고 있다.

2016년 7월 22일에는 화집이 발매 되었다, 그녀의 유작.

2. 부고

2015년 4월 8일 갑자기 부고 소식이 월간 간간 JOKER 홈페이지에 올라왔다. 소식에 따르면 그녀가 2015년 3월 31일에 사망 했으며 장례는 가족장으로 거행 되었다고 한다.사인은 병 이라고 편집부에서 밝혔지만 자세한 내용은 공표 되지 않았다.[3]

3. 작품 목록

한국에는 작품이 모두 정발 되었다. 다만 출간 된 지 오래 된 '나의 늑대씨'와 'dear' 일부 권들은 절판 상태라서 중고로 구해야만 한다.

3.1. 단행본

3.2. 단편

  • CALLING - 나의 늑대씨 2권 수록
  • STRAY DOLL - 나의 늑대씨 2권, 아가씨와 요괴집사 수록
  • 아가씨와 요괴집사 - 아가씨의 요괴집사 수록
  • 야마다 - 아가씨와 요괴집사 수록
  • 나는 - 아가씨와 요괴집사 수록
  • Beauty an the Beast - 일찍이 마법소녀와 악은 적대하고 있었다. 3권 수록

3.2.1. CALLING

후지와라 코코아의 첫 단편. 하계 최강의 마법사 크루엘이 인간 소녀 파르에게 소환 당하면서 벌어지는 개그물.
  • 파르
    밝고 활발한 인간 소녀. 우연히 그린 마법진에서 크루엘을 소환하게 된다. 크루엘을 원래 세계로 돌려보내주기 위해 헌신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이타적이고 순진한 성격.
  • 크루엘
    무뚝뚝한 성격의 청년으로 하계 최강의 마법사 중 하나. 라이벌 카를로와 싸우던 도중 파르에게 소환되고 만다. 파르가 소환사로 인식된 탓에 그녀에게 한정으로는 마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처음에는 파르를 껄끄러워하지만 그녀의 순수한 모습에 점점 끌리게 된다.
  • 카를로
    크루엘의 오랜 라이벌로 하계 최강의 마법사 중 하나. 마지막에 그 역시 파르에게 소환되었음이 밝혀지며 파르와 함께 인간계에서 만족하며 살아가게 된다(...) 언뜻 보면 크루엘만큼이나 차가운 인상이지만 실제론 은근히 천연계인 듯.

3.2.2. STRAY DOLL

인형사 피즈와 그의 인형 레이오의 여행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개그물.
  • 피즈
    백발의 쿨한 인상을 지닌 청년. 작중 묘사를 보면 외모는 상당한 미남인 듯 하다. 인형을 부려서 능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인형사지만 가방 속에 항상 인형을 잔뜩 들고 다니는 탓에 변태로 자주 오인 받고는 한다. 자신의 인형들을 소중히 여기고 있으며 자신을 늘 괴롭히는 레이오 또한 아끼고 있다.
  • 레이오
    피즈가 지니고 있는 인형으로 유럽풍 드레스를 입은 금발의 소녀. 평상시엔 인간화하여 항상 피즈 옆에 붙어다닌다. 피즈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그를 독점 하기 위해 그를 인형 변태로 오인 받게 하는 장본인으로 피즈 한정으로 얀데레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3.2.3. 아가씨와 요괴집사

병약한 아가씨와 그녀를 모시는 집동자 요괴의 이야기로 이누×보쿠 SS의 원안이 된 작품이다. 주인공들의 모습이 리리치요, 소우시와 상당히 유사하며[7] 병약한 부잣집 아가씨X그녀를 모시는 헌신적인 집사 등 기본적인 설정이 이누보쿠와 매우 유사하다. 세세하게 다른 설정이 있다면 리리치요 역시 선조회귀자로 나오는 이누보쿠와 달리 이 단편에서 아가씨는 평범한 소녀이며 리리치요도 천식이 있는 등 다소 병약하다는 언급은 나오지만 일상 생활엔 크게 문제가 없는 반면 아가씨는 일상 생활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병약하다.[8] 또한 리리치요는 부모님에게 제대로 된 사랑을 못 받고 자란 것에 대한 콤플렉스가 있지만 아가씨는 오히려 병약한 몸 탓에 부모님을 많이 걱정시킨 게 죄송해서 부모님에게 도움이 되는 딸이 되고자 노력하는 등 부모님과의 관계는 원만한 것으로 보인다. 성격 역시 애정결핍으로 상당히 비뚤어진 리리치요에 비해 아가씨는 좀 더 순수하고 솔직한 성격이다. 집동자 요괴의 경우 아가씨에게 헌신적이라는 설정은 소우시와 비슷하나 리리치요에 대한 독점욕과 얀데레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소우시와 달리 천연계 캐릭터이다.
  • 아가씨
    이름은 나오지 않으며 '아가씨'라고만 불린다. 흑발 히메컷을 한 소녀로 카리시마 가의 외동딸. 지나치게 병약한 몸 탓에 부모님을 자주 걱정시켜서 카리시마 가의 도움이 되고자 집안에 일어난 문제를 집동자 요괴와 함께 해결하고자 한다.
  • 집동자 요괴
    은발에 자안을 지닌 청년으로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집동자 요괴. 집사 차림을 하고 있으며 아가씨에게 매우 헌신적이다.

3.2.4. 야마다

괴짜 고등학생 소년 야마다의 이야기를 다룬 개그물.
  • 야마다
    괴짜 고등학생 소년. 나르시스트이다. 아리사와 선생님의 연애를 도와주고자 한다. 그러나 마지막엔 사실 게이 아리사와 선생님을 좋아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 아리사와 선생님
    같은 학교의 에시미 선생님을 짝사랑하고 있으며 그의 사랑을 야마다가 도와주려고 한다. 에시미 선생님의 마음에 드는 남자가 되기 위해 야마다와 함께 노력하지만 결국 에시미 선생님이 좋아하는 사람은 따로 있다는 것을 알고 포기한다.
  • 에시미 선생님
    아리사와 선생님의 짝사랑 상대로 흑발의 미인이다. 그러나 본인은 같은 학교의 이시구로 선생님을 좋아하고 있다.

3.2.5. 나는

단편 중엔 개그 요소가 전혀 없는 감동&시리어스 스토리이다. 사진을 좋아하며 고등학교 졸업을 앞둔 모리나가라는 소녀의 이야기.
  • 모리나가
    백발의 소녀로 곧 졸업을 앞둔 고등학교 3학년. 사진 찍는 것을 매우 좋아하며 사진부에 소속되어 있다. 겉으로는 원만한 친구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속으로는 누구에게도 진심으로 다가가지 못하는 모순적인 마음을 품고 있다.
  • 사진관 사장님
    다소 말수가 적은 사진관의 사장으로 모리나가가 자주 들른다. 모리나가가 자신의 모순적인 마음으로 괴로워할 때 기운을 북돋아주었으며 모리나가가 사진을 찍게 된 계기가 사장님의 사진을 본 이후였음이 마지막에 밝혀진다.

4. 기타

  • 나카야마 미유키(中山幸)라는 작가와 그림체와 연출이 상당히 유사한데[9], 후지와라 코코아 작가가 이 작가의 <くだみみの猫>(쿠다미미의 고양이)를 추천 했고, 1권에 축전 일러스트를 그려준 걸 감안하면 그녀가 후지와라 코코아 작가의 어시스턴트 이였거나, 아니더라도 모종의 관계가 있는것으로 추정 된다. 한 때 후지와라 코코아 작가의 다른 명의 아니냐는 주장도 있었으나, 후지와라 코코아 작가가 타계 한 후에도 작품 활동을 계속 하는 걸 보면 확실히 다른 사람인 듯.


[1] 이 시절의 닉네임은 후지와라 밀크.[2] 만화가 데뷔 당시 고등학생이었다.[3] 타계 나흘 전까지 트위터로 활발히 활동 했던 터('모레 이사 가요. (당시 집에서 바라본 야경 사진을 올리며)이걸로 마지막이라니 안타깝네요.')라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말 그대로 경악 했다. 때문에 사인이 병이라 알려지기 전 까지는 뒤늦은 만우절 장난이나 뭔가 실수로 소식이 잘못 나온 것이라고 여기거나, 자살, 사고사, 누군가에게 살해 당한 것 등으로 추측 하는 경우가 많았다.[4] 위의 "나의 늑대씨"와 세계관과 등장인물을 공유한다. 사실상 제목만 다르지 한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 정확히는 '나의 늑대씨'가 dear의 프롤로그에 가깝다.[5] 작가의 단편 작품들을 모은 책으로, 특히 수록 된 작품 중 책 제목과 같은 이름의 단편은 이누x보쿠 SS의 원안이 되었다 .[6] 2015년 3월 20일 연재(4월호)를 마지막으로 연중 되었으나, 2024년 6월호를 시작으로 재연재에 돌입하게 되었다.[7] 아가씨는 머리가 조금 짧은 걸 제외하면 리리치요와 판박이고 집동자 요괴는 하늘색x금색 오드아이인 소우시와 달리 자안인 걸 빼면 완전히 똑같이 생겼다.[8] 간단한 계단 몇 개 오르는 것만으로 숨이 차서 산소호흡기를 들이마셔야 할 정도.[9] 하지만 활동 시기는 후지와라 코코아 작가가 압도적으로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