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3:01:11

헤이 아놀드!

니켈로디언 스튜디오
헤이 아놀드!
"Hey Arnold!"
(1996 ~ 2000)
파일:헤이 아놀드.png
[[영상물 등급 제도|{{{#black 시청 등급 }}}]] 파일:G등급 로고.svg 전체 관람가
방송 기간 1996년 10월 7일 ~ 2004년 6월 8일
장르 시트콤
미국 애니메이션
일상물
시즌 수 시즌 1 ~ 시즌 5
방송 횟수 100부작(187화 편작)
방송 분량 1부당 23분(1화 11~2분, 2화 11~2분으로 나눠가면서 진행한다.)
채널 니켈로디언
제작사 파라마운트 픽쳐스, 니켈로디언
원산지 미국
언어 영어
창시자 크레이그 바틀렛(Craig Bartlett)
연출자 크레이그 바틀렛(Craig Bartlett)
조 안솔라베헤레(Joe Ansolabehere)
스티브 빅스텐(Steve Viksten)
극본 크레이그 바틀렛(Craig Bartlett)
메리 해링턴(Mary Harrington)
출연 토란 코델(Toran Caudell)
필립 반 데이크(Phillip Van Dyke)
스펜서 클라인((Spencer Klein)
알렉스 D.린즈(Alex D. Linz)
자말 워커 스미스(Jamil Walker Smith)
프란체스카 마리 스미스(Francesca Marie Smith)
댄 카스텔라네타(Dan Castellaneta)][1]
트레스 맥넬리(Tress MacNeille)
저스틴 쉔카로우(Justin Shenkarow)
앤디 맥아피(Anndi McAfee)
샘 지라르디(Sam Gifaldi)
올리바 핵(Olivia Hack)
댄 버틀러(Dan Butler)
크레이그 바틀렛(Craig Bartlett)

1. 개요2. 상세3. 스핀오프 (취소)4. 등장인물
4.1. 아놀드와 가족들4.2. 헬가 관련 인물들4.3. 아놀드의 친구들4.4. 주변 인물들4.5. 극장판 인물들
5. 에피소드6. 방송국7. 평가8. 여담

[clearfix]

1. 개요

오프닝 인트로


크레이그 바틀렛이 미국의 애니메이션겸 코미디 시리즈로 "헤이 아놀드!" 애니메이션을 창시해왔으며, 니켈로디언에서 1996년 10월 7일 ~ 2004년 6월 8일까지 방영하게 된다.

2. 상세

수준 높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의 산실인 아동 전문 케이블TV 니켈로디언과 할리우드 최고의 스튜디오 파라마운트가 다시 한 번 손잡고 선보인 야심작. 이 애니메이션은 처음 시청자 앞에 선보인 이후 현재 매달 4천 6백만 명이 애청하는 빅히트 애니메이션으로 성장했다.

단, 국내에서도 투니버스, JEI 재능TV를 통해 인기리에 방영되어 폭 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2002년에는 극장판이 제작되기도 하였다. 본 사이트에 등록된 타이틀 이미지 역시 DVD로 출시된 극장판의 표지다.

국내에서는 2017년에 나온 2번째 극장판이 1년 후 니켈로디언를 통해 방영된 것으로 보인다.[2]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친근한 캐릭터와 마치 이웃에서 일어날 법한 공감가는 소재는 평범하지만, 개성 넘치는 재미를 선사한다. 용감하고 가슴 따뜻한 '럭비공 머리(Football Head)'이란 아놀드의 인기는 물론, 말괄량이 삐삐를 연상시키는 헬가 G. 퍼타키(Helga G. Pataki) 역시 적지 않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인기 캐릭터다. 늘, 아놀드의 곁을 지키는 베프인 제랄드 요한슨(Gerald Johanseen)와 얼간이 같은 해럴드 버맨(Harold Berman), 누구나 봤을 법한 선량함과 나약함을 지닌 유진 호로비츠(Eugene Horowitz) 등 어린시절의 우리들의 친구였을 법한 캐릭터들이 찬근하게 다가온다.

다소 놀랍게도 이 애니메이션은 원래 80년대에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시작했는데 아놀드가 지루한 상황에서 머리속에 여러가지 망상을 하는 게 주된 플롯이다. #

아놀드가 사는 지역은 '힐우드'라는 곳으로 워싱턴 주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크레이그 버틀렛의 고향인 시애틀, 전공을 한 오리건 주 포틀랜드와 다리, 지하철 등은 브루클린 지역 등을 섞어놓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3. 스핀오프 (취소)

여담으로, 2000년에 헬가의 가족들을 주인공으로 한 30분 짜리 스핀오프를 제작하려 했으나 취소되었다고 한다. 니켈로디언에서 방영을 계획하기엔 어두운 톤이다 보니 MTV를 통해 방영하려 했으나 1997년부터 2002년까지 5시즌에 걸쳐 MTV에서 인기리에 방영되던 다리아와도 비슷한 부분도 있었기 때문에 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까마득한 시간이 지난 2023년에 캐릭터 비화 등 일부 요소들이 공개되었다. 해당 스핀오프에서는 아놀드가 이사를 간 것으로 나오지만, 기존 아놀드의 친구들은 그대로 나오는 게 특징이었다.

또한 헬가의 아버지[3]는 해당 작품에서 삐삐가 아닌 휴대폰을 팔아 사업이 더욱 번창했다는 묘사가 나오는데, 아이러니하게도 2017년에 나온 두번째 극장판에서는 아직도 삐삐를 팔고 있다고 묘사된다. 하지만, 그 덕에 헬가와 올가의 부모가 헬가를 비롯한 일행들이 산 로렌조에서 조난당했다는 걸 알게 된다.
  • 여담으로, 다리아와의 접점은 다음과 같이 구분해 볼 수 있다.
    • 다리아비비스와 버트헤드, 파타키스는 이 만화에서 파생된 스핀오프라는 점이다.
    • 헬가의 나이가 15세가 되면서 성격이 비슷한 10대가 주인공이 되었다. 물론, 츤데레와 그냥 세상을 삐딱하게 보는 건 차이가 있지만 말이다.
    • 러닝타임 역시 이 스핀오프가 좀 더 길긴 하지만, 다리아 역시 약 20분~22분 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진 애니메이션이었다는 점 역시 유사한 편이다.
    • 기존 만화와의 접점을 많이 줄이려 한 편이다. [4]
    • 가족 구성원이 부모와 자매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헬가는 어린 쪽, 다리아는 나이가 많은 쪽에 속하지만 말이다.
    • 헬가의 아버지 '빅 밥'과 다리아의 아버지 '제이크'는 자영업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빅 밥의 경우, 삐삐를 파는 가게를 운영하고 있지만, 제이크는 회사 사장 겸 컨설턴트 일을 하고 있다.
    • 헬가의 어머니 미리암과 다리아의 어머니 헬렌은 술과 연관된 문제가 있다. 헬렌의 경우에는 술만 마시면 막가파가 되는 기질이 있지만, 미리암의 경우는 그냥 알콜중독이다.
    • 부모가 자식들에게 무관심한 모습을 보일 때가 많이 보인다. 물론, 다리아 쪽은 억지 대화를 유도하는 경우도 있지만.
    • 자매끼리도 사이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헬가의 경우는 올가를 그리 탐탁치 않게 여기는 한 쪽이 싫어하는 부분에 가깝지만, 다리아 쪽은 동생 퀸을 탐탁치 않아하고, 반대로 동생 쪽은 다리아를 아예 자매로 인정하지 않고 사촌, 뭐 그딴 관계나 심지어는 도서관 사서까지 만들어버리는 모습을 시즌 5 6화까지 이어간 바 있었다.

이러한 비슷한 플롯을 가진 상황인데다 헬가 스핀오프가 만들어지던 시기는 다리아의 시즌 4가 방영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더더욱 출혈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잖아 있었을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4. 등장인물

4.1. 아놀드와 가족들

파일:아놀드 쇼트맨.png
  • 아놀드
주인공. 럭비공처럼 생긴 머리를 가진 소년이다. 할아버지, 할머니와 살고 있다.[5] 성은 쇼트맨(Shortman). 2번째 극장판이 끝나는 시점에서는 6학년이 되는 것으로 나온다.

성우가 여러 번 바뀐 특징이 있다. 파일럿에서는 J.D 대니얼스, 시즌 1에서는 레인 토란, 시즌 2~3에서는 필립 반 다이크, 시즌 4~5와 첫 극장판에서는 스펜서 클라인, 시즌 5의 98~100화 스페셜 에피소드에서는 알렉스 D 린즈, 2017년 극장판에서는 메이슨 베일 코튼, 시즌 3~5에서 나온 어린 시절의 아놀드는 러스티 플로드가 담당했다.
파일:아놀드의 할아버지 (헤이 아놀드!).png
  • 필립 쇼트맨
주인공 아놀드와 함께 사는 할아버지
파일:아놀드의 할머니(헤이 아놀드!).png
  • 거트루드 쇼트맨
주인공 아놀드와 함께 살고 있는 할머니
파일:아놀드의 부모(헤이 아놀드!).png
[6]
  • 마일스 & 스텔라 쇼트맨
아놀드의 부모, 본편에서는 3번, 두번째 극장판에서 등장하며 모종의 이유로 인해 사원에서 수면병에 걸려 깨어나지 못한 상황에 있었다.

4.2. 헬가 관련 인물들

파일:헬가 파타키.png
  • 헬가 (성우: 프란체스카 마리 스미스(Francesca Marie Smith))
말괄량이 삐삐를 연상시키는 여자아이로, 항상 아놀드에게 쌀살맞게 대하지만, 실제로는 아놀드를 좋아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중간이름은 제럴딘[7], 성은 파타키(Pataki)[8].

여담으로 정글 무비 마지막에 결국, 아놀드하고 엮이는데 성공하지만 다시 츤데레 기질을 보인다.

여담으로, 크레이그 바틀렛은 해당 캐릭터를 프리다 칼로의 젊은 시절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 바 있다.
  • 올가 파타키
나이차가 있는 헬가의 언니이다. 웰링턴 대학교[9]에 다니는 학생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 로버트 '빅 밥' 파타키
헬가의 아버지이다. 삐삐를 판매하는 가게를 가진 외판원이다. 헬가에 대해 높은 기준을 요구하면서 헬가의 언니인 올가와 항상 비교하는 모습을 보이는데다 심지어는 헬가를 까먹는 듯한 묘사 역시 보이기도 한다.
  • 미리암 파타키
헬가의 어머니이다. 알콜 성분이 든 스무디라는 칵테일을 자주 마시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자녀에게 무관심한 부모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4.3. 아놀드의 친구들

파일:제럴드(헤이 아놀드).png
  • 제럴드
주인공 아놀드의 절친이다. 마지 심슨 마냥 위로 솟은 검은 머리가 특징이다. 빨간색 33번이 써진 티셔츠를 자주 입고 등장한다. 성은 요한슨(Johanssen)

아놀드와 헬가가 마지막에 엮어지듯, 제럴드 역시 헬가의 친구인 피비와 엮이게 된다.
파일:해롤드(헤이 아놀드!).png
  • 해롤드
아놀드가 다니는 학교에 있는 불량학생이다. 하지만, 시즌과 에피소드가 거듭될수록 아놀드와 제럴드를 괴롭히는 역할보다는 친구 쪽으로 포지션이 변화한 케이스. 성우는 저스틴 쉔카로우(Justin Shenkarow). 유태계 미국인으로 성은 버먼(Berman).
파일:피비(헤이 아놀드).png
  • 피비
헬가의 가장 친한 친구이다. 성우는 앤디 맥아피. 부모가 미국 남부 백인층과 일본계로 추정되며 과거 켄터키 주에서 살다 온 듯한 묘사가 있다. 헬가가 아놀드를 좋아한다는 걸 아는 몇 안 되는 인물이기도 해서 도움을 주는 일이 많은 편이다. 한편, 반에서 가장 똑똑한 것으로 묘사되며, 헬가와 아놀드 간의 연인 관계 묘사가 있듯, 피비의 경우에는 제럴드와 엮이는 경우가 많다.[10] 성은 헤이어달(Heyerdahl)
  • 스팅키 피터슨
  • 시드
  • 론다
  • 유진 호로위츠
  • 릴라 소여
  • 브레이니

4.4. 주변 인물들

4.5. 극장판 인물들

  • 라솜브라

5. 에피소드

시즌 회차 방영 시작 일자 방영 종료 일자
0 플롯 1996년 7월 10일 (시네마 시청)
1 20 1996년 10월 7일 1997년 2월 12일
2 20 1997년 9월 22일 1998년 2월 5일
3 19 1998년 8월 31일 1998년 12월 21일
4 17 1999년 3월 10일 1999년 12월 11일
5 24 2000년 3월 4일 2004년 6월 8일
헤이 아놀드!: 더 무비 2002년 6월 28일
헤이 아놀드!: 더 정글 무비[12] 2017년 11월 24일

6. 방송국

미국에서는 니켈로디언에서 방영했고, 국내에서는 투니버스, JEI 재능TV에서 방영되었다.

7. 평가

8. 여담

2024년 슈퍼볼 광고

2024년 슈퍼볼에서 파라마운트+와 콜라보한 광고에 등장한 바 있다.

여담으로, 많은 아시아계 캐릭터가 등장한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며, 작중 배경으로 삼은 워싱턴 주의 경우 백인 다음으로 아시아계가 많은 인구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다. 그로 인해 한국계 미국인 캐릭터 역시 존재했다.
[1] 심슨 가족호머 심슨맡았던 역할 배우겸 성우다.[2] 여담으로, 해당 극장판이 티빙을 통해 파라마운트+에 등재되어 있다.[3] 여기서의 묘사는 소프라노스의 토니 소프라노처럼 나온다는 것으로 구상한 듯.[4] 다리아의 경우 비비스와 버트헤드에 대해서는 자기들이 살았던 하이랜드 식수에 우라늄이 섞여 있다는 걸 언급한 걸 빼곤, 그 시절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론, 다리아 데이 등 오프 캐논 캐논 설정에서 언급이 여러 번 되지만 말이다. 반면 파타키 스핀오프 약시 아놀드가 이사를 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헬가가 아놀드를 찾기 위해 도망가는 에피소드도 구상한 바 있었다는 점을 보면, 후자가 연관성을 가지려 한 것으로 보인다.[5] 2번째 극장판에서는 아놀드의 부모가 등장하며, 마지막에 아놀드와 같이 살게 된다.[6] 여담으로, 사진 속 저 장면이 헤이, 아놀드! 2번째 극장판의 마지막 장면이다.[7] 니켈로디언의 3대 대표로 있었던 제럴딘 레이본느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8] 헝가리어로 시냇가나 개울가에 살았던 사람을 뜻한다고.[9] 가상의 대학교지만,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버몬트 주에 있는 베닝턴 칼리지에 다닌다고 언급한 바 있다.[10] 결국 두 번째 극장판에서는 제럴드와 엮이는 데 성공한다.[11] 철자는 Huỳnh이지만, 발음은 '윈'으로 하는 듯.[12] 13년 만에 복귀했지만, 영화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