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0:56:08

헤메라

에레보스뉙스의 자식들
아이테르
빛, 대기
헤메라
카론
뱃사공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4. 관련 문서

1. 개요

헤메라 (Ἡμέρα / Hemera)
낮의 신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등장한 태초의 신 프로토게노이 중 하나로, '밤'에 대비되는 '낮'이 의인화된 여신이다.[1]

로마 신화의 디에스(Dies)와 동일시되었다.

2. 상세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헤메라는 어둠의 남성에레보스와 밤의 여신 뉙스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오르페우스 전승에 따르면 뉙스와 크로노스 사이의 딸이라고도 하며, 그녀 그 자체로 카오스의 딸로도 여겨진다.

밤의 여신과 어둠의 남성 신 사이에서 낮의 여신이 태어난 것이 신기할 따름인데, 밤이 있기에 낮도 있을 수 있고, 어둠이 있기에 빛을 느낄 수 있음을 신화적으로 나타낸 것은 아닐까하는 의문이 들기 마련이다. 해답은 그리스인들이 생각한 밤은 단순히 어두운 것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생명이 태동하는 은밀한 시간으로 보았다는 사실이다. 밤의 여신 뉙스는 가이아처럼 그 자체로도 아이들을 품어내었고 만물의 어머니 여신으로 불렸는데, 제우스마저 두려워했다는 점에서 뉙스의 위대함과 초월적인 힘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두운 밤 가운데 별빛이 비추는 것으로부터 어둠 속의 빛이라는 방향성을 자각하였기에 어둠을 빛보다 위에 두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뉙스와 마찬가지로 헤메라 역시 타르타로스를 거처로 두고 있지만, 밤과 낮이라는 상반된 개념 때문에 모녀가 동시에 같은 곳에 머물지는 못한다.

하지만 위의 이야기는 헤시오도스의 시선에서 바라본 이야기로, 로마의 학자인 히기누스의 『이야기』에서는 카오스 아래의 자식으로 아이테르와 결합하여 가이아(땅), 우라노스(하늘), 탈라사(바다)를 낳았다. 즉, 기존의 신화와는 달리 빛을 상징하는 두 신이 최초의 창조신의 역할을 하고 있다.

불, 물, 땅, 바람의 4원소 중 불에 관련된 태초 신이 없어, 헤메라가 낮의 여신인 점을 착안해 그녀를 불의 태초 신으로 볼 수 있다.

으레 다른 태초 신들이 별다른 활약 없이 자신들의 역할을 티탄들에게 넘겨준 것과 같이, 낮과 빛의 여신(넓게 보면 밝은 하늘)으로서의 역할은 휘페리온테이아의 딸인 새벽의 여신 에오스에게로 넘어갔고 그 다음으로는 헤라의 영역이 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파일:헤메라.jpg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 학산문화사의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남신으로 나오며, 에레보스, 뉙스, 아이테르와 함께 제우스에게 올림포스 12신의 자리를 채우라는 계시를 내린다.

4. 관련 문서


[1] 원래는 일반 명사로 낮을 의미하며 현대 그리스어에서 하루, 낮이라는 뜻을 가진 Μέρα(메라)가 바로 여기서 유래한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