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5:54:06

헌터 브라운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2d62>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2d62><colcolor=#fff> 투수 31 그레이브먼IL-60 · 35 벌랜더 · 41 아리게티 · 43 맥컬러스 Jr.IL-60 · 47 몬테로 · 50 스캇 · 52 B.아브레우 · 53 하비에르IL-15 · 54 콜먼40인 · 55 프레슬리 · 56 블랑코 · 58 브라운 · 59 발데스 · 60 휘틀리40인 · 61 마르티네즈 · 62 소사IL-60 · 63 오르테가IL-60 · 64 스피스40인 · 65 우르퀴디IL-60 · 66 더빈 · 67 무신스키40인 · 68 프랭스40인 · 70 헨리40인 · 71 헤이더 · 72 에르난데스 · 77 가르시아IL-60 · # 머피IL-60 · # 오트40인
포수 17 카라티니 · 18 살라사르40인 · 21 디아스
내야수 2 브레그먼 · 3 페냐 · 11 헨슬리40인 · 15 아마야40인 · 16 케신저40인 · 27 알투베 · 28 싱글턴 · 79 J.아브레우
외야수 6 마이어스 · 10 로퍼피도40인 · 14 듀본 · 20 맥코믹 · 30 터커 · 38 캐비지 · 44 알바레즈 · 89 코로나40인
'''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조 에스파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마르 로페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알렉스 신트론 · 파일:미국 국기.svg 트로이 스니커 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밀러 · 파일:미국 국기.svg 빌 머피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브 클락 ·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페티스 파일:미국 국기.svg 토미 카와무라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하비에르 브라카몬테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슈거랜드 스페이스 카우보이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헌터 브라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2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58번
브룩스 레일리
(2020~2021)
헌터 브라운
(2022~)
현역
}}} ||
파일:애스트로스헌터브라운23.jpg
<colbgcolor=#002d62><colcolor=#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No.58
헌터 브라운
Hunter Brown
본명 헌터 노아 브라운
Hunter Noah Brown
출생 1998년 8월 29일 ([age(1998-08-29)]세)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웨인 주립대학교
신체 188cm / 96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9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6번, HOU)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2~)
계약 1yr / $774,500
연봉 2024 / $774,50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휴스턴 애스트로스
2.1.1. 2022 시즌2.1.2. 2023 시즌2.1.3. 2024 시즌
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성적6. 여담

[clearfix]

1. 개요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애스트로스헌터브라운.webp

2.1.1. 2022 시즌

2022년까지는 팜이 황폐화된 휴스턴 내에서 제레미 페냐 등과 함께 최고의 유망주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며[1] 9월 5일 텍사스 레인저스전에 선발등판해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6이닝 5K 3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해 승리투수가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7경기 20⅓이닝 2승 0패 2홀드 ERA 0.89 22삼진 0피홈런 7볼넷 피안타율 .205 WHIP 1.08.

2.1.2. 2023 시즌

첫 풀타임 시즌 소화의 여파인지 시즌 막판으로 갈수록 성적이 나빠지는 모습을 보이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2.1.3. 2024 시즌

4월은 나오는 경기마다 처참하게 무너지면서 휴스턴 꼴찌에 기여를 하고 있다. 5월 기준 ERA 8.8에 WHIP가 2.2다. 그나마 BABIP이 4할을 넘어가면서 불운도 겹치도 있다고 판단했는지 똑같이 부진한데 마이너로 내려간 J.P. 프랭스와 다르게 일단 강등은 피하고 있다.

특히 4월 11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서 ⅔이닝 9실점을 기록하면서 망해버렸다.

그나마 4월 16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 6이닝 2실점의 호투를 해서 나아지나 싶었지만 이후에는 4~5이닝 2~3실점을 매번 기록 중이다. 잘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죄다 망해버린 휴스턴 선발진 중에서 중간은 가고 있는 어이없는 상황이다.

5월 11일 크리스티안 하비에르가 복귀전에서 1⅓이닝 7실점을 하는 핵실험을 하자 긴급으로 브라운이 롱릴리프로 투입되어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상대로 5이닝 1실점으로 틀어막았다. 5이닝 동안 7개의 삼진을 기록했고 1실점도 뜬금 솔로 홈런이라 어느 정도 나아질 가능성이 보이는 피칭을 보였다.

5월 22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 6이닝 2실점을 기록하면서 호투를 펼쳤다. 그러나 타선이 고작 1점만 뽑고 패배해서 패전투수가 됐다.

5월 28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6이닝 1실점 4피안타 9탈삼진을 기록하면서 호투를 펼쳤다. 개인 통산 한 경기 최다 탈삼진을 경신했다. 한 점 리드 중에 내려왔으나 8회에 라이언 프레슬리가 방화를 저지르면서 팀은 패배하고 ND를 기록했다. 그래도 연속 호투를 하면서 초반의 부진을 털어내고 있다.[2]

3. 피칭 스타일

파일:브라운포심.gif
포심
파일:브라운슬라이더.gif
슬라이더
파일:브라운커브.gif
커브
평균 구속 96.6마일, 최고 구속 99마일의 포심 패스트볼과 평균 구속 83마일의 커브볼, 평균 구속 93.2마일, 최고 구속 96.6마일의 하드 슬라이더[3]를 기반으로 많은 탈삼진을 잡아내는 유형의 파이어볼러. 이외에도 스플리터도 간간히 구사한다.

단점은 멘탈과 커맨드. 제구가 심하게 나쁘다기 보다는 잘 하다가 주자가 나가거나 한번 정타를 맞으면 실투를 던져서 더 맞거나 이상한 투구 패턴이나 볼배합을 보이곤 한다.

한솥밥을 먹었던 에이스 저스틴 벌랜더와 투구폼이 흡사한데, 본인이 직접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한 마디로 구속이 좀 느린 2000년대의 벌랜더를 보는 듯하다.[4][5]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22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022)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헌터 브라운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2 HOU 7 2 0 0 1 20⅓ 0.89 15 0 7 0 22 1.082 438 0.6 0.8
2023 31 11 13 0 0 155⅔ 5.09 157 26 55 9 178 1.362 83 1.8 0.1
MLB 통산
(2시즌)
38 13 13 0 1 176 4.60 172 26 62 9 200 1.330 91 2.4 0.9

6. 여담


[1] 애초에 휴스턴이 주력 선수들은 거의 다 중남미에서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데려오는 경우가 흔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휴스턴이 윈나우를 달리며 픽이 뒤로 밀린 데다가 상위픽 지명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2016년부터는 거의 드물었기도 했다. 물론 상위픽에서 카를로스 코레아, 알렉스 브레그먼, 카일 터커 등을 지명했던 리즈 시절도 있긴 했었지만.[2] 브라운의 24년 부진은 최악의 불운이라는 분석도 있다. BABIP가 4할이 넘고 FIP도 리그 상위권이다. 어린 나이에 경험 쌓기일 수도 있으나 아직 마이너로 강등되지 않는 이유가 있던 것.[3] 참고로 슬라이더의 구속은 제이콥 디그롬도 이긴 2022 시즌 메이저리그 통합 1위이다. 웬만한 고속 커터급의 구속을 자랑한다.[4] 참고로 2000년대 벌랜더는 평속은 브라운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낮았지만 최고 구속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근데 슬라이더 구속만큼은 평속이나 최고 구속이나 브라운 쪽이 압도적으로 빠르다.[5] 여담으로 브라운은 디트로이트 출신인 데다가 벌랜더의 팬으로 자랐다고 한다. 근데 마침 벌랜더와 같은 팀이 되었으니 정말로 성덕이 따로 없는 셈. 물론 다음 해에 벌랜더가 뉴욕 메츠로 떠나버렸는데...... 트레이드 데드라인에 벌랜더가 휴스턴으로 컴백하면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