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8:07:36


1. 개요2. 상세
2.1. 합()2.2. 천문학 용어
3. 그외의 한자

1. 개요

단어 '합'에 대한 설명.

2. 상세

보통 합할 합()자를 사용하며 여러가지 뜻이 있다. 가장 많은 사용례로는 '합치다.'와 '더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2.1. 합()

고전소설 《삼국지연의》와 《수호전》 등에서 장수끼리 일대일 대결을 할때 등장하는 용어로 '1합(一合)'이라하면 창과 칼이 한번 맞부딪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 교차했다가 떨어지는 것을 1합이라고 한다. 50여합을 겨뤘다는 말은, 창칼을 50번 부딪친 것이 아닌 서로 공방을 주고 받다가 떨어지기를 50번 했다는 것이다. 서로의 실력이 대등할 경우 수십 합을 넘어 수백 합이 되도록 결판이 안 나는 경우도 있다. 삼국지연의에서 마초장비가 아침부터 밤까지 수천 합을 겨룬 내용이 있다. 하도 승부가 안 나서 점심 먹고 다시 붙고 중간에 말이 지치는 바람에 말을 바꿔타고 다시 붙고 저녁 먹고 다시 붙다가 밤이 되니 아예 횃불 수십 개를 켜두고 싸우기까지 했다. 이럼에도 승부가 안나자 둘중 하나가 죽어야 끝이 날것을 염려한 유비제갈량의 계책을 사용해 마초를 생포해야 했다.

반면 실력차가 심하게 나면 1합도 못 버티고 죽거나 10합 안에 결판이 난다.

2.2. 천문학 용어

천문학에서는, 지구를 기준으로 하여 한 천체가 다른 천체와 같은 방향의 위치에 오는 시각 또는 그 상태를 합(, conjunction)이라 부른다. 태양계의 행성의 경우, 외행성은 지구-태양-외행성의 순서로 일직선상에 놓일 때 태양과 합을 이루며, 내행성은 지구-내행성-태양 순서의 내합(內合, inferior conjunction)과 지구-태양-내행성의 외합(外合, superior conjunction)으로 구분된다.

3. 그외의 한자

  • 좁을 합()
  • 쪽문 합()
  • 소반 뚜껑 합()
  • 대합 조개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