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9:35:31

함급 분류 기호/대한민국 해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함급 분류 기호
1. 개요2. 전투함 및 전투지원함3. 전투근무지원정4. 관련 자료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울산급, 포항급 같은 개별 함급(ship classes)의 함급명 대신, FF(Frigate), PCC(Patrol Combat Corvette) 등의 함종(ship types)을 분류하기 위한 영문약호로 함종을 구분한다. 함종을 구분하기 위한 영문약호를 사용하는 것 자체는 미 해군과 같으나,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영문약호에 의해 표기되는 함종명이 개별 함급의 함급명을 관용적으로 대신하는 관습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별 함급의 함급명은 주로 해군 밖에서 사용하는 명칭들이며, 해군 내에서는 보통 대민홍보용의 펫네임에 가까운 용도로서만 쓰이는 편이다.[1]

대한민국 해군에서 이렇게 개별 함급의 함급명을 해군이 공식적으로 지정한 명칭들임에도 해군 내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영문약호에 의해 표기되는 함종명만을 사용하는 관습이 있는 것은, 오랜 세월 동안 해군이 보유한 함선들의 함급이 다양하지 못했던 관계로 하나의 함종에는 대체로 하나의 함급만이 존재했었기 때문이다. 물론 오늘날의 대한민국 해군은 이와는 완전히 달라져서 여러 세분화된 분류명을 통해 다양화된 개별 함급을 분류해야 할 필요성이 생길 정도로 보유한 함선들의 함급이 다앙해지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과거부터 이어져 온 관습은 해군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주력함의 경우에는 대개 해군이 공식적으로 함급명을 지정하지만, 주력함이 아닌 보조함정의 경우에는 PKMR의 사례처럼 아예 공식적인 함급명이 없는 경우도 종종 나타난다.

대부분의 영문약호는 미 해군함급 분류 기호 시스템에서 쓰이는 영문약호와 유사하나[2], PCC, PKM(Patrol Killer Medium), LSF(Landing Ship Fast) 등 한국 해군 고유의 영문약호도 있다.

2. 전투함 및 전투지원함

구분 영문약호 풀이
잠수함 SSMR Midget Submarine
SS Submarine
호위구축함(DE) Destroyer Escort
고속수송함(APD) Transport Destroyer (High-speed Transport)
구축함 DDR Destroyer
DDH Destroyer Helicopter
DDG Destroyer Guided-missile
호위함 FF Frigate
FFG Frigate Guided-missile
초계함(PCC) Patrol Combat Corvette
유도탄 고속함 PGMR Patrol Gunboat Missile
PKG Patrol Killer Guided-missile
고속정 어뢰정(PT)R Motor Torpedo Boat
소형 고속정R PB: Patrol Boat, SB: Speed Boat, FB: Fast Boat, FB(B): Fast Boat (B), PK: Patrol Killer
중형 고속정 PKMMR: Patrol Killer Medium Missile, CPICR: Coastal Patrol and Interdiction Craft, PKM: Patrol Killer Medium, PKMR: Patrol Killer Medium Rocket
경비함정 PCSR Patrol Craft Sweeper
PGR Patrol Gunboat
PCR Submarine Chaser
PCE/MSFR Patrol Craft Escort/Fleet Minesweeper (Steel Hull)
PCEC/PCER Patrol Craft Escort Control
PFR Patrol Frigate
상륙함 LSMR, LSMRR LSM: Landing Ship Medium, LSMR: Landing Ship Medium Rocket
LST Landing Ship Tank
LPH Landing Transport Helicopter
상륙정 LCIR Landing Craft Infantry
LSSLR LSSL: Landing Ship Support Large
LSF Landing Ship Fast
기뢰전함 JMS/AMCR JMS: Japanese Minesweeper/AMC: Coastal minesweeper
YMS/AMSR YMS: Auxiliary Motor Minesweeper/AMS: Motor minesweeper
AMS/MSC(O)R AMS/MSC(O): Minesweeper Coastal (Old)
MSCR Minesweeper Coastal
MHC Mine Hunter Coastal
MSH Mine Sweeper Hunter
MLS MLS: Mine Layer Ship
지원함 예인함(ATA)R Ocean Tug
수리함(ARL)R Repair Ship
구조함 ARSR: Salvage Ship, ATS: Salvage and Rescue Ship
잠수함구조함(ASR) Submarine Rescue Ship
유조함R YO: Fuel Oil Barge, AO: Oiler, AOG: Gasoline Tanker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
잠수정모함(ASL) Midget-submarine Tender
해양정보함(AGS) Surveying Ship
훈련함(ATH) Training Ship Helicopter
수송함(AKL)R Light Cargo Ship
군수지원정(LCU) LCU: Landing Craft Utility/, LCU/L: LCU/Minelayer
기타 GBR: Gunboat, MSBR: Minesweeping Boat
※ 윗첨자R: 퇴역 함정

3. 전투근무지원정

4. 관련 자료



[1] 사실 이렇게 조직 내에서 쓰이는 명칭과 대민홍보용 명칭이 서로 괴리되는 상황은 일본 자위대 등 타국의 군사조직에서도 종종 나타나는 것이기도 하다.[2] 예전 미 해군순양함도 C(Cruiser)를 쓰고, 구축함도 D(Destroyer)를 쓰는 등 한 글자 코드를 썼다. 순양함을 자세하게 나눌 필요가 있어 코드가 확장 i.e. 경순양함(軽巡洋艦): CL(Cruiser-순양함, Light-가벼운)되었다. 그렇게 구별할 이유가 없었던 함정은 그냥 주 역할을 두 번 써 BB(Battleship-전함) 같은 코드가 되었다. 구축함(DD), 호위함(FF), 잠수함(SS)도 같은 이유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