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9:02:55

한중일 용성전

파일:baduk_test3.png 폐지된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국제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한국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단체전 퓨처스리그
일본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중국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대만 종합 기전 왕좌전
아시안 게임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기타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

  • 주관: 일본기원
  • 주최: 일본 바둑장기채널
  • 상금: 우승 500만 엔 / 준우승 150만 엔 / 3위 80만 엔
  • 방식: 한국, 중국, 일본 용성전 우승자 3인 초청, 1명은 추첨으로 역시드 배정. 모든 판 단판 승부. 최종국 승자가 우승, 최종국 패자가 준우승, 우선 탈락자 3위
  • 시간: 초읽기 30초 1회, 1분 생각시간 10회

1. 개요2. 상세3. 대회 진행
3.1. 2019년3.2. 2021년
4. 역대 대회

1. 개요

일본에서 개최하는 국제 바둑 기전.

2. 상세

한중일 3국에서 개최되는 용성전 우승자들이 모여서 순위를 가린다. 그전까지는 중국/일본 용성전 우승자 두 명이 대결했지만, 2018년부터 한국에서도 용성전이 개최되면서 범위를 넓혔다. 대회 진행은 하세배와, 생각 시간은 TV아시아와 유사한 방식으로 치러진다.

3. 대회 진행

3.1. 2019년

4월 11 ~ 13일 일본에서 첫 대회가 열렸다. 각국 대표는 한국 김지석, 중국 커제, 일본 이치리키 료.

첫날 이치리키가 커제를 꺾으며 결승 진출, 이틀째는 커제가 김지석을 이기고 역시 결승. 마지막 날에 커제가 이치리키를 제압하며 초대 우승자가 되었다.

자세한 대진 결과는 아래 표 참고.
1R1R 승패유무2R결승
이치리키 료(日)승리(2R 생략)이치리키 료(日)
커제(中)패배커제커제
(1R 생략)김지석

3.2. 2021년

3월 4일 두 번째 대회가 개막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연기되었다. 그런데 결국 코로나 감염의 장기화로 인해 2021년도로 밀려나버렸다. 대표는 한국 박정환, 중국 장웨이제, 일본 이치리키 료.

4. 역대 대회

회차 연도 우승 준우승 3위
1 2019년 커제 九단 이치리키 료 八단 김지석 九단
2 2021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