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1:42:52

한일가왕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주요 예능 프로그램 편성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1px"
16시 ~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16:45 18:15)
알토란
(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17:00)
복면가왕(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18:05)
런닝맨(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18:15)
19시 ~
찐팬구역
하입보이스카웃
(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19:00 20:30)
(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 19:30)
산따라 물따라 딴따라(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19:50)
뭉쳐야 찬다 3(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19:10)
백패커 2(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 19:40)
21시 ~
톡파원 25시(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0:50)
개는 훌륭하다(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0:55)
푹 쉬면 다행이야(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21:00)
불타는 장미단(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10)
탐정들의 영업비밀(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30)
하이엔드 소금쟁이(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0:55)
신발 벗고 돌싱포맨(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21:00)
웰컴 투 장미골(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10)
2장1절(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0:55)
덩치 서바이벌-먹찌빠(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21:00)
다시 갈 지도(파일:채널S 로고.svg파일:채널S 로고 화이트.svg / 21:20)
아빠는 꽃중년(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30)
I-LAND2 : N/a(파일:엠넷 로고.svg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 21:30)
My name is 가브리엘(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0:50)
전현무계획(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10)
선 넘은 패밀리(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30)
미운 우리 새끼(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21:05)
송스틸러(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21:10)
엄마, 단둘이 여행 갈래?(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1:10)
22시 ~
조선의 사랑꾼(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조선의 남매들 미스&미스터트롯(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한일톱텐쇼(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2:00)
신들린 연애(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22:20)
걸스 온 파이어(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2:30)
아빠하고 나하고(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더 시즌즈(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2:00)
개그콘서트(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2:35)
23시 ~
나 혼자 산다(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23:10)
더 리슨: 너와 함께한 시간(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23:20)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9em; padding:10px"
▶ 50-55분경에 방영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시간대로 간주하여 분류함.
▶ 같은 시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함(한 채널에 2개의 프로그램 존재시 앞선 프로그램 우선).
▶ 틀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자 아래의 항목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위 편성표에서 제외함.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fff {{{#!folding [ 제외 항목과 프로그램 보기 ]
▶ 주요 방송사(지상파, 종편, tvN, ENA)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중 개별 문서가 없는 예능.
▶ 단순 정보 전달, 연예 가십 보도, 강연, 시사 토론.
▶ 위 표에 기록된 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편성된 예능.
음악 방송 중 음악 차트쇼 등 단순 공연 프로그램은 별개의 틀로 분류.

}}}}}}}}}
{{{#!folding [ 방영 예정 ]
{{{#!folding [ 관련 문서 ]
}}}}}} ||
}}}}}}}}} ||


[[MBN|{{{#ffffff MBN}}}]] 예능
한일가왕전 (2024)
韓日歌王戰 · 日韓歌王戦
파일:한일가왕전 포스터.jpg
<colbgcolor=#900000><colcolor=#ffffff>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밤 10시
방송 기간 2024년 4월 2일 ~ 2024년 5월 7일
방송 횟수 6부작[1]
채널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MBN

[[일본|]][[틀:국기|]][[틀:국기|]] WOWOW
제작사 크레아스튜디오
제작진 <colbgcolor=#900000><colcolor=#ffffff> 연출 서혜진, 전수경, 김태철, 이혜진, 김지은, 나현영, 안세연, 김민선, 이상현, 김대진, 김경민, 최낙규, 정유호, 윤아라, 김다현, 정유진, 조윤진, 김희선, 문혜영, 고현정, 박세흔, 박지혜, 이유진, 엄익현, 지명준, 김어진, 금용선, 정채연, 이민해
작가 노윤, 김선명, 전수경, 김세원, 김이슬, 윤다영, 구은혜, 김경서, 정예나, 신혜원, 정호원, 박성진, 강혜린
진행 신동엽
출연 전유진, 마이진, 김다현, , 박혜신, 마리아, 별사랑, 후쿠다 미라이, 우타고코로 리에, 아즈마 아키, 마코토, 스미다 아이코, 나츠코, 카노우 미유
스트리밍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 |

[[일본|]][[틀:국기|]][[틀:국기|]] ABEMA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기획의도3. 출연자
3.1. 진행자3.2. 마스터(심사위원)3.3. 참가자
4. 시청률5. 방송 내용6. 평가7. 여담
7.1. 방영 전7.2. 방영 중7.3. 종영 후7.4. 편파판정 논란

[clearfix]

1. 개요

2024년 4월 2일부터 5월 7일까지 방영되는 MBN의 프로그램이다.

현역가왕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발된 TOP7과 TROT GIRLS JAPAN에서 일본 국가대표로 선발된 TOP7이 대결한다.

일본에서는 일한가왕전([ruby(日韓歌王戦, ruby=にっかんかおうせん)])이라고 표기한다.

대한민국 예능 및 가요 프로그램 최초로 대한민국과 일본의 현역 가수들이 서로의 가창 실력으로 승부를 하게 됨과 동시에 한일 가수들간의 친목과 우정을 도모하는 장을 마련하는 취지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2. 기획의도

국민의 손으로 탄생한 한국과 일본의 트롯 대표 Top7이 자국 문화의 명예를 걸고 펼치는 음악 예능 프로그램 - MBN
한국과 일본의 명예를 걸고 대표로 출전한 TOP7이 불꽃튀는 트롯 명승부를 펼친다. 한국의 현역가왕과 일본의 트롯걸 총 열네 명의 트롯 전사들이 감동과 환희의 고품격 음악 대전을 선사한다 - 왓챠
파일:한일가왕전 기획의도.jpg
파일:한일가왕전 로고 화이트.png 공식 홈페이지

3. 출연자

3.1. 진행자

3.2. 마스터(심사위원)

3.3. 참가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일가왕전/참가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시청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9000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900000><rowcolor=#ffffff><|2><width=5%> 회차 ||<|2><width=20%> 방송일 ||<|2><width=25%> 내용 ||<-2> 시청률(%) ||
<rowcolor=#ffffff> 전국 수도권
<colcolor=#000000,#ffffff> 1회 2024.04.02. 자체탐색전1 8.893 8.041
11.931 10.358
10.711 8.955
2회 2024.04.09. 자체탐색전2
1대1 라이벌전 1
7.449 5.713
10.917 9.412
9.824 8.981
3회 2024.04.16. 1대1 라이벌전 2 6.857 5.647
10.238 8.820
4회 2024.04.23. 전반전:한 곡 대결
후반전:숙적 대결
5.168 4.476
9.285 7.908
8.634 7.709
5회 2024.04.30. 1:1 현장 지목전 7.211 5.873
9.951 8.328
6회 2024.05.07. 최종결과 발표
한일가왕전 갈라쇼
6.831 6.530
8.331 6.938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5. 방송 내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일가왕전/방송 내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왓챠=tR2eDzj, 왓챠_user=4.0, ## 왓챠_highlight=display,
네이버시리즈온=621382, 네이버시리즈온_heart=1,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7. 여담

7.1. 방영 전

  • 1945년 광복 79년,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59년,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 26년 그리고 2011년 MBN이 개국한지 13년이 된 이래로 한일 가수들이 음악 대항전으로 경연하는 사상 최초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
  • 본래 3월 26일 첫방송 예정이었으나, TROT GIRLS JAPAN을 편성했던 일본 방송국 WOWOWABEMA에도 편성이 확정되면서 방영 날짜가 한 주 미뤄졌다. ABEMA에는 1주일 뒤인 4월 9일부터 매주 업로드되고, WOWOW에서는 WOWOW 라이브 채널을 통해 스페셜 프리뷰 방송을 포함하여 2주일 뒤인 4월 16일부터 3회씩 묶어 2주 동안 방송된다.
  • "한일 트롯 국가대표 TOP7 대결", "한일 트롯 여전사들의 맞대결"이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일본측은 마스터 중에도 트롯이나 엔카 장르를 하는 사람이 없고 출전자 중에서도 아즈마 아키 1명만 엔카 장르라서 양측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8] 이러한 불균형은 이미 TROT GIRLS JAPAN의 방송 때부터 우려됐던 일이다.
  • 실제로도 일본 팀의 선곡은 트로트나 엔카보다 발라드, 팝, 록 등이 훨씬 많아서 "한일 트롯 국가대표 TOP7 대결", "한일 트롯 여전사들의 맞대결"이라는 문구와는 별로 부합되지 않는다.
  • TROT GIRLS JAPAN 스레드에서도 언급되었듯이, 한국 팀은 인지도 있는 현역 실력자들의 경연 프로그램인 현역가왕에서 선발된 멤버인데 비해 일본 팀은 신인을 발굴하는 프로그램인 불타는 트롯맨의 포맷을 구입하여 만든 TROT GIRLS JAPAN에서 선발된 멤버이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균형이 어긋나 있다.
  • 이런 불균형을 억지로 맞추려고 한 때문인지 한국 팀의 소개 멘트는 "제2의 계은숙, 명품 디바"(박혜신), "사이다 보이스"(마이진), "10대 파워, 한국 황금 막내"(김다현), "R&B 트롯 여왕"(린), "무결점 보컬, 감성 장인"(별사랑), "K-트롯 대한의 딸"(마리아), "한국 1대 우승자, 트롯 뉴진스"(전유진)으로 대체로 한국 대중들의 평가와 부합하여 무난한 편인데 비해, 일본 팀의 소개 멘트는 "숏폼의 여왕"(카노우 미유), "일본 아이유, 국민 여동생"(스미다 아이코), "하늘이 내린 천재, 엔카 신동"(아즈마 아키), "OST의 여왕, 30년차 노래 고수"(우타고코로 리에), "올라운더 유망주"(마코토), "일본판 언더독의 신화, 팔색조"(나츠코), "일본 1대 우승자, 국민 첫사랑"(후쿠다 미라이)로 대체로 일본 대중들의 평가에 비해 과장되고 미화되어 있다.

7.2. 방영 중

  • 2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기획부터 제작까지 무려 2년의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 디시인사이드MBN 현역가왕 한일전 마이너 갤러리(#)가 있다. 여자 트로트 마이너 갤러리에서도 언급이 많은 편이다.
  • 한일 양팀의 마스터 가운데 마츠자카 시게루, 료가 하루히, Night Tempo, 대성TROT GIRLS JAPAN의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했다.
  • 한국 팀의 퍼스널 컬러는 강렬한 느낌의 빨간색, 일본 팀의 퍼스널 컬러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파란색이다.[9] 축구 한일전의 배색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 또한 한국 대표 마스터 대성과 일본 대표 마스터 강남은 한국어와 일본어가 모두 유창하여 다른 마스터들에게 통역을 해주는 역할로 나오는데 이들의 만담도 볼거리이다.
  • 이 프로그램의 전작인 현역가왕에서 등장했던 미션인 자체평가전 (1~2회), 1:1 라이벌전 (2~3회), 한 곡 대결 (4회), 1:1 현장 지목전 (5회)이 본편에서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 참가자들의 연령대의 경우에는 한국팀은 1980년대 출생자 3명 (린, 박혜신, 마이진), 1990년대 출생자 딱 한명 (별사랑), 2000년대 출생자 3명 (마리아, 전유진, 김다현)이 있는 반면에 일본팀은 1980년대 출생자가 단 한명도 없고 1990년대 출생자가 무려 네명인것[10]과 동시에 유일하게 1970년대 출생자 (우타고코로 리에)가 존재한다. 그리고 막내라인의 두명이라고 할수있는 스미다 아이코와 아즈마 아키는 각각 2007년 9월과 10월생이다.
  • 2024년 4월 29일에 각 인터넷 매체들의 보도로 인해서 기존 5회에서 1화가 연장된 6회로 종영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기사 보기
  • n.CH엔터테인먼트에서 TROT GIRLS JAPAN TOP7의 매니지먼트를 맡기로 했다. 기사

7.3. 종영 후

  • 현역가왕이 종료한 때도 스핀오프 프로그램인 현역가왕 in TOKYO가 있었듯이 이 작품 역시 '한일톱텐쇼'라는 스핀오프 프로그램의 제작이 확정되었다. 출처 5월 28일 화요일 밤 10시에 첫방송 예정이며 한일가왕전에 출연했던 14인 전원이 출연하게 되며 이들이 한일양국의 명곡들을 소개해주면시 다시 한번 노래대결을 펼친다는 컨셉으로 진행한다. MC는 한국측 연예인 판정단으로 나왔던 대성과 일본측 연예인 판정단으로 출연했던 강남의 2인체제로 진행된다.
  • 5월 8일 12시에 한일가왕전 베스트 앨범이 음원으로 발매되었는데 총 9곡 수록에 타이틀곡은 전유진의 사랑은 생명의 꽃으로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린의 섬마을 선생님과 북녘의 숙소에서, 아즈마 아키의 오쿠히다 모정과 돌아와요 부산항에, 우타고코로 리에의 어릿광대의 소네트, 전유진의 그리움만 쌓이네와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시간의 흐름에 몸을 맡겨 까지 수록되었다.[11]
  • 5월 13일에 방영한 불타는 장미단 57회의 게스트로 한국팀 TOP 7중에서 5명인 마이진, 마리아, 별사랑, 전유진, 김다현과 일본인 참가자인 스미다 아이코가 출연했다.
  • 5월 13일 일본 산케이 신문에서 이 프로그램에 대하여 심도깊게 다루었으며 특히 자국의 무명가수인 우타고코로 리에에 관해서도 중심적으로 소개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언론사인 매일경제에서도 해당기사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기사 보기
  • 5월 18일에 속풀이쇼 동치미 600회 특집의 게스트로 마리아와 별사랑이 출연했으며 현역가왕부터 한일가왕전을 준비했던 각종 에피소드를 풀어나갔다. 또한 이들과 함께 현역가왕의 출연자였던 김나희, 한봄, 김양까지 총 5명이 출연하였다.
  • 6월 30일에는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츠이홀에서 열리는 트롯걸즈 재팬의 TOP7이 펼치는 'TROT GIRLS JAPAN 2024' 무대에서 한국의 TOP7중 한명인 김다현이 단독으로 스페셜 게스트로 초대받았다. 이번 콘서트에서 김다현은 한일가왕전의 MVP 자격으로 무대에 오르게 되었으며 일본 팬들에게 국악 트롯의 진수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며 MVP 특전으로 획득한 일본진출 타이틀곡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6월 4일 크레아 스튜디오의 서혜진 대표와의 인터뷰에서 본 프로그램의 일본 버전인 일한가왕전을 제작한다고 밝혔으며 7월중으로 방영 플랫폼 발표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역가왕의 남자편 방송 역시 방영 플랫폼이 중요해 일본 공중파와 논의 중"이라면서 앞으로의 계획을 전했다.

7.4. 편파판정 논란

  • 우타고코로 리에의 어릿광대의 소네트 등 다른 경연의 납득하기 어려운 결과들도 결국 한국 대규모 팬덤의 시청률 확보라는 측면이 반영됐다고 할 수 있다. 한일가왕전 같은 도전적인 포맷의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사업모델을 유지하려면 초반에는 인기 가수 팬덤에 약간 편승하여 프로그램을 지속해나갈 원동력을 빌리는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
  • 표면적인 경연 결과가 어떻든 시청자들은 결국 한일가왕전이 아니었다면 접할 기회조차 없었을 무명 가수를 알게되었고, 출연자들은 경연 결과와 무관하게 자신의 실력을 시청자들에게 어필하여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차기 프로그램 등 추가적인 방송 출연 가능성을 확보하고, 작가는 장기적 관점에서 한일가왕전 포맷 자체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 현재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 프로그램의 3대 불공정 공연으로 김다현과 스미다 아이코의 1차전 (어부의 노래 VS 긴기라기니), 김다현과 후쿠다 미라이의 3차전 (츠가루 해협의 겨울풍경 VS 미 사일런트), 전유진과 우타고코로 리에의 3차전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VS 어릿광대의 소네트)을 꼽고있다.[12]
  • 한일가왕전 경연 결과의 대부분은 연예인 판정단과 국민 판정단의 투표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김다현스미다 아이코의 1차전 (어부의 노래 VS 긴기라기니), 전유진우타고코로 리에의 3차전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VS 어릿광대의 소네트)같은 경우는 연예인 판정단과 국민 판정단의 투표가 서로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


[1] 기존 5부작에서 한회가 더 연장되는것이 확정되었다.[2] 2차전, 3차전.[3] TROT GIRLS JAPAN 프로듀서[4] 1970년도에 데뷔한 일본의 국민가수이다.[5] 1976년 2월 2일 아이치현 나고야 출신의 유명 뮤지컬 배우로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의 배우이다. 또한 일본의 축구선수인 스즈키 아야키의 부인이기도 하다.[6] 일본인이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으로 귀화했다.[7] 2차전, 3차전.[8] 이는 마치 "한일 씨름 대결"이라고 해놓고 정작 일본 측은 씨름이나 스모 경력자가 1명뿐인데 대결을 하는 거나 마찬가지다.[9] 아즈마 아키와 후쿠다 미라이의 경우에는 옅은 하늘색을 착용했으며 대부분 청색을 바탕으로 해서 보라색 반짝이 장식이 부착되었다.[10] 나츠코 (1991년), 마코토 (1992년), 후쿠다 미라이 (1994년), 카노우 미유 (1999년)[11] 이쯤되면 전유진만 무려 4곡이 수록되는 셈인데 팬들 사이에서는 방송에서 엄청난 인기와 화제성을 낳은 스미다 아이코의 애염교와 긴기라기니 사리게나쿠, 김다현의 츠가루 해협의 겨울풍경은 수록되지 않아서 아쉬움을 샀다. 단, 일본곡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작권이 까다로운 관계상 협의가 잘 안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2] 스미다의 긴기라기니는 말할 필요도 없으며 후쿠다가 부른 미 사일런트 역시 야마구치 모모에의 최고 명곡중 하나였으나 김다현의 예상치 못한 일본곡인 츠가루 해협의 겨울풍경 이라는 선곡으로 역습을 당했으며 결국 일본 1위로 왔으면서 어느 누구도 이기지 못해서 끝내 눈물을 흘렸다. 그리고 30년차 초고수인 우타고코로 리에가 부른 감동적인 노래인 어릿광대의 소네트 역시 관객들이 감동할 정도로 압도적이어서 리에의 승리를 예상했으나 막판 2점차이로 10대인 전유진이 50세 연륜의 여가수를 꺾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