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22:55:35

한국재갈매기

한국재갈매기(몽골재갈매기)
Mongolian gull
학명 Larus vegae mongolicus
Palmen, 188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도요목(Charadriiformes)
아목 갈매기아목(Lari)
갈매기과(Laridae)
아과 갈매기아과(Larinae)
갈매기속(Larus)
재갈매기(L. vegae)
아종 한국재갈매기(L. v. mongolicus)


1. 개요2. 생김새3. 생태4. 기타

[clearfix]

1. 개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일종이며 재갈매기의 아종이다.

2. 생김새

재갈매기와 매우 유사하게 생겨서 구별하기 어렵다. 재갈매기의 겨울깃은 머리의 반점이 매우 많은 반면 한국재갈매기의 겨울깃은 뒷목에만 반점이 있어 비교적 깨끗하다. 재갈매기에 비해 부리가 길고 두상이 완만하며 재갈매기보다 몸길이가 길어보이는것이 특징이다. 등색은 옅은 회색으로 다리는 옅은 분홍색을 띈다 (여름깃이 되면 다리의 색이 노랑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어 줄무늬노랑발갈매기와 헷갈릴수도 있다.) 재갈매기와 쉽게 구별하는 방법은 바로 날개깃 패턴을 보는것이다. 한국재갈매기는 날개를 펼쳤을 경우 첫째날개깃의 검은띠의 부분이 7장 ~ 8장이 있는경우가 흔하며 최소 6장, 많으면 9장이다 (재갈매기는 검은띠의 부분은 대부분 6장이며 드물게 5장 또는 7장이다) 또 한국재갈매기의 검은 점은 간혹 날개덮깃까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도 한국재갈매기의 특징이다. 이와 같이 갈매기의 특징을 이해하면 재갈매기와 한국재갈매기의 구분을 어렵지 않게 할수있다. 자세한 동정법은 이 링크를 참고 하도록하자.. 한국재갈매기의 특징

3. 생태

몽골, 중국, 시베리아에서 번식을 한다. 먹이는 주로 물고기이지만 다른 새가 잡은 것을 약탈 할 때도 있다. 무인도 바위 절벽에 둥지를 틀며, 집단 번식을 한다. 그래서 같은 종의 다른 새끼가 들어오면 쫓아낸다. 한국에서는 흔한 겨울 철새이며 서해안에서 드물게 번식하는 텃새이기도 하다. 남동유수지는 저어새가 번식하는 장소로 유명하지만 내륙에서 유일하게 한국재갈매기가 번식을 하는 장소 이기도하다. 주로 하천, 하구, 항구, 습지에서 월동하며 다른 갈매기들과 달리 내륙을 선호한다. 동해안보다는 서해안에서 더 자주 보이는 갈매기 종류다.

4. 기타

한 때 Yellow-legged gull의 아종으로 보았으나 현재는 재갈매기의 아종으로 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