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7:42:55

하이잭 커스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38181> 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에우고/AEUG.png A.E.U.G
건담 Mk-II 릭 디아스 Z 건담 백식
메타스 네모 짐 II 짐 III
겔구그 디제TVA 짐 캐논 II극장판 짐 커스텀극장판
파일:Titans_logo.jpgTITANS
건담 Mk-II 하이잭/마린 하이잭 하이잭 커스텀 가르발디 베타
마라사이 바잠 앗시마 바운드 독
갸프랑 가브스레이 바이아란 멧사라
보리노크 사만 함브라비 파라스 아테네 The O
사이코 건담 사이코 건담 Mk-II 짐 캐논 짐 스나이퍼 커스텀
건캐논 중장형 건탱크II 구프 비행 시험형 자쿠 강행 정찰형
자쿠 캐논 자쿠 탱크 짐 쿠엘극장판 어드밴스드 헤이즐극장판
파일:하만시절네오지온.png AXIS
큐베레이 가자C 가자E극장판 드라체극장판
TVA 윗첨자: TVA에서만 등장, 극장판 미등장
극장판 윗첨자: 극장판 등장
}}}}}}}}}}}}


파일:기동전사 건담 UC.png
U.C. 0096. 라플라스 사변 등장 메카닉

[ 민간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f7f2ca> 파일:비스트 재단 로고.png 비스트 재단 ||
유니콘 건담 풀아머 유니콘 건담 실버 불릿 토로하치

RMS-106CS 하이잭 커스텀
ハイザック・カスタム | Hizack Custom
파일:RMS-106CS 하이잭 커스텀 설정화 전면.png 파일:RMS-106CS 하이잭 커스텀 UC 설정화.png
<rowcolor=#FFFFFF> Z Ver. UC 소설판 V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9dac75><colcolor=#FFFFFF>출연작기동전사 Z건담(+극장판 3편), 기동전사 건담 UC(소설)
모델번호RMS-106CS
코드네임하이잭 커스텀(Hi-Zack Custom)
유닛타입시작형 강습용 모빌슈트
제조지구연방군
소속티탄즈, 지온 공화국
조종몸체 안의 전주위 화면 및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크기전고 19.9m / 두부고 18.0m
중량기본 35.6t / 최대 60.7t
장갑재질티타늄 합금, 건다리움 합금(일부)
동력장치미노스키프 타입 초밀도 핵융합로, 출력 1,480kW
추진로켓 스러스터 18500 kg x 4 / 버니어 추진기 및 아포지 모터 10개
가속 성능최대 추력 가속도 1.09G
기타장치센서 범위 8900M
무장빔 사벨 / 빔 런처(최대 출력 2.1MW) / 기타 하이잭용 무장 일부
디자인후지타 카즈미
}}}}}}}}} ||
1. 개요2. 작중에서의 활약3. A.O.Z RE-BOOT4. 모형화
4.1. 건프라
4.1.1. HG
5. 기타6. 게임에서의 하이잭 커스텀
6.1.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1. 개요

하이잭을 개량하여 제작된 시작형 강습용 모빌슈트다. 제너레이터를 고출력의 것으로 교체하여 기존 하이잭 대비 52kW더 높은 출력을 가지게 되었다. 오른쪽 어깨에 대형 실드를 장비하고 일부 부위에 한해 건다리움 합금을 적용하하여 방어력이 조금이나마 상승했고, 양팔에 노출된 동력 파이프를 제거하고 백팩 및 다리의 스러스터 출력을 강화하고 노출된 편향판을 내장화하여 기동성과 은밀성도 향상되었다. 실전에서는 이같은 장점을 살려 최대 출력 2.1MW의 빔 런처를 이용한 저격 및 강습 임무를 주로 수행했으며 나쁘지 않은 전과를 기록했으나 마라사이바잠등 고성능의 양산기들이 배치되면서 소수만 생산된 채 종전을 맞이했다.

지온 공화국군에도 일부가 인도되어 사관기 등으로 쓰였다고 하는데, 연방제 MS임에도 불구하고 자쿠 II에 가까운 외형과 나쁘지 않은 성능 덕분에 공화국군 내에서는 의외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2. 작중에서의 활약

기동전사 Z건담 39화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등장한다. 2대가 등장하여 사이드2의 콜로니 13번지 주역에서 에우고의 모빌슈트 9기를 저격으로 격추했으며 대망의 10번째 기체를 격추하려 하지만 하필이면 그 10번째 기체는 크와트로 바지나가 조종하는 백식. 크와트로 대위는 이 하이잭 커스텀들을 발견한 뒤 '숨은 하이잭'이라고 칭했으며 이것이 그대로 기체의 별명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엑스트라들 치고는 꽤나 선전하지만 엑스트라의 운명을 벗어나지는 못하고 격추된다. 극장판 3편 '별의 고동은 사랑'에서는 재단의 문 공역을 마라사이와 함께 경비중인 모습이 등장한다.

기동전사 건담 UC 소설에서는 지온 공화국군이 소수를 운용한다.

3. A.O.Z RE-BOOT

파일:RMS-106CS 하이잭 커스텀 AOZ RE-BOOT 설정화1.png 파일:RMS-106CS 하이잭 커스텀 AOZ RE-BOOT 설정화2.png
<rowcolor=white> 티탄즈 컬러 티탄즈 실전 배치 컬러
A.O.Z RE-BOOT에서의 설정.

숨겨진 하이잭이라는 이명을 가진 기체로, 빔 런처를 장비한 저격 사양의 하이잭. 하이잭의 결점인 제네레이터의 강화 및 추력의 향상에 의해 고기동 기체로서의 측면도 가지고 있다.

추력 향상형 백팩으로 교환한 것 이외에도 센서류의 개량, 전신 각부의 외장 소재 및 형상도 변경되어 있으며, 콕핏 부분이나 어깨, 대퇴부 등의 장갑 형상, 완부 동력 파이프의 비 노출, 등과 다리에 위치했던 주추진기의 편향판 제거 등, 선행 양산형의 그것과 공통된 형상을 가진다. 이것은 하이잭의 생산이 본격화되었을 때, 생산성을 올리기 위해 선행 양산형에서 생략된 부분을 성능 향상을 위해 다시 되돌린 형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하이잭에서 커스텀화된 기체 이외에도 선행 양산형을 직접 커스텀한 예도 존재했다.

MS의 운용상, 단독 혹은 소수로 수행하는 스나이퍼 임무에는 고성능 커스텀기가 적합했으며, 저격 사양과 고기동 사양이라는 두가지의 성능 경향의 상승효과에 의해 본 기체는 고도의 성능을 획득하기에 이르렀다. 고기동 기체는 뛰어난 파일럿이 탑승하는 전용기로서 운용되는 예가 많아 이 하이잭 커스텀도 그런 기체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장비는 짐 타입과 호환이 가능하며, RGM-79SR 짐 스나이퍼 III도 같은 타입의 트랜스팩을 장비하여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성능향상기는 1년전쟁 때부터 운용되어 왔으며 지온 공국군에서는 MS-06R-1A 고기동형 자쿠 R-1A 타입, 연방군에서는 RGM-79SC 짐 스나이퍼 커스텀 등이 존재했다. 이들 모두 생산수가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스 기체로서의 활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자쿠 R-1A타입의 각부구조가 하이잭의 각부 설계에 반영되는 등, 자쿠의 후계기로서도 연관이 깊다.

파일:하이잭 트랜스팩.jpg
트랜스팩 시스템에 의해 백팩과 몇가지 장비를 환장하여 하이잭 캐논아이잭 사양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4. 모형화

4.1. 건프라

4.1.1. HG

파일:HGUC 하이잭 커스텀 (A.O.Z RE-BOOT판) 시제품 전시사진.jpg
<colbgcolor=#6b7567><colcolor=#fff> 상품구분
브랜드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미정
가격 미정
링크

<colbgcolor=#6b756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2024년 3월 22일 개최된 HYPER PLAMO Fes.2024에서 시제품 공개과 함께 상품화 확정 소식이 전해졌다. 다른 A.O.Z 시리즈 HG 키트들이 그렇듯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된다.

HGUC 하비 하이잭 (A.O.Z RE-BOOT판)을 기반으로 컬러링 변경과 하이잭 커스텀용 신규 조형 파츠를 추가해 상품화되었다.

5. 기타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형식 번호가 공개되지 않아서 RMS-106C, RMS-106J 등 다양한 추측성 형식 번호가 난립했으나 결국 후지타 카즈미가 그린 디자인 원고에 기재된 RMS-106CS로 통일되었다.

후지타 카즈미는 디자인 원고에 '모델러용 MS'라는 농담성 표기를 기입했는데 실제 하이잭 커스텀과 설정상 베이스가 된 하이잭의 세부 형상은 크게 다르다. 공식적으로 반다이에서 건프라로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체를 만드려면 모델러가 자작할 수밖에 없는데 이런 세부 형상 탓에 꽤나 높은 실력이 필요하다.

원본기인 하이잭과의 또다른 차이점으로 허리에 노출된 동력 파이프가 붉은색(원본 하이잭은 희색 기반으로 각 군별 컬러에 맞게 좀 더 짙은색이 사용)이라는 점이 있는데, 이는 출력이 강화된 제네레이터를 탑재했다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Z건담 후반부에 일부 하이잭들이 커스텀과 같은 붉은 색의 동력파이프로 그려진 경우가 있어서, 아마도 작화감독의 채색 지정 실수였겠지만 이런 소소한 부분을 놓치지 않는 비공인 설정에서는 이를 "커스텀에 탑재된 것과 같은 고출력 제네레이터로 교체된 기체"들로 보기도 한다. 그러므로 당연히 이쪽은 빔병기 동시 운용이 가능... 하지만 하이잭 자체가 별로 주목받는 기체는 아니기 때문에 이 설정이 쓰이는 경우는 없다.

6. 게임에서의 하이잭 커스텀

게임 기렌의 야망 시리즈에선 윗설정대로 지온이던 연방이던 두루 쓰이는 주력 양산기이다.

연방쪽 중반 주력 양산기가 짐 II,하이잭인데 기술 개발 후 하이잭을 개조하면 하이잭 커스텀으로 바로 넘어가는지라 미리 하이잭을 많이 생산했다면 적은 비용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단 하이잭의 장점인 무장 변경(머신건이나 빔라이플로 변경 가능)이 빔 런처로 고정돼버린다. 대신 무장이 빔 사벨과 빔런처 뿐이라 무장연비가 좋고 사정거리가 2가 돼서 지원사격이 가능해지고 원작에서 저격 임무를 수행한 것을 반영해 명중보정도 높으며 방패도 있고 한계반응도 170이나 돼서 능력치 보통인 파일럿들은 태워도 밥값은 하게 해준다. 양산기로서 갖출건 다 갖춘 셈.

짐 II가 가성비는 괜찮은 편이지만 짐 III로 넘어가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연방양산형 최종 트리인 제간, 구스타프 칼 쪽이랑은 계보가 달라서(제간은 네모 계열이다.) 너무 많이 찍으면 손해를 보지만 하이잭 커스텀은 나중에 제쿠 시리즈로 개조할 수 있다. 제쿠 시리즈가 제간보단 약하고 생산에 2턴이 걸리는 약점이 있지만 하이잭에 있던 무장변경 기능이 부활하니 써먹기 나름이다.

지온 측에서도 쓸만하며 이쪽은 자쿠 III로 개조할 수도 있다. 액시즈 계열이면 자쿠 III改로도 개조할 수 있고 자쿠 III改가 지온측 올드타입 에이스들에겐 최고의 기체이다.

6.1.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