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6:12:01

하교



1. 2.
2.1. 기타
3. 관련 문서

1.

임금이 내리는 명령 혹은 윗사람이 아랫 사람에 내리는 명령.

전교(傳敎)와 더불어 사용되었다. 역사서에서 임금이 하교(혹은 전교)하는 언급은 신하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것을 뜻한다.

2.

각급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정규수업을 다 마치고 학교를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말은 등교이다. 하교 시간은 학교별, 학년별로 다르다. 주로 학생들은 하교 후 집이나 학원, 독서실, 도서관에 간다. 물론 PC방도 간다. 학생들은 도보, 버스, 지하철, 자전거, 차량을 이용해 하교한다.[1] 드물게 전동 킥보드오토바이, 롤러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이용하여 하교하는 학생들도 있다.[2]

2.1. 기타

조퇴로 더 빠르게 하교할 수도 있고,[3] 기상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교내 사정상 단축수업을 실시해 하교 시간이 앞당겨지기도 한다.[4]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보충수업을 듣거나 야간자율학습에 참여하는 학생은 하교시각이 더 늦어진다.

대학은 자신이 수강신청시간표에 따라 등교 시간이 제각각이듯이 하교 시간도 모두 제각각이다.

토요휴업일이 아직 존재하지 않던 시절이나 노는 토요일이 일부 주차에 있던 놀토 시절에는 토요일에 간단한 수업을 듣고 정오에 하교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당시 햇살을 받으며 느낀 심정은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3. 관련 문서


[1] 부모님의 차량이나 학원 차량이 학생을 데려가는 경우도 있다.[2] 하지만 초, 중, 고등학교에선 안전상의 이유로 인하여 전동 킥보드 외에도 오토바이, 롤러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등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대다수의 학교 선도부에서 단속을 하기 때문에 몰래몰래 이용한다. 물론 이런 것들을 대놓고 막 이용해도 전혀 신경 안 쓰는 학교도 있다.[3] 학생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담임의 허가를 받고 조퇴하는 것이 대부분이다.[4] 이 경우 빠진 과목의 시수를 다른 날에 보충하여 그 날에 한 교시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