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3:21:45

포산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21
현급행정구
시할구 65, 현급시 20, 34, 자치현 3
광저우시
성도
广州市
웨슈구
越秀区
리완구
荔湾区
하이주구
海珠区
톈허구
天河区
바이윈구
白云区
황푸구
黄埔区
판위구
番禺区
화두구
花都区
난사구
南沙区
충화구
从化区
쩡청구
增城区
선전시
深圳市
푸톈구
福田区
뤄후구
罗湖区
난산구
南山区
바오안구
宝安区
룽강구
龙岗区
옌톈구
盐田区
핑산구
坪山区
룽화구
龙华区
광밍구
光明区
다펑신구
大鹏新区
사오관시
韶关市
전장구
浈江区
우장구
武江区
취장구
曲江区
러창시
乐昌市
난슝시
南雄市
스싱현
始兴县
런화현
仁化县
웡위안현
翁源县
신펑현
新丰县
루위안 야오족 자치현
乳源瑶族自治县
주하이시
珠海市
샹저우구
香洲区
더우먼구
斗门区
진완구
金湾区
산터우시
汕头市
진핑구
金平区
룽후구
龙湖区
하오장구
濠江区
차오양구
潮阳区
차오난구
潮南区
청하이구
澄海区
난아오현
南澳县
포산시
佛山市
찬청구
禅城区
난하이구
南海区
순더구
顺德区
싼수이구
三水区
가오밍구
高明区
장먼시
江门市
펑장구
蓬江区
장하이구
江海区
신후이구
新会区
타이산시
台山市
카이핑시
开平市
허산시
鹤山市
언핑시
恩平市
잔장시
湛江市
츠칸구
赤坎区
샤산구
霞山区
포터우구
坡头区
마장구
麻章区
롄장시
廉江市
레이저우시
雷州市
우촨시
吴川市
쑤이시현
遂溪县
쉬원현
徐闻县
마오밍시
茂名市
마오난구
茂南区
뎬바이구
电白区
가오저우시
高州市
화저우시
化州市
신이시
信宜市
자오칭시
肇庆市
돤저우구
端州区
딩후구
鼎湖区
가오야오구
高要区
쓰후이시
四会市
광닝현
广宁县
화이지현
怀集县
펑카이현
封开县
더칭현
德庆县
후이저우시
惠州市
후이청구
惠城区
후이양구
惠阳区
보뤄현
博罗县
후이둥현
惠东县
룽먼현
龙门县
메이저우시
梅州市
메이장구
梅江区
메이셴구
梅县区
싱닝시
兴宁市
다부현
大埔县
펑순현
丰顺县
우화현
五华县
핑위안현
平远县
자오링현
蕉岭县
산웨이시
汕尾市
청구
城区
루펑시
陆丰市
하이펑현
海丰县
루허현
陆河县
허위안시
河源市
위안청구
源城区
쯔진현
紫金县
룽촨현
龙川县
롄핑현
连平县
허핑현
和平县
둥위안현
东源县
양장시
阳江市
장청구
江城区
양둥구
阳东区
양춘시
阳春市
양시현
阳西县
칭위안시
清远市
칭청구
清城区
칭신구
清新区
잉더시
英德市
롄저우시
连州市
포강현
佛冈县
양산현
阳山县
롄산 좡족 야오족 자치현
连山壮族瑶族自治县
롄난 야오족 자치현
连南瑶族自治县
둥관시
东莞市
현급행정구 없음
중산시
中山市
현급행정구 없음
차오저우시
潮州市
샹차오구
湘桥区
차오안구
潮安区
라오핑현
饶平县
제양시
揭阳市
룽청구
榕城区
제둥구
揭东区
푸닝시
普宁市
제시현
揭西县
후이라이현
惠来县
윈푸시
云浮市
윈청구
云城区
윈안구
云安区
뤄딩시
罗定市
신싱현
新兴县
위난현
郁南县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지급시
[ruby(佛山, ruby=Fóshān)][ruby(市, ruby=Shì)] | [ruby(佛山, ruby=Fat6saan1)][ruby(市, ruby=Si5)]
포산시 | Foshan City
시정부 소재지 광둥성 포산시 찬청구 링난다다오 북12호
广东省佛山市禅城区岭南大道北12号
지역 중난
면적 3,848km²
하위 행정구역 5구
시간대 UTC+8 (北京时间)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전체인구 9,498,863명 (2020)
인구밀도 2,501명/km²
HDI 0.808 (2016)
서기 정커(郑轲)
시장 바이타오(白涛) (몽골족)
GRDP 전체 $2,979억 6,000만 (2020)
1인당 $31,367 (2020)
상징 시화 백란화
시목 백란수
차량번호 粤E, 粤X, 粤Y[1]
행정구역 약칭 ,
행정구역코드 440600
지역전화번호 0757
우편번호 528000
ISO 3166-2 CN-GD-06 }}}}}}}}}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교통4.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ation_of_Foshan_within_Guangdong_%28China%29.png

중국 광둥성도시. 광동어로는 빳산(佛山,fat saan)이라고 부른다.

광둥성의 성도인 광저우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이로 인해 인구 950만의 대도시이지만 광저우의 위성도시 취급을 받는다.[2] 실제로 포산 지하철은 광저우와 연결되었는데, 이는 중국 최초로 시계를 넘는 지하철이다. 포산이 얼마나 광저우와 연담화되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그러나 역사가 깊어 단순한 위성도시로 치부하기에는 여러모로 유명한 것들이 많다.

우선 포산은 전통적으로 상업공업이 활발한 곳으로 유명하다. 현재 포산을 대표하는 기업은 하이센스컨트리가든 등이 있다.

또한 황비홍엽문의 출신지이자 이소룡 가문의 원적지인 만큼 중국무술로 유명하다. 이런 인지도 덕분에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 지역이 자주 언급되는 중국 무술 영화가 많다. 앞서 설명한 대로 국내에선 불산이란 이름이 널리 쓰이고 있어서인지, 포산과 관련된 중국 영화의 한국어 자막에는 십중팔구 불산으로 적혀있다.

마지막으로 요리가 유명하다. 특히 순더구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선딱(順德)[3] 요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는데, 예로부터 상공업이 발전해 도시가 부유하고, 주강 삼각주가 있으며 남중국해가 인접해 다채로운 식재료를 이용한 요리가 발달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볶은 우유(炒牛奶)가 있다.바이두 백과

2.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계화향(季華鄉)이라는 명칭이었으며, 동진시기인 398년카슈미르의 한 승려가 계화향으로 입항하여 탑파강(塔坡崗) 지역에 사찰을 지으면서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된다. 그러나 이 승려가 지은 절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당나라시기인 628년, 위 탑파강에서 빛이 올라왔고, 이에 현지 주민들이 탑파강을 파내서 청동불상 3좌를 건져내어 사찰을 재건하고 청동불상을 해당 사찰에 모셨다고 한다. 이후 포산은 주강 삼각주 지역의 불교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지에서는 선성(禪城)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었다. 포산(佛山)이라는 명칭은 이로부터 비롯된 이름이다.

명나라시기 포산은 한커우(漢口), 징더전(景德鎭), 주셴(朱仙)과 함께 4대명진(四大名鎭)으로 불리울 정도로 번성하였다.

이후 청나라태평천국의 공격, 광동인과 객가인 간의 계투[4] 등 혼란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지고 쿨리로 떠나갔다. 포산을 본적지로 둔 화교만 해도 무려 140만 명에 달한다.

1951년에 시로 승격되며 1975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이후 80년대 덩샤오핑 집권기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로 급성장하며 인근의 둥관시, 중산시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에 빗대어 광동의 네 마리 호랑이로 묶였다.[5]

2020년, 이소룡 탄생 80주년을 기리며 무술 대회와 사진전 등의 행사가 열렸다.

3. 교통

중국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지하철이 여기에도 있다. 포산 지하철문서를 참조할 것. 둥관 궤도교통 2호선 연장분이 완공되면 홍콩에서 포산까지 도시철도만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물론 원론적인 이야기이고 홍콩 달러중국 위안으로 쓰는 돈이 다른데다 출입경 심사를 거쳐야 해서 굳이 따지자면 간접환승에 가깝다.

광마오철도포산역을 지나기는 하나, 포산 지하철 2호선이 지나는 광저우난역이 고속철이 지나는 훨씬 큰 역이기에 대부분 광저우난역을 이용한다.

4. 사건사고

2003년 세계를 휩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의 진원지이다. 정확히는 동남쪽의 순더구이다.


[1] 粤X는 순더구(顺德区), 粤Y는 난하이구(南海区) 전용이나 둘 다 2018년 2월 1일 이후 신규발급 중단상태이다.[2] 이와 비슷하게 주강 건너의 둥관시도 인구가 1082만 명으로 중국에서 8번째로 많으나 하필 양 옆이 선전시광저우시라 위성도시 취급이다.[3] seon dak, 표준중국어로는 순더[4] 인근의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이 이로 인해 생겨났다.[5] 당시는 난하이와 순더가 아직 합병 전이었다. 합병 이후는 둥관, 중산, 포산과 주하이를 묶어 네 마리 호랑이라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