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1:45:48

평화자동차종합공장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기업소
중화학공업
<colbgcolor=#cccccc,#333333> 군수 태성기계공장 · 평화자동차공장 (남포시) · 전천 2.8 기계공장 (자강도) · 평양 1월 25일 기계공장 (평양시)
농업기계 금성뜨락또르종합공장 (남포시) · 강계뜨락또르종합공장 (자강도)
비료 순천린비료공장 (평안남도) · 흥남비료련합기업소 (함경남도)
전자기기 대동강텔레비죤수상기공장 (평양시)
시멘트 상원세멘트련합기업소 (황해북도) · 순천세멘트련합기업소 (평안남도)
자동차 평화자동차공장 (남포시) · 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 (평안남도) · 청풍합영회사공장 (량강도) · 금평자동차공장 (평양시) · 삼흥회사공장 (평양시)
오토바이 부강오토바이회사공장 (평양시)
정밀기계 강계정밀기계련합기업소 (자강도)
정유 승리화학련합기업소 (라선시)
제철·제강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 (남포시) · 황해제철련합기업소 (황해북도) · 김책제철련합기업소 (함경북도) · 성진제철련합기업소 (함경북도)
조선소 함북조선소련합기업소 (함경북도)
종합기계 대안중기계련합기업소 (남포시) · 락원기계련합기업소 (평안북도) · 북중기계련합기업소 (평안북도) · 룡성기계련합기업소 (함경남도)
종합화학 남흥청년화학련합기업소 (평안남도) · 순천화학련합기업소 (평안남도) · 2.8비날론련합기업소 (함경남도) · 7.7련합기업소 (함경북도)
철도차량 김종태전기기관차련합기업소 (평양시) · 원산철도차량련합기업소 (강원도)
탄광기계 라남탄광기계련합기업소 (함경북도)
경공업
가공식품 대성산아이스크림공장 (평양시) · 평양어린이식료품공장 (평양시) · 평양강냉이가공공장 (평양시)
음료 대동강맥주공장 (평양시) · 대성산샘물공장 (평양시) · 룡악산샘물공장 (평양시)
신발 순천구두공장 (평안남도)
인쇄 평양종합인쇄공장 (평양시)
· 목장
국영농장 강동온실농장 (평양시) · 9.21농장 (자강도) · 련포온실농장 (함경남도) · 중평온실농장 (함경남도) · 황주과수농장 (황해북도) · 삼천담배농장 (황해남도)
종합농장 대동강과수종합농장 (평양시) · 선봉종합농장 (라선시) · 고산과수종합농장 (강원도) · 대홍단군종합농장 (량강도)
협동농장 청산협동농장 (남포시) · 함주과수전문협동농장 (함경남도)
목장 력포목장 (평양시) · 부전사슴목장 (함경남도) · 세포등판 (강원도) · 운곡목장 (평안남도)
수산사업소 김책수산사업소 (함경북도)
일용직노동
청년돌격대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 (량강도)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colbgcolor=#0000d9><colcolor=#fff> 평화자동차종합공장
PyongHwa Motors General Factory
파일:평화자동차공장 SUV 조립.jpg
2007년 10월, SUV를 조립하는 공장 노동자들
파일:방사포 생산하는 평화자동차 공장.png
2024년 5월, 방사포 생산 시설로의 전용
위치
남포시 항구구역
준공 2002년 4월 6일
생산품 평화자동차 차량
240mm 방사포
1. 개요2. 특징3. 역사
3.1. 초창기3.2. 군수기지화

[clearfix]

1. 개요

평화자동차의 여러 자동차와 조선인민군의 군용차량을 생산하는 북한의 대표적인 자동차 공장이다. 남포시 항구구역(대한민국 이북5도 기준 평안남도 진남포시) 동쪽에 위치해 있다. 근처에 신남포역이 위치하고 공장 바로 옆에 평양남포간 고속도로가 여기를 지나간다.

2. 특징

2013년에 북한에 경영권을 넘긴 평화 자동차는 유통사업에 매진할 동안 북한은 남포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공장에 자동생산 시스템이 도입돼 컨베이어 방식으로 가공 삭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평양 무궤도 전차 공장처럼 리모컨 방식으로 되어 있다.

3. 역사

3.1. 초창기

파일:평화자동차공장 준공식.jpg
평화자동차공장 준공식
2002년 4월 6일 준공되었다. 남측의 박상권 평화자동차 사장은 `전망 계획' 설명을 통해 '이탈리아 피아트(FIAT)의 씨에나(Siena, 배기량 1580cc) 승용차 이외에 앞으로 버스, 소방차, 구급차, 청소차 등도 생산할 것'이라며 '자동차 부품도 생산, 수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준공식 때 비가 내렸음에도 북한 주민 3,000여 명이 참가했다.

이 때 대한민국 측의 박보희(朴普熙) 한국문화재단 이사장, 박경윤 금강산 국제그룹 회장, 북측의 김용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 송호경(宋浩景) 아태평화위 부위원장, 주일철 내각 참사 등 주요 인사들은 테이프 커팅 후 박상권 사장의 안내로 공장 생산시설을 둘러봤다. # #
파일:노무현 평화자동차공장 방문.jpg
2007년 10월 노무현의 방문(노무현재단)
2007년, 노무현-김정일 간의 2007 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도 방문하는 등, 남북관계에 순풍이 불던 당시에는 남북 평화의 상징이었다.

3.2. 군수기지화

파일:2024년형 240mm 차량.jpg
2024년 5월, 김정은이 직접 운전하는 발사차량
2024년 5월, 김정은이 군수 공장을 시찰하였다. 사진 공개를 통해 본 공장이 수도권 타격용 240mm 방사포 생산공장으로 전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김정은이 공장 주변 코스를 직접 운전하며 돌기도 하였다.# 제프리 루이스가 내부 사진 비교를 통해 알아내었으며, 위 사진 배경의 붉은 컨테이너 사진과 위성 사진의 교차 검증을 통해 재확인되었다. 참고로 이 컨테이너는 수 년째 있던 것이라고 한다. #

비슷한 구도로 찍은 다른 시점 사진도 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