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1 15:15:31

평화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개성시
<colbgcolor=#cccccc,#333333> 남북관계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 기정동 · 판문점 (돌아오지 않는 다리 / 인민군대표부) · 평화리
기타 개성백화점 · 고려박물관 · 고려성균관
라선시
전체 라선대흥무역회사
강원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 호텔해금강
그 외 마식령스키장 · 송도원국제소년단야영소 ·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 향산1초대소
자강도
전체 배움의 천리길학생소년궁전 · 청천려관 · 향산호텔
평안남도
전체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
평안북도
전체 녕변원자력연구소 · 서해위성발사장
함경남도
군사 동해위성발사장
기타 서호초대소 · 신흥관
함경북도
전체 경성단고기집 · 청진역전백화점 · 풍계리 핵실험장 · 함경북도 도서관 · 회령시 인민도서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백화점 · 상원동 미사일 기지
}}}}}}}}}

평화리

平和里 / Pyunghwa-ri

1. 개요2. 상세3. 교통4. 남북통일 이후5. 관련 문서

1. 개요

개성시 판문구역 산하 행정구역 중 하나다.

2. 상세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에 개풍군 봉동면 대조족리와 백전리, 발송리를 병합하여 신설한 다. 한국전쟁 직후 정전협정이 체결되면서 판문군 평화리는 졸지에 최전방 지역으로 몰락했다. 이지역은 개성공단기정동 마을 중간에 있는데, 개발이 거의 되지 않은 곳이라 열악하다. 만약 남북관계가 좋아서 개성공단이 더 개발되었다면 모를 일이지만, 여전히 버려진 땅마냥 방치되고 있다. 북측에서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개발할 필요가 없는 곳이라 그런 듯 하다. 남측이 장단군 (군내면, 장단면) 시가지를 복구하지 않는 이유와 같다.

3. 교통

봉동역이 조금 멀지 않은 곳에 있다.

4. 남북통일 이후

개성공단 및 개성시 바로 전에 나오는 곳이라서 개성 톨게이트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