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7:32:43

평택시/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평택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평택시 갑
, 평택시 을
, 평택시 병
,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

1. 기본 정보

1.1. 선거구 정보

파일:평택시 CI.svg 경기도 평택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rowcolor=#ffffff> 국회의원 도의원 지역
<colbgcolor=#009da5><colcolor=#ffffff> 평택시 갑 평택시1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진위면, 서탄면
평택시2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통복동, 세교동
평택시3 비전1동, 동삭동
평택시 을 평택시4 비전2동, 용이동
평택시5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오성면, 현덕면
평택시6 신평동, 원평동, 고덕동, 팽성읍, 고덕면

1.2. 시의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의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평택시 CI.svg평택시의회⠀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0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8석
재적
18석
}}}}}}}}}

2. 지역 특성

평택시는 송탄에 위치한 미군부대 및 전형적인 경기 외곽 농촌지역으로 보수 성향이 뚜렷한 지역이었다. 특히 송탄 ↔ 평택 + 안중 지역으로 나뉜 갈등은 정치에서 드러난다. 주한미군 기지를 낀 송탄 지역은 전통적인 보수정당 텃밭이지만, 쌍용자동차 문제 같은 사안으로 뜨거웠던 평택을 지역은 민주당계 국회의원인 정장선이 국회의원 3선을 했을 만큼 갑구보다는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편이다.

총선의 경우 13대와 14대에선 당시 여당인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이 의석을 휩쓸었다. 15대에서 평택시 갑에서는 무소속 원유철 후보, 평택시 을에서는 자유민주연합 허남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16대에서는 갑/을 모두 민주당계 정당이 의석을 차지했다. 갑 지역구에서 원유철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한 채로 재선에 성공했고, 을 지역구에서는 새천년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17대에서도 탄핵역풍으로 갑/을 모두 열린우리당이 차지해 2회 연속 민주당계 정당이 평택 지역구를 휩쓸었다. 노무현 정부 평가로 치러진 18대에선 갑 지역은 원유철이 3선에 성공하면서 지역구에 복귀하였지만, 을 지역구는 여전히 정장선의 3선 성공으로 마무리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평택을 지역에서 정장선 현역 국회의원의 불출마 선언과 함께 새누리당 이재영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나며 갑을 지역 모두 새누리당이 석권했다. 이 기세는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어져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 특히 수도권 대패에도 불구하고 갑, 을 두 지역 모두 석권하였다. 총선 참패의 주범 중 하나로 찍힌 원유철 당시 원내대표도 무난하게 재당선됐다. 이는 20대 총선 당시 국민의당 창당으로 인한 민주당 지지층의 분열, 전임 시장 출마자의 삽질로 인한 효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20대 총선 을 지역은 아주 근소한 차이로 새누리당 유의동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7년 5월 9일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8.37%를 얻어 2위와 약 15%의 큰 격차로 1위를 차지했다. 그동안 보수 강세지역이었던 평택의 정치 구도가 완전히 뒤집혔음이 확인된 선거로서, 자유한국당홍준표 후보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인해 23.05%의 득표율에 머물러, 23.5%를 얻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떨어졌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지사 선거에서도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4.83%를 득표해 자유한국당 남경필 후보를 36,190표, 17.63%p 차로 무난하게 꺾었다. 평택시장 선거는 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출마하여 자유한국당 공재광 현직 시장을 무려 48,618표, 23.51% 차로 더블스코어 가까이 따돌리며 압승했다.

그러나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수도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의석을 싹쓸이하는 와중에도[1] 두 지역구 모두 3% 이내의 초박빙을 벌이며 양당이 한 석씩 가져갔다. 문재인 정부 중간평가로 치러졌기에 평택의 기존 보수 성향이 돌아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결과였으나...

고덕국제도시, 소사벌지구의 입주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2], 평택의 민심은 친 민주당에 가까워졌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9,402표 차, 2.8%p 격차로 승리했다. 19대 대선과 비교했을 때, 전국적으로는 민주당 6.7%, 국민의힘 24.50% 득표율이 증가했고, 경기도에선 민주당 8.8%, 국민의힘 24.9% 증가했으나, 평택시에선 민주당 11.1%, 국민의힘 23.6%가 증가해 민주당 쪽에 무게추가 실렸다. 특히 구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 세 개 지역 모두 이재명 후보가 이긴 데다, 5년 전 대선에서 문재인이 30%도 못넘던 면 지역조차 이재명은 40%를 돌파했다. 이 점은 예전의 보수 강세지역에서 경합지로 민심이 완벽히 변화하였음을 시사한다.

이후 3개월 만에 이어진 제8회 지선에서도 똑같은 결론에 도달한 것 같다. 재선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정장선 후보가 국민의힘 최호 후보를 8,593표 차이로 이기면서 대선과 비슷한 득표율 차이로 시장에 당선됐다. 그러나 평택시민 중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를 찍은 사람이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를 찍은 사람보다 약 8,000명 더 많이 나오면서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시의원도 전체 18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10석, 국민의힘이 8석을 가져가면서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했다. 그러나 도의원 6석 중 4석을 국민의힘이 가져가는 등 교차 투표가 많은 양상을 보였다.

다가오는 선거는 2024년의 22대 총선에서 인구가 선거구 2석 상한을 사실상 돌파하였기 때문에 갑/을/병으로 선거구가 조정되었다.

하지만 갈수록 보수세가 급격하게 약화될 정도로 민주당 텃밭이 되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택시 3개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이는 2004년 17대 총선 이후로 20년 만에 싹쓸이하였다. 이젠 스윙스테이트가 아닌 아예 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탈바꿈 하게되었다.

친박공재광 전 시장을 배제한 결과인 셈인데, 총선을 앞두고 공재광이 친박계임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으로 전격 이적을 발표하고, 또 그런 친박 정치인을 민주당이 그대로 받아들이는 돌발 사태가 발생한 것.

특히 평택시 을이 출구조사 결과 유일하게 초박빙으로 나왔으나# 정권 심판론이 강하게 불었는지 결국 민주당의 낙승으로 끝났다. 특히 안중, 포승, 청북에서 압승을 거둔 것이 주효했다.

3. 역대 선거 결과

평택시 국회의원
송탄시·평택시 평택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권달수,(초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자헌,(4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영광,(재선),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자헌,(5선),
평택시 갑 평택시 을
15대

[[무소속(정치)|
무소속
]] 원유철,(초선),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허남훈,(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철,(재선),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장선,(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우제항,(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정장선,(재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유철,(3선),
정장선,(3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철,(4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재영,(초선)[3],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의동,(초선)[4],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원유철,(5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의동,(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기원,(초선),
유의동,(3선),
평택시 갑 평택시 을 평택시 병
22대
파일:zsdkl3gasdg.svg
홍기원,(재선),

파일:zsdkl3gasdg.svg
이병진,(초선),

파일:zsdkl3gasdg.svg
김현정,(초선),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9da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파일:평택시 CI.svg 역대 평택시장 선거 결과 ||
1995 1998 2002 2004 2006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한나라당
김선기[5] 송명호
2010 2014 2018 2022
민주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김선기 공재광 정장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선기 28.7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주상 18.19%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이계완 15.1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한양석 11.9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민호 11.82%
1998년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73.2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박정수 26.70%
2002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선기 51.00%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허남훈 34.36%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용한 14.63%
2004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50.99%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윤주학 43.14%
2006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53.72%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유성 20.97%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남정수 11.55%
2010년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48.7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명호 41.43%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공재광 52.19%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선기 44.94%
2018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장선 61.75%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공재광 38.24%
2022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장선 52.08%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호 47.91%
}}}}}}}}}

3.1. 지선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경기도지사
평택시 갑
舊 송탄시 일원, 舊 평택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이인제 장경우 김문원 임사빈
득표수 31,439 22,028 9,863 27,341
득표율 34.67% 24.29% 10.87% 30.15%
순위 1위 3위 4위 2위
선거인 수 137,500
투표 수 92,787
무효표 수 2,116
투표율 67.46%
평택시 을
舊 평택군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이인제 장경우 김문원 임사빈
득표수 21,414 14,302 4,456 13,717
득표율 39.73% 26.53% 8.26% 25.45%
순위 1위 2위 4위 3위
선거인 수 77,382
투표 수 55,447
무효표 수 1,558
투표율 71.75%
3.1.1.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선기(金善基) 41,529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8.70% 당선
2 이계완(李啓完) 21,977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5.19% 낙선
3 허정(許政) 10,455 6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7.22% 낙선
4 서정석(徐正錫) 2,484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1% 낙선
5 이민호(李敏鎬) 17,10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82% 낙선
6 이주상(李周相) 26,32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19% 낙선
7 최병호(崔秉虎) 7,480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17% 낙선
8 한양석(韓洋錫) 17,322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97% 낙선
선거인 수 214,882 투표율
68.98%
투표 수 148,228
무효표 수 3,550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2.1. 경기도지사
평택시 갑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도원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세교동, 진위면, 서탄면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 손학규 임창열
득표수 22,903 29,871
득표율 43.39% 56.60%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112,854
투표 수 53,890
무효표 수 1,116
투표율 47.83%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 손학규 임창열
득표수 28,455 36,977
득표율 43.48% 56.51%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124,965
투표 수 67,024
무효표 수 1,592
투표율 52.58%
3.1.2.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정수(朴正洙) 31,415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6.70% 낙선
3 김선기(金善基) 86,220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73.29% 당선
선거인 수 237,819 투표율
50.85%
투표 수 120,920
무효표 수 3,285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3.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손학규 진념 김준기
득표수 68,398 37,148 13,015
득표율 57.69% 31.33% 10.97%
순위 1위 2위 3위
선거인 수 250,606
투표 수 120,511
무효표 수 1,950
투표율 48.09%
3.1.3.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선기(金善基) 60,542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1.00% 당선
2 허남훈(許南薰) 40,798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36% 낙선
3 김용한(金容漢) 17,369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4.63% 낙선
선거인 수 250,606 투표율
48.09%
투표 수 120,509
무효표 수 1,800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4.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진대제 김문수 박정일 김용한
득표수 37,584 78,709 4,384 16,756
득표율 27.34% 57.27% 3.18% 12.19%
순위 2위 1위 4위 3위
선거인 수 284,458
투표 수 139,667
무효표 수 2,234
투표율 49.12%
3.1.4.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성(兪星) 28,832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97% 낙선
2 송명호(宋明鎬) 73,844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72% 당선
4 남정수(南楨守) 15,885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55% 낙선
5 이익재(李益宰) 9,567 4위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96% 낙선
6 이규천(李圭川) 6,33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0% 낙선
7 차화열(車和烈) 2,98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7% 낙선
선거인 수 284,458 투표율
49.12%
투표 수 139,721
무효표 수 2,272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5.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김문수 유시민
득표수 83,870 64,325
득표율 56.59% 43.40%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309,722
투표 수 157,432
무효표 수 9,237
투표율 50.84%
3.1.5.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송명호(宋明鎬) 64,225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43% 낙선
2 김선기(金善基) 75,498 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48.70% 당선
5 김용한(金容漢) 15,291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9.86% 낙선
선거인 수 309,722 투표율
50.84%
투표 수 157,465
무효표 수 2,451

3.1.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6.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남경필 김진표
득표수 94,395 70,899
득표율 57.10% 42.89%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347,609
투표 수 171,360
무효표 수 6,066
투표율 49.29%
3.1.6.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공재광(孔在光) 84,855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2.19% 당선
2 김선기(金善基) 73,059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4.94% 낙선
3 이호성(李號星) 4,645 3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5% 낙선
선거인 수 347,609 투표율
49.30%
투표 수 171,364
무효표 수 8,805

3.1.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7.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이재명 남경필 김영환 이홍우 홍성규
득표수 112,564 76,374 9,848 4,503 1,971
득표율 54.83% 37.20% 4.79% 2.19% 0.96%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선거인 수 394,222
투표 수 209,742
무효표 수 4,482
투표율 53.20%
3.1.7.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장선(鄭長善) 127,675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1.75% 당선
2 공재광(孔在光) 79,057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24% 낙선
선거인 수 394,222 투표율
53.20%
투표 수 209,725
무효표 수 2,993

3.1.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8.1. 경기도지사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김동연 김은혜
득표수 96,908 104,256
득표율 47.08% 50.65%
순위 2위 1위
선거인 수 478,356
투표 수 208,218
무효표 수 2,385
투표율 43.52%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김동연 김은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908
(47.08%)
104,256
(50.65%)
-7,348
(▼3.57)
43.52%
구 송탄시
득표율 20,202
(45.39%)
23,274
(52.29%)
- 3,072
(▼6.90)
45,087
(38.91%)
중앙동[A] 46.91% 50.65% ▼3.74 41.48
서정동[B] 44.23% 53.36% ▼9.13 35.64
송탄동[C] 49.02% 48.62% △0.40 39.17
지산동[D] 45.44% 51.87% ▼6.42 33.47
송북동[E] 44.02% 54.25% ▼10.23 42.65
신장1동[F] 40.73% 56.93% ▼16.24 35.64
신장2동[F] 35.89% 61.50% ▼25.61 36.20
구 평택시
득표율 37,738
(48.90%)
37,866
(49.07%)
- 128
(▼0.17)
77,889
(41.89%)
신평동[G] 40.77% 57.23% ▼16.47 37.03
원평동[H] 43.36% 54.45% ▼11.09 41.45
통복동[I] 40.46% 57.63% ▼17.17 45.33
비전1동[J] 51.95% 46.07% △5.88 42.81
비전2동[K] 47.70% 50.19% ▼2.49 43.47
세교동[L] 48.08% 50.19% ▼2.11 42.78
용이동[M] 53.93% 43.72% △10.21 44.72
동삭동[N] 52.27% 45.76% △6.51 38.51
구 평택군
득표율 26,293
(45.32%)
30,422
(52.44%)
- 4,129
(▼7.12)
58,712
(39.13%)
고덕동[O] 48.11% 49.73% ▼1.63 35.60
팽성읍[P] 37.55% 60.17% ▼22.62 39.12
안중읍 51.48% 46.23% △5.25 39.48
포승읍[Q] 47.53% 50.12% ▼2.59 34.49
청북읍 50.51% 47.57% △2.94 37.61
진위면[R] 43.27% 54.69% ▼11.41 42.49
서탄면[S] 34.00% 63.30% ▼29.30 49.33
고덕면 42.79% 55.08% ▼12.30 37.73
오성면 36.72% 60.72% ▼24.00 45.45
현덕면 38.33% 59.14% ▼20.81 56.00
후보 김동연 김은혜 격차
거소투표 43.62% 48.70% ▼5.08
관외사전투표 48.69% 48.50% △0.19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 김은혜 격차 투표율
평택시 갑[T][갑] 47.32% 50.54% ▼3.22 40.36
평택시 을[U][을] 46.44% 51.35% ▼4.91 40.07
3.1.8.2. 평택시장
파일:평택시 CI_White.svg 평택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장선(鄭長善) 107,159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2.08% 당선
2 최호(崔虎) 98,566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7.91% 낙선
선거인 수 478,356 투표율
43.53%
투표 수 208,206
무효표 수 2,481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정장선 최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7,159
(52.08%)
98,566
(47.91%)
+8,593
(△4.17)
43.53%
구 송탄시
득표율 21,710
(48.78%)
22,793
(51.21%)
- 1,083
(▼2.43)
45,075
(38.90%)
중앙동[A] 50.81% 49.18% △1.63 41.47
서정동[B] 47.81% 52.18% ▼4.37 35.65
송탄동[C] 53.22% 46.77% △6.45 39.18
지산동[D] 46.85% 53.14% ▼6.29 33.47
송북동[E] 46.20% 53.79% ▼7.58 42.60
신장1동[F] 44.87% 55.12% ▼10.25 35.62
신장2동[F] 39.72% 60.27% ▼20.54 36.18
구 평택시
득표율 43,025
(55.75%)
34,141
(44.24%)
+ 8,884
(△11.51)
77,869
(41.88%)
신평동[G] 47.43% 52.56% ▼5.12 37.03
원평동[H] 50.41% 49.58% △0.84 41.44
통복동[I] 48.93% 51.06% ▼2.13 45.33
비전1동[J] 58.71% 41.28% △17.44 42.80
비전2동[K] 55.23% 44.76% △10.47 43.45
세교동[L] 54.77% 45.22% △9.54 42.77
용이동[M] 60.15% 39.84% △20.30 44.73
동삭동[N] 58.50% 41.49% △17.02 38.51
구 평택군
득표율 28,781
(49.66%)
29,172
(50.33%)
- 391
(▼0.67)
58,677
(44.04%)
고덕동[O] 50.00% 50.00% = 동률[46] 35.60
팽성읍[P] 44.10% 55.89% ▼11.79 39.12
안중읍 56.56% 43.43% △13.12 39.45
포승읍[Q] 51.62% 48.37% △3.26 34.48
청북읍 53.74% 46.25% △7.50 37.58
진위면[R] 44.26% 55.73% ▼11.46 42.45
서탄면[S] 34.90% 65.09% ▼30.18 49.17
고덕면 47.60% 52.39% ▼4.79 37.69
오성면 43.95% 56.04% ▼12.09 45.42
현덕면 43.69% 56.30% ▼12.62 55.98
후보 정장선 최호 격차
거소투표 48.00% 51.99% ▼3.98
관외사전투표 52.45% 47.54% △4.90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송탄시
송탄시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후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득표수 18,328 10,539 6,818 3,519
득표율 46.67% 26.83% 17.36% 8.96%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44,484
투표 수 39,963
무효표 수 692
투표율 89.75%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후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득표수 17,214 12,345 7,402 4,602
득표율 41.34% 29.65% 17.77% 11.05%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47,156
투표 수 42,364
무효표 수 732
투표율 89.84%
평택군
평택군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후보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득표수 31,777 17,237 9,314 5,059
득표율 49.98% 27.11% 14.65% 7.95%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73,636
투표 수 65,087
무효표 수 1,514
투표율 88.3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송탄시
송탄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17,593 13,118 11,566 4,182
득표율 37.18% 27.72% 24.44% 8.83%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60,407
투표 수 47,964
무효표 수 654
투표율 79.36%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17,247 12,287 11,526 3,678
득표율 37.90% 27.00% 25.33% 8.08%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56,764
투표 수 46,189
무효표 수 694
투표율 81.43%
평택군
평택군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후보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득표수 20,568 17,546 17,042 3,799
득표율 34.23% 29.20% 28.36% 6.32%
순위 1위 2위 3위 4위
선거인 수 76,015
투표 수 61,219
무효표 수 1,134
투표율 80.54%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갑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도원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세교동, 진위면, 서탄면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득표수 27,470 33,378 25,211
득표율 31.20% 37.91% 28.63%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112,009
투표 수 89,333
무효표 수 1,301
투표율 79.83%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후보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
득표수 31,407 36,796 27,389
득표율 31.85% 37.31% 27.77%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125,297
투표 수 100,120
무효표 수 1,511
투표율 79.91%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이회창 노무현 권영길
득표수 74,716 80,307 13,750
득표율 43.97% 47.26% 8.09%
순위 2위 1위 3위
선거인 수 251,267
투표 수 171,427
무효표 수 1,517
투표율 68.23%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정동영 이명박 권영길 문국현 이회창
득표수 37,120 88,319 10,314 10,959 26,749
득표율 21.08% 50.17% 5.85% 6.22% 15.19%
순위 2위 1위 5위 4위 3위
선거인 수 296,098
투표 수 176,789
무효표 수 752
투표율 59.71%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135,781 101,951
득표율 56.86% 42.69%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333,774
투표 수 239,544
무효표 수 773
투표율 71.85%
18대 대선 경기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35,781
(56.86%)
101,951
(42.69%)
+33,830
(△14.17)
71.85%
중앙동 53.29% 46.31% △6.98 75.15
서정동 57.23% 42.36% △14.87 65.48
송탄동 57.43% 42.19% △15.24 72.16
지산동 56.40% 43.20% △13.20 67.75
송북동 57.55% 42.20% △15.35 72.18
신장1동 66.07% 33.50% △32.57 59.01
신장2동 67.66% 31.97% △35.69 62.85
신평동 58.85% 40.82% △18.03 69.62
원평동 56.63% 42.94% △13.69 70.99
통복동 62.54% 37.14% △25.40 69.30
비전1동 57.23% 42.36% △14.87 74.47
비전2동 54.89% 44.78% △10.11 76.89
세교동 55.57% 43.96% △11.61 76.23
팽성읍 64.09% 35.52% △28.57 65.50
안중읍 49.61% 49.92% ▼0.31[51] 73.78
포승읍 55.65% 43.91% △11.74 65.21
진위면 57.53% 42.09% △15.44 70.62
서탄면 67.44% 32.08% △35.36 74.29
고덕면 59.67% 39.84% △19.38 71.38
오성면 67.39% 31.85% △35.54 72.61
청북면 52.70% 46.76% △5.94 70.80
현덕면 69.16% 30.28% △38.88 70.69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42.65% 56.31% 13.66
국내부재자투표 54.20% 44.63% △9.57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04,574 62,827 64,057 19,321 20,128
득표율 38.37% 23.05% 23.50% 7.08% 7.38%
순위 1위 3위 2위 5위 4위
선거인 수 379,547
투표 수 273,677
무효표 수 1,159
투표율 72.11%
19대 대선 경기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04,574
(38.37%)
62,827
(23.05%)
64,057
(23.50%)
19,321
(7.08%)
20,128
(7.38%)
+40,517
(△14.87)
72.11%
중앙동 38.20% 22.81% 23.81% 7.54% 7.10% △14.39 73.54
서정동 36.36% 25.56% 25.08% 6.70% 7.35% △10.80 63.25
송탄동 38.37% 22.54% 23.85% 7.39% 7.36% △14.52 75.77
지산동 38.63% 22.57% 23.48% 6.33% 8.41% △15.15 66.95
송북동 34.73% 26.78% 24.27% 6.46% 7.32% △7.95 70.33
신장1동 31.96% 27.14% 26.28% 7.90% 6.20% △4.82 59.38
신장2동 27.60% 34.23% 25.90% 6.0% 5.50% ▼6.63 58.03
신평동 35.02% 26.88% 23.65% 6.84% 6.93% △8.14 65.40
원평동 36.19% 26.35% 23.77% 6.53% 6.59% △9.84 69.60
통복동 34.05% 30.45% 22.84% 6.02% 6.21% △3.60 72.91
비전1동 41.36% 19.40% 23.72% 7.30% 7.75% △17.64 72.12
비전2동 40.86% 20.64% 23.0% 7.78% 7.25% △17.86 76.25
세교동 38.47% 22.06% 24.31% 7.0% 7.66% △14.46 74.39
팽성읍 31.51% 32.69% 23.02% 6.57% 5.51% ▼1.18 62.17
안중읍 42.78% 18.81% 22.23% 6.54% 9.11% △20.55 72.25
포승읍 39.12% 22.99% 23.55% 6.61% 7.02% △15.57 63.69
청북읍 42.46% 19.34% 23.14% 7.32% 7.30% △19.32 71.28
진위면 33.51% 27.93% 24.54% 5.98% 7.10% △5.58 67.60
서탄면 27.49% 38.09% 23.96% 5.05% 4.64% ▼10.60 67.47
고덕면 33.85% 28.00% 24.50% 6.41% 6.69% △5.85 66.57
오성면 29.67% 32.30% 24.95% 5.92% 6.50% ▼2.63 69.59
현덕면 28.41% 36.18% 23.04% 5.83% 5.74% ▼7.77 67.99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32.80% 18.08% 31.20% 11.77% 3.70% △1.60[52]
관외사전투표 43.90% 16.22% 22.06% 8.38% 8.74% △21.84
재외투표 61.56% 7.24% 16.50% 3.27% 10.51% 45.06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평택시
평택시 일원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166,032 156,630
득표율 49.44% 46.64%
순위 1위 2위
선거인 수 472,732
투표 수 338,768
무효표 수 2,963
투표율 71.66%
20대 대선 경기 평택시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6,032
(49.44%)
156,630
(46.64%)
+9,402
(△2.80)
71.66%
구 송탄시
득표율 36,660
(48.95%)
35,206
(47.01%)
+ 1,454
(△1.94)
75,600
(66.91%)
중앙동[A] 48.77% 47.10% △1.67 69.26
서정동[B] 49.20% 46.95% △2.26 63.22
송탄동[C] 52.24% 43.88% △8.36 70.95
지산동[D] 50.05% 45.88% △4.17 62.75
송북동[E] 47.35% 48.69% ▼1.34 69.01
신장1동[F] 46.94% 48.41% ▼1.47 63.43
신장2동[F] 43.45% 52.46% ▼9.00 59.57
구 평택시
득표율 64,091
(50.05%)
59,193
(46.23%)
+ 4,898
(△3.82)
128,994
(71.58%)
신평동[G] 44.11% 52.07% ▼7.96 64.20
원평동[H] 46.55% 49.14% ▼2.59 71.13
통복동[I] 45.32% 51.00% ▼5.68 77.18
비전1동[J] 52.37% 43.83% △8.54 72.42
비전2동[K] 48.45% 47.86% △0.59 72.66
세교동[L] 49.37% 47.05% △2.33 70.63
용이동[M] 54.44% 42.05% △12.39 74.58
동삭동[N] 52.79% 43.56% △9.24 71.59
구 평택군
득표율 48,451
(49.52%)
45,563
(46.57%)
+ 2,888
(△2.95)
98,469
(68.70%)
고덕동[O] 49.37% 46.46% △2.90 72.00
팽성읍[P] 43.46% 53.21% ▼9.76 64.98
안중읍 54.05% 41.69% △12.36 69.16
포승읍[Q] 51.85% 44.14% △7.71 65.13
청북읍 55.95% 40.44% △15.52 69.47
진위면[R] 47.13% 48.66% ▼1.53 67.56
서탄면[S] 39.81% 56.15% ▼16.34 72.89
고덕면 45.88% 49.99% ▼4.11 68.37
오성면 42.68% 53.29% ▼10.60 72.74
현덕면 44.42% 52.44% ▼8.02 78.22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39.86% 51.26% ▼11.40
관외사전투표 47.88% 47.83% △0.05
재외투표 61.64% 33.23% △28.41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평택시 갑[T][갑] 49.34% 46.72% △2.62 69.15
평택시 을[U][을] 49.84% 46.38% △3.46 69.69

3.3. 총선

3.3.1. 송탄시·평택시 / 평택군 (13~14대)

3.3.2. 평택시 갑 / 평택시 을 (15~21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3. 평택시 갑 / 평택시 을 / 평택시 병 (22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대 총선 평택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갑)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홍기원 공재광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2,564
(50.22%)
59,063
(47.41%)
+ 3,501
(△2.81)
126,228
(59.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구 송탄시
득표율 29,247
(48.85%)
29,214
(48.79%)
+ 33
(△0.06)
60,694
(54.97%)
중앙동[A] 49.94% 47.98% △1.97 58.50
서정동[B] 46.84% 50.43% ▼3.59 51.20
송탄동[C] 52.88% 44.82% △8.06 58.44
지산동[D] 52.01% 45.31% △6.69 50.99
송북동[E] 46.63% 51.10% ▼4.46 56.83
신장1동[F] 45.55% 51.44% ▼5.88 46.12
신장2동[F] 40.84% 56.95% ▼16.11 49.32
구 평택시
득표율 24,128
(51.80%)
21,487
(46.13%)
+ 2,641
(△5.67)
47,045
(56.95%)
통복동[I] 41.46% 56.80% ▼15.34 64.57
비전1동[J] 54.11% 43.81% △10.30 58.40
세교동[L] 48.41% 49.45% ▼1.04 61.04
구 평택군
득표율 3,053
(42.64%)
3,939
(55.02%)
- 886
(▼12.38)
7,268
(59.45%)
진위면[R] 44.58% 53.06% ▼8.48 55.09
서탄면[S] 37.54% 60.17% ▼22.63 62.52
후보 홍기원 공재광 격차 투표율
거소·선상투표 40.33% 53.22% ▼12.88
관외사전투표 56.23% 40.10% △16.13
재외투표 71.20% 27.20% △44.00
}}}}}} ||
국회의원 선거 (평택시 을)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김현정 유의동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540
(46.11%)
59,491
(47.67%)
- 1,951
(▼1.56)
126,373
(58.8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구 평택시
득표율 22,779
(45.67%)
23,939
(48.00%)
- 1,160
(▼2.33)
50,380
(58.82%)
신평동[G] 39.80% 53.35% ▼13.54 53.22
원평동[H] 40.84% 52.03% ▼11.20 58.08
비전2동[K] 45.98% 47.83% ▼1.85 60.44
용이동[M] 52.81% 41.44% △11.36 61.54
구 평택군
득표율 28,402
(45.47%)
30,351
(48.59%)
- 1,949
(▼3.12)
63,216
(54.50%)
팽성읍[P] 36.27% 59.07% ▼22.81 52.21
안중읍 50.39% 43.04% △7.35 56.06
포승읍[Q] 48.68% 44.77% △3.91 50.45
청북읍 52.54% 41.12% △11.42 55.00
고덕면 44.11% 49.86% ▼5.74 53.78
오성면 34.77% 59.30% ▼24.54 59.46
현덕면 35.56% 60.34% ▼24.79 63.80
후보 김현정 유의동 격차 투표율
거소·선상투표 46.19% 36.24% △9.96
관외사전투표 51.28% 42.35% △8.93
재외투표 68.22% 25.23% △42.99
}}}}}} ||

3.3.4. 비례대표

3.3.4.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3,667
(34.56%)
79,613
(32.88%)
22,270
(9.19%)
16,247
(6.71%)
12,504
(5.16%)
+ 4,054
(△1.67)
252,609
(58.9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구 송탄시
득표율 20,975
(36.12%)
19,116
(32.92%)
5,080
(8.75%)
3,569
(6.14%)
2,781
(4.79%)
+ 1,859
(△3.20)
60,724
(55.00%)
중앙동[A] 34.22% 32.88% 9.67% 6.71% 5.04% △1.34 58.55
서정동[B] 36.90% 32.24% 7.55% 5.22% 4.50% △4.66 51.26
송탄동[C] 32.35% 35.74% 9.90% 7.09% 5.44% ▼3.40 58.42
지산동[D] 34.62% 35.18% 8.85% 5.82% 5.00% ▼0.56 51.00
송북동[E] 39.64% 32.04% 8.08% 5.65% 4.32% △7.60 56.84
신장1동[F] 40.51% 28.95% 8.33% 6.49% 4.24% △11.57 46.13
신장2동[F] 45.58% 29.42% 5.45% 4.71% 3.73% △16.17 49.32
구 평택시
득표율 31,178
(33.24%)
31,534
(33.62%)
8,979
(9.57%)
7,137
(7.61%)
4,880
(5.20%)
- 356
(▼0.38)
97,427
(59.12%)
신평동[G] 40.23% 28.65% 7.65% 6.20% 3.85% △11.59 53.21
원평동[H] 38.99% 29.01% 7.58% 6.60% 4.25% △9.97 58.08
통복동[I] 42.74% 31.12% 6.48% 5.51% 4.04% △11.62 64.57
비전1동[J] 29.46% 35.92% 10.45% 8.39% 5.80% ▼6.47 58.41
비전2동[K] 34.20% 32.73% 9.55% 7.73% 5.25% △1.47 60.44
세교동[L] 34.63% 33.14% 10.08% 7.00% 4.24% △1.48 61.04
용이동[M] 28.75% 37.01% 10.03% 8.12% 6.46% ▼8.26 61.53
구 평택군
득표율 24,823
(36.77%)
21,178
(31.37%)
6,013
(8.90%)
3,920
(5.80%)
3,331
(4.93%)
+ 3,645
(△5.40)
70,483
(54.74%)
팽성읍[P] 44.72% 27.46% 6.32% 5.27% 4.15% △17.26 52.20
안중읍 30.53% 34.52% 10.44% 6.13% 5.50% ▼3.99 56.06
포승읍[Q] 34.51% 33.20% 9.35% 5.71% 5.69% △1.31 50.45
청북읍 29.97% 36.35% 10.47% 6.31% 5.08% ▼6.38 55.00
진위면[R] 39.90% 29.46% 8.61% 5.42% 4.57% △10.44 55.11
서탄면[S] 47.88% 24.09% 6.74% 4.28% 4.70% △23.78 62.52
고덕면 37.48% 30.22% 8.72% 7.30% 4.59% △7.26 53.76
오성면 45.89% 24.23% 7.41% 5.04% 4.00% △21.66 59.45
현덕면 46.87% 25.10% 7.41% 3.75% 4.34% △21.77 63.80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거소·선상투표 29.25% 29.51% 7.55% 10.85% 2.77% ▼0.26
관외사전투표 29.53% 34.44% 9.75% 6.94% 6.78% ▼4.91
재외투표 19.91% 38.52% 12.12% 5.19% 12.98% ▼18.61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수도권에 걸린 121석 중 무려 103석을 민주당이 획득했다. 경기도에선 전체 59석 중 51석을 민주당이 가져갔다.[2] 실제로 2017년 47만 명이던 평택 인구는 2022년 불과 5년 만에 56만 명까지 늘었다. 중간에 있던 2020년 총선 때는 51만 명. 2년 만에 5만 명이 더 증가한 셈이다.[3] 14.1.16.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4] 14.7.30. 재보궐선거[5] 03.12.16. 시장직 사퇴 (당선직 무효형 판결 직전)[A] 법정동 서정동(남부) · 이중동 · 장당동[B] 법정동 서정동(북부)[C] 법정동 가재동 · 장안동 · 도일동 · 칠원동 · 칠괴동 · 모곡동. 쌍용자동차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지산동(서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E] 법정동 지산동(동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 · 독곡동[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F] [G]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H]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서쪽) · 통복동(경부선 서쪽) · 군문동 · 신대동[I]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J] 법정동 비전동(북부) · 죽백동 · 청룡동 · 월곡동. 소사벌지구가 있는 동네[K]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L]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M] 법정동 용이동(동부). 평택대학교가 있는 동네[N]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O] 고덕국제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P] 평택 미군기지가 있는 동네[Q]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R] LG전자 사업장이 있는 동네[S] 오산 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T]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비전1동, 세교동, 동삭동, 진위면, 서탄면[갑] 지역구 국회의원 :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초선)[U]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고덕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을] 지역구 국회의원 : 유의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A] [B] [C] [D] [E] [F] [F] [G] [H] [I] [J] [K] [L] [M] [N] [O] [46] 두 후보 모두 2,981표로 같은 수의 표를 얻었다.[P] [Q] [R] [S] [51]62표 차이였다.[52]19표 차이였다.[A] 법정동 서정동(남부) · 이중동 · 장당동[B] 법정동 서정동(북부)[C] 법정동 가재동 · 장안동 · 도일동 · 칠원동 · 칠괴동 · 모곡동. 쌍용자동차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지산동(서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E] 법정동 지산동(동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 · 독곡동[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H]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서쪽) · 통복동(경부선 서쪽) · 군문동 · 신대동[I]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J] 법정동 비전동(북부) · 죽백동 · 청룡동 · 월곡동. 소사벌지구가 있는 동네[K]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L]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M] 법정동 용이동(동부). 평택대학교가 있는 동네[N]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O] 고덕국제신도시로 이루어진 동네[P] [P][Q]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R] LG전자 사업장이 있는 동네[S] 오산 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T] 중앙동, 서정동, 송탄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비전1동, 세교동, 동삭동, 진위면, 서탄면[갑] 지역구 국회의원: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초선)[U]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고덕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을] 지역구 국회의원: 유의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3선)[A] 법정동 서정동(남부) · 이중동 · 장당동[B] 법정동 서정동(북부)[C] 법정동 가재동 · 장안동 · 도일동 · 칠원동 · 칠괴동 · 모곡동. 쌍용자동차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지산동(서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E] 법정동 지산동(동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 · 독곡동[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I]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J] 법정동 비전동(북부) · 죽백동 · 청룡동 · 월곡동. 소사벌지구가 있는 동네[L]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R] LG전자 사업장이 있는 동네[S] 오산 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H]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서쪽) · 통복동(경부선 서쪽) · 군문동 · 신대동[K]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M] 법정동 용이동(동부). 평택대학교가 있는 동네[P] [P][Q]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A] 법정동 서정동(남부) · 이중동 · 장당동[B] 법정동 서정동(북부)[C] 법정동 가재동 · 장안동 · 도일동 · 칠원동 · 칠괴동 · 모곡동. 쌍용자동차 본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지산동(서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E] 법정동 지산동(동부) · 신장동(경부선 동쪽) · 독곡동[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F] 오산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동쪽) · 합정동 · 유천동[H] 법정동 평택동(경부선 서쪽) · 통복동(경부선 서쪽) · 군문동 · 신대동[I] 법정동 통복동(경부선 동쪽)[J] 법정동 비전동(북부) · 죽백동 · 청룡동 · 월곡동. 소사벌지구가 있는 동네[K] 법정동 비전동(남부) · 용이동(서부) · 소사동[L]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지제·세교지구가 있는 동네[M] [P] [P][Q] 평택항만 및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R] LG전자 사업장이 있는 동네[S] 오산 공군기지, 공군작전사령부가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