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1:05:26

퍼플 헤이즈 디스토션

파일:Purple_Haze_Distortion.png
퍼플 헤이즈 디스토션
パープル・ヘイズ・ディストーション|Purple Haze Distortion
CV 에노키 준야 (榎木淳弥)
올 스타 배틀 R
에가와 히사오 (江川央生)
All Star Battle》·《Eyes of Heave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퍼플 헤이즈
스탠드 유저 판나코타 푸고
명칭 유래 지미 헨드릭스의 곡
Purple Haze
노래 Purple Haze에 사용된 음향기기
디스토션
북미판 명칭 Purple Smoke Distortion
타입 근거리 파워형
인간형
자율형
진화형
기합성 [ruby(うばぁしゃあああああッ!, ruby=우바샤아아아아아!)]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탯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퍼플 헤이즈 디스토션1121.png
<colbgcolor=#303030,#000000> 퍼플 헤이즈 디스토션
파괴력 - A 스피드 - B 사정거리 - E
지속력 - E 정밀동작성 - C 성장성 - ?
}}}}}}}}}}}} ||
}}}}}}}}} ||
1. 개요2. 외형 및 특징3. 능력
3.1. 스탯3.2. 강화된 바이러스
4. 기타

[clearfix]
"결단은 내렸어... 거기에 건다!"
[clearfix]

1. 개요

표 양식은 애니북스의 6부 스톤 오션 정발본의 스탠드 표 기준[1]
파일:PHD 스탠드 표.png
스탠드 명 - '퍼플 헤이즈 디스토션'
본체 -
판나코타 푸고(16세)
파괴력 - A 스피드 - B 사정거리 - E
지속력 - E 정밀동작성 - C 성장성 - ?
능력 -
살인 바이러스 살포. 성장하여 더욱 흉폭화한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조차 먹어치워버리기 때문에, 전력으로 공격한들
바이러스가 서로 먹고 먹힐 뿐 상대에게의 살상력이 사라져
적당히 하면 할수록 상대를 더욱 확실히 죽이게 된다는 모순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체도 감염당하면 죽는데 스탠드 자신에게는 왜 바이러스가
통하지 않는 것인가? 그것은 수수께끼다.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 황금의 바람의 등장인물 / 5부 황금의 바람의 외전 수치심 없는 퍼플 헤이즈의 주인공 판나코타 푸고스탠드퍼플 헤이즈가 더욱 성장한 형태.

2. 외형 및 특징

항상 분노에 가득차있던 인상이 날카롭고 조용하게 바뀌었다. 단순히 그림체 변화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입의 크기가 줄어들고 망토가 없어졌으며, 가슴 가운데와 배 부위, 옆다리가 노출된 의상을 입었다.

전체적인 디자인 모티브는 프레디 머큐리의 공연 의상을 참고한 것으로 추정.

퍼플 헤이즈의 스탠드 표에는 본체인 푸고의 나이가 서술되지 않았으나, 디스토션의 스탠드 표에는 서술되었으며 스탠드 표에 스탠드뿐만 아니라 본체도 나와있다.

3. 능력

3.1. 스탯

  • 사정거리 C→ E
    증가한 다른 능력치와는 달리 사정거리는 크게 줄어들었다.
  • 정밀동작성 E→ C
    바이러스가 너무 강력해졌으나, 그렇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서로를 잡아먹어서 오히려 안전해지는 아이러니가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를 비교적 잘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 성장성 B→ ?
    성장을 끝마쳤음에도 성장성이 여전히 A인 에코즈 ACT.3 / 성장성이 E가 된 터스크 ACT.4와 달리 ?다. 더욱 성장할 여지가 있을지도?

3.2. 강화된 바이러스

특히나 변동된 것은 특수능력인 살인 바이러스의 살상력이 극도로 높아진 것.

그런데 살상력이 너무 높아져서, 바이러스들이 자기들끼리도 서로 잡아먹어 자멸해버릴 정도가 되었다. 그래서 제대로 감염시키면 별 피해를 입힐 수 없고, 오히려 적당히 감염시켜야지만 확실하게 죽일 수 있다는 아이러니한 능력이 되었다. 이게 약해진건지 강해진건지...

작중에서는 푸고가 바이러스 캡슐을 입에 넣고 깨물어 깨트린 다음 그 타액을 마시모 볼페에게 내뱉는 식으로 공격했는데, 푸고는 입 안을 다치는 것으로 끝난 반면 볼페는 순식간에 녹아내려 죽어버렸다. 푸고도 한동안 식사도 못할 정도로 입안이 너덜너덜해졌고 조금만 더 오래 물고 있었으면 죽어버렸을지도 모른다고도 했지만, 어쨌든 결국 그 흉악한 바이러스에 감염되고도 죽지는 않은 것이다.

물론 이건 다급한 상황에서 쓴 긴급수단이고, 원래라면 적당히 떨어진 위치로 캡슐을 발사하거나 그냥 바이러스는 위협 내지는 적당히 피해만 주는 용도로 쓰고 전투는 근거리 파워형의 스탯으로 하는 등 더 좋은 방법들이 많을 것이다.

파괴력이 더욱 강해졌지만 어차피 성장 전의 퍼플 헤이즈도 일격끔살형 스탠드다보니 별 의미는 없다. 오히려 원래 피아식별없이 무차별적으로 학살하던 스탠드를 억제할 수 있는 통제력이 성장한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참고로 실재하는 병원체도 치사성(파괴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전염성이 도리어 낮아진다. 자기들끼리 잡아먹는 건 아니지만, 숙주가 빨리 죽어버리니 제 때 다른 생물에게 전파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실제로 독감이나 코로나같은 대유행한 전염병들을 보면 치사율이 낮거나 사망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기타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에서 푸고의 대사, 입에 있는 캡슐을 깨물어 깨트려 공격하는 공격 모션으로 디스토션 설정을 게임에 반영됐다.

디아볼로의 대모험 0.16 버전에서도 판나고타 푸고의 특수능력 중 하나로 재현되었다. 근접시 발동, 푸고 1레벨 기준 50데미지.

수치심 없는 퍼플 헤이즈 자체가 자캐딸과 원작 캐릭터의 왜곡으로 호불호가 매우 갈리는 소설이기는 하지만, 예외적으로 디스토션의 설정만큼은 ASB에 등장하는 등 다른 곳에서도 많이 쓰인다. 사실 원작에서는 활약이 너무 적은데다가 제대로 묘사하기에는 너무 까다롭기 때문에 그럴 만 하다.


[1] 단, 능력 설명의 서술을 정발본의 '능력- 능력 설명'과 같이 서술 시 첫 문장과 이후 문장들의 배열이 난잡해지므로 '능력 - (한 칸 띄우기) 능력 설명'과 같이 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