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9:49:07

패전 투수

<colbgcolor=#ffd700> 파일:야구 픽토그램.svg
야구의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투수의 기록 구종 가치 · 규정이닝 · 평균자책점 · 승리 투수 · 패전 투수 · 승률 · 탈삼진 · 완투 · 완봉 · 세이브 · 블론세이브 · 홀드 · WHIP · 퀄리티 스타트 · DIPS · FIP · K/BB · RA9 · pFIP · kwERA · SIERA · 게임 스코어 · ERA+
타자의 기록 규정타석 · 타석 · 타수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OPS+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도루실패 · 사사구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희생플라이 · BB/K · RC · RC27 · RE24 ·IsoD(순출루율) ·IsoP(순장타율) · XR · wOBA · wRAA · wRC+ · GPA · EqA · UEQR · DRS · UZR
투·타 공통 실책 · WAR · WPA · cWPA · BABIP · VORP · 컴투스 프로야구 포인트 · 웰컴톱랭킹
관련 문서 세이버메트릭스 · 투승타타 · 윤석민상
관련 사이트 스탯티즈 · KBReport · 베이스볼 레퍼런스 · 팬그래프 닷컴
}}}}}}}}} ||

1. 개요2. 불합리함3. 패전 관련 기록4. KBO 통산 다패 순위

1. 개요

패전투수란 승패가 갈린 야구 경기에서 마지막으로 상대방에게 리드를 허용하는 실점을 기록한 투수를 말한다. 경기 도중 어느 투수가 상대에게 리드를 내주는 실점을 했더라도 그 이후의 이닝에서 동점이 되거나 역전을 한 경우 그 투수에게는 패전을 기록하지 않는다. 더 짧게 말하면 결승 주자의 출루를 허용한 투수.

어느 투수가 팀이 리드를 잡고 있거나 동점인 상황에서 역전 주자를 루상에 남겨둔 채로 강판된 경우라도 역전 주자가 득점에 성공하면 그 때 던지고 있던 투수가 아닌 이 주자를 루상에 허용한 투수가 패전투수로 기록된다. 실책 등으로 인해 내보낸 주자가 역전 주자가 되더라도, 즉 비자책점으로 인한 실점이라도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주자가 출루했을 때 던지고 있던 투수에게 패전이 기록된다.

한 시즌으로 보면 불명예스러운 기록이지만 통산기록으로 넘어가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그만큼 오래 선수생활을 하였거나 선발로서 롱런했다는 영광의 상처 정도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투수로 오래 활약한 선수의 통산 승률이 100% 인것은 불가능하며, 따라서 패배는 투수가 보다 많은 경기에 등판해서 승리를 거두다 보면 여기에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기록이다. 실제로 통산 다패 순위 상위권 선수들을 보면 다들 한 시대를 풍미했던, 통산 다승 순위에서도 상위권에 있는 선발투수들이다.[1][2] 이런 모습은 단순히 투수를 평가할 때는 다른 지표 또한 종합적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지, 단순히 패전의 숫자가 많다고 해서 그 투수를 안좋게 평가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3]

2. 불합리함

사실 패전을 했다고 해서 해당 투수가 못하는 투수다 라고 딱 잘라서 말 할 수 없다. 승리 투수 기록의 불합리함보다도 한술 더 뜨는 게 이 패전투수인데 한 마디로 팀 전체가 못해서 진 걸 그때 마운드 위에 있던 투수 한명에게 독박 씌우는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투수가 더욱 억울하게 패전 투수로 기록될 수도 있는데, 무자책으로 9이닝을 틀어막은 투수도 팀이 공격에서 점수를 못내거나 야수의 실책으로 실점한 것 때문에 경기에서 지게 되면 패전투수로 기록되기도 하며, 이 경우 투수에게 패배에 대한 책임이 전혀 없음에도 해당 투수가 패전투수가 된다. 또한 1실점밖에 하지 않아도 그 주자가 역전 주자라면, 다른 투수들이 아무리 실점을 많이 해도 패전 기록은 그 역전 주자 한 명을 출루시킨 투수에게 기록된다.

또한 통산 패전이 많은 투수라고 해서 못하는 선수라는 건 절대 아니다. 당장 KBO 통산 최다 패전 투수인 송진우는 KBO 통산 최다 승리 투수이자 유일한 200승 투수다. 즉, 통산 패전이 많다는 건 그만큼 많은 경기를 뛰었다는 의미다.

3. 패전 관련 기록

  • MLB 통산 최다 패전 - 사이 영 (316패)
  • MLB 개인 최다 연패 - 앤서니 영 (27연패)

4. KBO 통산 다패 순위

굵은 글씨는 현역.(2024년 6월 2일 기준)
순위 선수명 패전
1 송진우 153
2 김원형 144
3 염종석 133
4 정민철 128
5 이상목 122
배영수
7 정삼흠 121
8 장원준 119
9 한용덕 118
10 양현종 116

[1] 한국프로야구, 일본프로야구, 메이저 리그 통산 최다 패전 투수들인 송진우(153패) 카네다 마사이치(298패), 사이 영(316패)은 동시에 최다 승리 투수이기도 하다(각각 210승, 400승, 511승).[2] 그래서 승패를 가르는 모든 게임에서는 승/패의 갯수보다 승률을 중요시한다. 통산 10승 90패인 A와 800승 200패인 B를 비교할 때 통산 패배 횟수는 B가 많지만 승률이 훨씬 더 높은 B가 더 잘한다고 하는 것과 똑같다.[3] 그리고 프로의 세계는 냉정해서 실력이 부족하다면 몇 년 못 버티고 바로 도태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살아남았다는 것은 패전 외에 내세울 만한 지표를 충분히 기록했다는 것이다.[4] 해당 선수는 KBO 원년의 시작인 개막전과 그 해 마지막인 한국시리즈 6차전 경기에서 워낙에 만루홈런허용하며, 워낙 인상적인 패전을 하다 보니 올드팬이라면 해당 선수가 KBO 리그의 1호 패전을 기록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적지 않다.[5] 단일 시즌으로는 13 연패이며 단일 시즌 최다 연패는 가지모토 타카오의 15연패.

분류